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개론]제스프리 & 이랜드의 국제경영 전략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스프리)
Ⅰ. 제스프리 설립배경
Ⅱ. Korea 환경 분석
1) 경제 환경
2) 정치/법적 환경
3) 사회문화 환경
Ⅲ. Zespri의 SWOT분석
Ⅳ. Zespri S T P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Ⅴ. 성과 및 느낀점

(이랜드)
Ⅰ. 이랜드 기업소개
Ⅱ. 중국 환경 분석
Ⅲ. 중국 아동복 POSITIONING
Ⅳ. E KIDS in CHINA
Ⅴ. E KIDS SWOT 분석
Ⅵ. 4P
Ⅶ. 성과
Ⅷ. 제안

본문내용

3. M&A
국내 유명 여성복 업체인 '데코'는 지난해 중국 패션 기업 '로먼'사와 50 대 50으로 합작법인을 설립했다. 로먼사는 중국 의류시장에서 2위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 데코는 로먼사와 '로먼 데코'라는 여성복 출시를 기획 중이다.
이 같은 의류 업체들의 중국 진출은 90년대 중후반에 이뤄진 의류 업체의 단순 생산기지 이전에서 벗어나 국내 의류 브랜드의 현지 진출이라는 양상을 띠고 있다.
데코의 권오향 이사는 "같은 동양권으로 중국인들의 감성과 가깝다는 점 때문에 중국인들 사이에서도 한국 의류에 대한 선호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경우 상하이 중국본부를 중심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으며 각 백화점에서 확고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5년 전 중국 내수시장에 진출할 당시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3년 전부터 현지화에 성공했다고 보고 있다. 베이징 상하이 칭다오 다롄 등 대도시의 이른바 빅3 백화점 로열층에는 이랜드 매점이 모두 입점, 고급 브랜드 이미지를 확실히 굳히고 있다. 올 하반기에는 아동복 브랜드를 가미해 여성복, 남성복, 아동복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4. 중국의 WTO가입
중국에 불고 있는 한류열풍과 중국이 WTO에 가입함으로써 2004년까지 시장을 개방할 것에 주목해 중국 시장 진출을 국내 시장 정체의 돌파구로 삼는다는 전략이다.
5.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미국 E KIDS 마케팅 인프라 활용으로 어니상을 수상하였고, 로열티 고객 관리, 유니세프 및 기타 기관 연계 마케팅, 패션쇼, 서예/탁구대회 등의 후원 등을 하고 있으며 중국 내 최다 기부(교육기관, 구제기관으로 기부) 아동브랜드를 목표로 하고 있다.
Ⅶ. 성과
영업실적(M.S., 물량)
현재 이랜드는 중국에서 ‘이랜드’와 ‘스코필드’로 2003년 기준 100여개 매장에서 50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또한 작년 인수한 여성복 브랜드 ‘데코’는 중국에서 고가브랜드, 전문직 여성들이 선호하는 해외 명품 브랜드로 분류가 되며 중국 유명 백화점에 14개의 점포를 가지고 있는데, 특히 청도 JUSCO 백화점에서는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들을 누르고 매출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랜드는 지속적인 M&A를 통하여 중국 시장에서의 사업영역을 넓히고 전체 매출 1000억 원 대에 돌입할 예정이다.
최근 몇 년간 이랜드와 중국 내 이랜드 100% 출자 계열사인 상해의련( E.Land Fashion Shanghai Co.,Ltd. )의 연간 매출액 및 자본금 추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04. 9. 6 (단위 : 천원)
회사명
관계
지분율 (%)
총자산
자본금
매출액
(주)이랜드
지배회사
-
299,413,823
20,700,000
219,300,441
E land Fashion Shanghai Co. Ltd.
종속회사
100
27,497,924
1,792,949
53,720,082
2002. 12. 31 (단위 : 천원)
회사명
관계
지분율 (%)
총자산
자본금
매출액
당기순익
(주)이랜드
지배회사
-
252,942,344
134,337,425
234,749,395
34,840,241
Eland Fashion Shanghai Co. Ltd.
종속회사
100.00
17,063,586
13,077,060
35,596,999
5,377,193
합계
270,005,930
147,414,485
270,346,394
40,217,434
2001. 12. 31의 상해의련은 직전사업연도말 자산총액이 70억원 미만이어서 연결재무제표작성대상 및 지분법 적용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원화단위 : 천원)
회사명
업종
자본금
투자주식수
투자비율 (%)
Eland Shanghai Ltd.
제조업
USD 2,010,000
2,010,000
100.00
이처럼 2001년까지만 해도 자산총액의 미달로 연결재무제포작성 대상에서도 제외되었던 상해의련이 최근 몇 년간 사이에 고속 성장으로 2004년 현재 274억의 자산 규모를 가지고 연 537억의 매출액을 올리고 있다. 무엇보다도 중국시장에서의 고급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이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Ⅷ. 제안
1) 多 브랜드 전략
- 이랜드 KIDS가 가진 역량(유통망과 노하우)을 바탕으로 신규 브랜드 런칭
현재의 이랜드 KIDS는 상위층만을 겨냥해 고급 이미지로 싼 가격을 무기로 한 중국산 브랜드와 차별화하여 포지셔닝하였다. 하지만 위에서 살펴본 가격별 의류 판매량 현황을 살펴보면 이랜드 KIDS는 고급의류의 10% 밖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중국시장이 넓기 때문에 10% 라는 것이 꽤 크긴 하지만 더욱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에 머무를 수는 없다. 고급의류 뿐만 아니라, 중가, 저가 등의 시장을 무시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미 이랜드 KIDS는 중국에서 높은 지지율과 신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역량을 이용하여 다 브랜드 전략으로 중가, 저가 시장까지 진출함으로써 중국 아동복 시장의 전 부분에서 큰 수익을 창출해야 한다.
2) 상류층의 사립학교에 교복지원
- 고급스런 이미지 제고
한국 교복은 중국 교복보다 20년 이상 앞서 현지에서 ‘명품’대접을 받고 있다.
(주)에리트베이직은 이미 지난 8월 중국 내 ‘귀족학교’에 교복을 공급하기로 하였는데, 몇년 전부터 국내에서 팔고 남은 재고 학생복을 중국 학교에 기부했는데 현지 학생과 교육당국의 반응이 무척 좋아 중국 정부가 귀족학교를 주선해주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이랜드 KIDS는 사립유치원이나 사립초등학교 등에 교복을 지원함으로서 더 고급스럽고 모범생이 입는 이미지를 제고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3) 제한적인 유통구조 탈피
- 가두상점에 모델샵을 오픈함으로써 백화점 이외의 유통구조 유도(프랜차이즈)
고급 백화점에만 의존하고 있는 유통구조를 탈피하고 가두상점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랜드 KIDS의 타겟이 상류층이기는 하지만, 고급 백화점에 다니는 사람들의 한정성은 대부분 구전광고에 의존하는 이랜드 KIDS로서는 브랜드를 알리고 수요를 창출하는 데 불리할 것이다. 그러므로 가두상점에 모델샵을 오픈함으로써 더 많은 소비자들에게 알리고, 그들의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 좋겠다.
  • 가격1,9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6.03.27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14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