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그다지 타당하게 들리지 않는다. 차라리 미국내의 광활한 평원에 유기농 농작물을 대량으로 심고 싸게 공급하면 오히려 이게 더 효과적인 방법이 아닐까? 소비자가 아닌 정부나 의회에서 이를 추진한다면 소비자가 여기에 추진력의 힘을 보태는게 오히려 더 타당해 보이지는 않을까? 꼬리에 꼬리를 무는 것은 그녀가 제시한 해결책에 대한 비현실성이었다. 모든 경제 관련 산업 활동을 단순히 유기농에 초점을 맞추며 억지로 끼워맞춘 듯한 얘기가 사람들의 공감을 자아낼 수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 책에서 우리가 얻어갈 수 있는 것 또한 많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아무런 생각 없이 채식 혹은 웰빙을 말하고 있을 때 다국적 식품 기업들은 알게 모르게 미소를 짓고 있다는 것과 우리가 먹는 음식이 결코 진정한 웰빙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오늘날 한국인에게 웰빙은 하나의 생활 양식으로 정착했고, 점차 삶에 대한 고차원적 욕구를 갖고 이를 해소하고 싶어한다. 커다란 도시화와 산업화의 물결과 수많은 서민들의 입장에선 제인 구달이 제시한 방법이 터무니없게 느껴질 수 있겠지만 멀지 않은 미래에는 혹시 가능하지 않을까? 책장을 덮으면서도 내가 모르고 있던 사실에 대한 인식과 어떻게 본다면 소비자의 당연한 주권이 오히려 침해받고 있다는 걸 느꼈다. 불과 얼마 전에 과자에서 유해 물질이 검출되었다는 소식이 사회를 시끄럽게 한 적이 있다. 아는 자가 권력이고,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것처럼 점점 사회가 긍정적인 모습으로 바뀌어갔으면 좋겠다. 희망의 밥상 또한 기다릴 것이 아니라 찾아가는 자세가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추천자료
제인구달의 생명사랑 십계명
[A+독후감] 제인구달의 희망의 이유 中 <연민과 사랑>을 읽고...
제인 구달 '희망의 밥상' 독후감
제인구달의 '인간의 그늘에서'를 읽고.
제인구달 '희망의 이유'에 대한 서평(A+독후감)
제인 구달의 희망의 밥상서평, 독후감- 개인적인 생각을 중심으로
제인구달의 '희망의 이유'를 읽고.
제인 구달의 &#8988;희망의 밥상&#8991;에 나오는 육류 사육 현황과 그 영향, 대책에...
제인구달의 희망의 밥상
[농업 농촌의이해]희망의 밥상(제인 구달, 김은영 역, 사이언스북스, 2006 ) - 내용을 요약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