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역 광통신에 적합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라만 증폭 매질로 광섬유를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광섬유의 특성에 따라 그 성능이 크게 좌우되며, 따라서 원하는 특성에 적합한 광섬유의 선택이 필요하다.
(3)광 파워미터와 OSA는 주로 어떤 특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인지를 조사해 보시오.
-광 파워미터는 광원이나 광섬유 케이블을 통과한 빛의 출력을 측정하는 장치로써 열 검출 방식과 광 검출 방식의 2가지로 나뉘어 진다.
OSA는 광원이나 광신호의 파장과 출력분포를 측정하는 데 쓰이는 장비로써, 광섬유나 광소자들의 출력특성을 분석할 수 있고, 데이터를 직접 출력할 수도 있다.
본 실험을 수행하면서 측정해야할 데이터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미리 검토해 보시오.(고찰)
-광섬유에 희토류 금속을 첨가한 에르븀 첨가 광 증폭기(EDFA)의 정확한 원리를 이해하고 있는 상태에서,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OSA로 입사시킬 때에 출력특성이나 입력신호에 pumping을 가했을 때의 출력특성을 분석하는 실험이 될 것이다. attenuator와 광원의 dBm 값의 중간을 찾아내어 OSA 로 돌려 분석하는 실험이 데이터의 양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실험 시간이 길어질듯 싶다.
(3)광 파워미터와 OSA는 주로 어떤 특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인지를 조사해 보시오.
-광 파워미터는 광원이나 광섬유 케이블을 통과한 빛의 출력을 측정하는 장치로써 열 검출 방식과 광 검출 방식의 2가지로 나뉘어 진다.
OSA는 광원이나 광신호의 파장과 출력분포를 측정하는 데 쓰이는 장비로써, 광섬유나 광소자들의 출력특성을 분석할 수 있고, 데이터를 직접 출력할 수도 있다.
본 실험을 수행하면서 측정해야할 데이터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미리 검토해 보시오.(고찰)
-광섬유에 희토류 금속을 첨가한 에르븀 첨가 광 증폭기(EDFA)의 정확한 원리를 이해하고 있는 상태에서,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OSA로 입사시킬 때에 출력특성이나 입력신호에 pumping을 가했을 때의 출력특성을 분석하는 실험이 될 것이다. attenuator와 광원의 dBm 값의 중간을 찾아내어 OSA 로 돌려 분석하는 실험이 데이터의 양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실험 시간이 길어질듯 싶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