목차
1. 요약
2. 서론
3. 실험 재료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결과 및 고찰
6. 결론
7. 참고문헌
2. 서론
3. 실험 재료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결과 및 고찰
6. 결론
7. 참고문헌
본문내용
넘는 때도 자주 있다.
3. 실험 재료 및 시약
- 시료(수돗물)100㎖
- 페놀프탈레인 용액
- 0.02N H2SO4 용액
- 피펫
- 비커
- 뷰렛
4. 실험 방법
① 시료(수돗물)100㎖ 준비
② 시료에 메틸오렌지 용액 2~3방울을 넣는다.
③ 0.02N H2SO4로 적정한다.(오렌지색→빨강색)
④ 0.02N NaOH 100㎖를 준비한다.
⑤ NaOH에 페놀프탈레인 용액 2~3방울을 넣는다.
⑥ 0.02N H2SO4로 적정한다.
5. 결과 및 고찰
§ 결과
시료
H2SO4
3㎖
67.6㎖
§ 고찰
- 강한 염기인 경우 중화점에서 지시약의 색 변화가 뚜렷하다.
- 약한 염기인 경우에는 가수분해에 주의해야 하며, 적당한 지시약을 선택해야 한다.
- 약한 염기인 경우에는 중화점 부근에서 pH의 변화가 작기 때문에, 지시약을 사용해도 중화점을 찾을 수가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기적정 등을 사용한다.
- 알칼리도 계산 =
A : 적정 N농도
B : 소비된 N농도
6. 결론
① 시료
알칼리도= 60mg/L =
0.02eq
3ml
50g
1000mg
L
50ml
1eq
g
② NaOH
알칼리도= 1352mg/L =
0.02eq
67.6ml
50g
1000mg
L
50ml
1eq
g
7. 참고문헌
- 최규철 외 7인,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주해], 동화출판사, 2002년
- 유명진 외7인 , [수질관리], 동화출판사, 2002년
- 김수원 외 3인, [ 최신상수도학], 동화출판사, 2003년
- 김동민 외 8인, [폐수처리 공학], 동화출판사, 2003년
- 김덕찬 외 2인, [환경화학], 동화출판사, 2005
3. 실험 재료 및 시약
- 시료(수돗물)100㎖
- 페놀프탈레인 용액
- 0.02N H2SO4 용액
- 피펫
- 비커
- 뷰렛
4. 실험 방법
① 시료(수돗물)100㎖ 준비
② 시료에 메틸오렌지 용액 2~3방울을 넣는다.
③ 0.02N H2SO4로 적정한다.(오렌지색→빨강색)
④ 0.02N NaOH 100㎖를 준비한다.
⑤ NaOH에 페놀프탈레인 용액 2~3방울을 넣는다.
⑥ 0.02N H2SO4로 적정한다.
5. 결과 및 고찰
§ 결과
시료
H2SO4
3㎖
67.6㎖
§ 고찰
- 강한 염기인 경우 중화점에서 지시약의 색 변화가 뚜렷하다.
- 약한 염기인 경우에는 가수분해에 주의해야 하며, 적당한 지시약을 선택해야 한다.
- 약한 염기인 경우에는 중화점 부근에서 pH의 변화가 작기 때문에, 지시약을 사용해도 중화점을 찾을 수가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기적정 등을 사용한다.
- 알칼리도 계산 =
A : 적정 N농도
B : 소비된 N농도
6. 결론
① 시료
알칼리도= 60mg/L =
0.02eq
3ml
50g
1000mg
L
50ml
1eq
g
② NaOH
알칼리도= 1352mg/L =
0.02eq
67.6ml
50g
1000mg
L
50ml
1eq
g
7. 참고문헌
- 최규철 외 7인,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주해], 동화출판사, 2002년
- 유명진 외7인 , [수질관리], 동화출판사, 2002년
- 김수원 외 3인, [ 최신상수도학], 동화출판사, 2003년
- 김동민 외 8인, [폐수처리 공학], 동화출판사, 2003년
- 김덕찬 외 2인, [환경화학], 동화출판사,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