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기
1.자원봉사 개념
2.자원봉사 활동의 특성
본론
1.자원봉사 활동의 역사와 최근 경향
2.미국자원봉사의 현황
3.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
1)자원봉사의 의식화
2)자원봉사활동의 제도화
1.자원봉사 개념
2.자원봉사 활동의 특성
본론
1.자원봉사 활동의 역사와 최근 경향
2.미국자원봉사의 현황
3.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
1)자원봉사의 의식화
2)자원봉사활동의 제도화
본문내용
민간부문의 자원봉사 활동
미국에서 민간부문의 자원봉사활동은 1919년 미네아폴리스에 위치한 공동모금회의 자원봉사센터가 설립된 이후, 각 지역 자원봉사센터가 자원봉사활동의 구심점이 있다. 닉슨 대통령은 전국 차원의 민간조직 설립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1970년 ‘전국 자원봉사센터’의 설립을 지원 하였다. 그 이후 전국자원봉사센터는 ‘전국자원봉사정보센터’와 통합하였고, 1991년 ‘촛불재단’과 통합하였다.
1990년 부시 대통령의 선거공약 ‘수많은 촛불을 어두운 곳에’를 실현하기 위해 세워진 촛불재단은 1990년 에드워드 케네디 상원의원이 제출, 통과한 ‘전국 및 지역사회 봉사법’에 포함되어 법정 단체로 출발하였다. 이후 1991년 전국자원봉사센터와 통합하여 500여 개의 자원봉사센터를 갖는 기구로 발전하였다. 촛불재단은 대통령이 회장을 직접 임명하고 국회에서 독립적인 예산 편성을 받는 전국 규모의 민간 기구로서 지역 자원 봉사단체들의 활동을 조정하고 자원봉사에 대한국민의식을 높이는 작업을 수행한다. 촛불 재단은 보다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지역사회를 활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이번송 외 1995)촛불 재단은 국가로부터의 제정지원 외에 각 기업 및 개인들로부터 받은 기부금을 포함하여 연간 100억원을 상회하는 예산으로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부출연금과 기업의 기부금이 각각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있다. 촛불재단의 조직으로는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는 이사회가 있으며, 여기에는 정부기관, 기업, 교육계, 종교계, 청소년 대표, 비영리 단체의 대표 등 각계 대표들 26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밑에 대통령이 임명하는 회장, 5명의 부회장, 관리자, 조정자 등이 있다.
그동안 촛불재단은 전국 자원봉사 센터를 통해 5만5천여 개의 비영리 기관에 약 80만 명의 자원봉사자를 배치하였다. 또한 기업들의 자원봉사 활동을 적극 후원하였고, 범국민적 홍보, 조사, 데이터 베이스만 구축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United Way 와 공동으로 개발한 컴퓨터 온라인 서비스인 Volunteer Net을 운영하고 있다. 이 같은 촛불재단의 노력으로 500개에 달하는 지역자원봉사센터들은 3천개의 기업들과 파트너가 되어 일하고 있으며, 주민들로 하여금 4천5맥만 시간 이상을 자원봉사에 참여하도록 하는 거대한 조직망을 형성하고 있다.(최인섭외 1996)
4)주 정부의 자원봉사활동
미국에서는 연방법 이외도 주 정부법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사회적 편익을 제공하는 규정들을 명시하고 있다. 뉴욕, 워싱톤, 오리건, 조지아 주 등의 l주법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의 활동기관을 유급 활동시간과 동일하게 인정해 가산점을 주도록 하고 있다.
5)시정부의 자원봉사
시 정부는 자원봉사에 관한 다양한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여러 형태의 자원봉사 지원모델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시 정부에서는 지역사회의 자원봉사활동에 간접적으로 개입하고 있지만, 뉴욕시의 경우에는 자원봉사센터를 시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다. 많은 경우 시 정부에 각 부처에서 자원봉사자를 활용하여 시민들을 위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시 정부 관리들은 자원봉사 옹호자로서 자원봉사 캠페인을 벌이거나, 기업과 각계 단체들 간의 교류를 주선하며, 자원봉사자를 표창하역할을 하고 있다.
6)지역자원봉사센터
미국에서는 800여개의 지역자원봉사센터 중심으로 각종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부분의 지역자원봉사센터는 촛불재단의 지원을 받고 있지만, United Way가 사무실을 빌려주거나 직접 운영하는 지역자원봉사센터, 적십자사나 구세군, 상공회의소 등과 같은 곳에 소속되어 있는 자원봉사센터들도 있다.
지역자원봉사센터는 자원봉사프로그램과 구분되는 개념을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들을 효과적으로 모집하여 각 기관에 배치시키며, 자원봉사 전산망의 개발과 기관 및 단체 주소록 발간 사업 등을 통해 지역주민들과 기관들을 연결시키며, 자원봉사자들이 교육과 훈련, 자원봉사 캠폐인, 행정적 지원 등을 제공하기도 한다. 해마다 지역 자원봉사센터는 50만 명에 달하는 신규 자원봉사자들을 발굴, 배치시키며, 약 8억 달러에 해당하는 1억 시간의 봉사활동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번송외 1995)
시에서 예산을 지원하는 뉴욕시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역봉사센터들은 공동모금회의 지원을 비롯하여 자체적으로 확보한 예산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역자원봉사센터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각 기관의 자원봉사관리자들을 위한 자문 및 상담, 관리기술 워크
미국에서 민간부문의 자원봉사활동은 1919년 미네아폴리스에 위치한 공동모금회의 자원봉사센터가 설립된 이후, 각 지역 자원봉사센터가 자원봉사활동의 구심점이 있다. 닉슨 대통령은 전국 차원의 민간조직 설립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1970년 ‘전국 자원봉사센터’의 설립을 지원 하였다. 그 이후 전국자원봉사센터는 ‘전국자원봉사정보센터’와 통합하였고, 1991년 ‘촛불재단’과 통합하였다.
1990년 부시 대통령의 선거공약 ‘수많은 촛불을 어두운 곳에’를 실현하기 위해 세워진 촛불재단은 1990년 에드워드 케네디 상원의원이 제출, 통과한 ‘전국 및 지역사회 봉사법’에 포함되어 법정 단체로 출발하였다. 이후 1991년 전국자원봉사센터와 통합하여 500여 개의 자원봉사센터를 갖는 기구로 발전하였다. 촛불재단은 대통령이 회장을 직접 임명하고 국회에서 독립적인 예산 편성을 받는 전국 규모의 민간 기구로서 지역 자원 봉사단체들의 활동을 조정하고 자원봉사에 대한국민의식을 높이는 작업을 수행한다. 촛불 재단은 보다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지역사회를 활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이번송 외 1995)촛불 재단은 국가로부터의 제정지원 외에 각 기업 및 개인들로부터 받은 기부금을 포함하여 연간 100억원을 상회하는 예산으로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부출연금과 기업의 기부금이 각각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있다. 촛불재단의 조직으로는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는 이사회가 있으며, 여기에는 정부기관, 기업, 교육계, 종교계, 청소년 대표, 비영리 단체의 대표 등 각계 대표들 26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밑에 대통령이 임명하는 회장, 5명의 부회장, 관리자, 조정자 등이 있다.
그동안 촛불재단은 전국 자원봉사 센터를 통해 5만5천여 개의 비영리 기관에 약 80만 명의 자원봉사자를 배치하였다. 또한 기업들의 자원봉사 활동을 적극 후원하였고, 범국민적 홍보, 조사, 데이터 베이스만 구축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United Way 와 공동으로 개발한 컴퓨터 온라인 서비스인 Volunteer Net을 운영하고 있다. 이 같은 촛불재단의 노력으로 500개에 달하는 지역자원봉사센터들은 3천개의 기업들과 파트너가 되어 일하고 있으며, 주민들로 하여금 4천5맥만 시간 이상을 자원봉사에 참여하도록 하는 거대한 조직망을 형성하고 있다.(최인섭외 1996)
4)주 정부의 자원봉사활동
미국에서는 연방법 이외도 주 정부법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사회적 편익을 제공하는 규정들을 명시하고 있다. 뉴욕, 워싱톤, 오리건, 조지아 주 등의 l주법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의 활동기관을 유급 활동시간과 동일하게 인정해 가산점을 주도록 하고 있다.
5)시정부의 자원봉사
시 정부는 자원봉사에 관한 다양한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여러 형태의 자원봉사 지원모델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시 정부에서는 지역사회의 자원봉사활동에 간접적으로 개입하고 있지만, 뉴욕시의 경우에는 자원봉사센터를 시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다. 많은 경우 시 정부에 각 부처에서 자원봉사자를 활용하여 시민들을 위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시 정부 관리들은 자원봉사 옹호자로서 자원봉사 캠페인을 벌이거나, 기업과 각계 단체들 간의 교류를 주선하며, 자원봉사자를 표창하역할을 하고 있다.
6)지역자원봉사센터
미국에서는 800여개의 지역자원봉사센터 중심으로 각종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부분의 지역자원봉사센터는 촛불재단의 지원을 받고 있지만, United Way가 사무실을 빌려주거나 직접 운영하는 지역자원봉사센터, 적십자사나 구세군, 상공회의소 등과 같은 곳에 소속되어 있는 자원봉사센터들도 있다.
지역자원봉사센터는 자원봉사프로그램과 구분되는 개념을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들을 효과적으로 모집하여 각 기관에 배치시키며, 자원봉사 전산망의 개발과 기관 및 단체 주소록 발간 사업 등을 통해 지역주민들과 기관들을 연결시키며, 자원봉사자들이 교육과 훈련, 자원봉사 캠폐인, 행정적 지원 등을 제공하기도 한다. 해마다 지역 자원봉사센터는 50만 명에 달하는 신규 자원봉사자들을 발굴, 배치시키며, 약 8억 달러에 해당하는 1억 시간의 봉사활동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번송외 1995)
시에서 예산을 지원하는 뉴욕시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역봉사센터들은 공동모금회의 지원을 비롯하여 자체적으로 확보한 예산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역자원봉사센터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각 기관의 자원봉사관리자들을 위한 자문 및 상담, 관리기술 워크
키워드
추천자료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과 대안
자원봉사 조직강화 및 연계를 통한 지역사회조직의 활성화(프로포절)
자원봉사의 정의와 의미 및 정부의 역할
자원봉사의 사회적 필요성과 발전방향
지역사회봉사활동 - 자원봉사활동의 영역과 대상, 실태와 과제
노인들의 봉사활동 참여가 노인 개인에게 주는 이익과 사회적 통합에서 사회적 이익에 대해 ...
자원봉사활동의 사회적 가치는 무엇이며 그것에 대한 느낌
자원봉사자 교육안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전문적 관리의 중요성과 이론적 배경 및 과정과 모형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시민단체(NGO)와 자원봉사 - 시민사회와 NGO, NGO와 시민운동, NGO와 자원봉사, 한국 NGO의 ...
자원봉사의 의미와 가치를 봉사자와 수혜자의 두 차원에서 설명하시오
[자원봉사] 노인봉사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