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3. 오차의 원인
4. 결과 및 토의
5. 참고
2. 실험
3. 오차의 원인
4. 결과 및 토의
5. 참고
본문내용
오실로스코프의 DC OFFSET값을 주었을 때 파형의 위상이 수직으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비스듬히 변하는 것을 보면서 기계적인 결함을 발견할 수가 있었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서 정현파가 어떻게 나타나며, 삼각파와 사각파의 모양, 그동안 모르고 있었던 오실로스코프와 함수발생기의 기능, 교류와 직류의 차이에 대하여 알 수가 있었다. 앞으로의 실험에서 함수발생기와 오실로스코프를 완벽하게 사용하여야 하겠다. 지속적인 공부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낀다.
참고
<교류>
흐름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류 또는 전압
교번전류 또는 교번 전압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교류는 사인파의 파형을 가지는 전류 및 전압이다. 1개의 파형이 끝나는 시간을 주기라 하고, 주기의 역수, 즉 1초동안의 파형의 수를 주파수(Hz), 파형이 최대가 되는 값을 최대값 또는 진폭이라 한다.
<직류>
전지에서의 전류와 같이 항상 일정방향으로 흐르는 전류
직류를 얻으려면 전지가 가장 좋으나, 고전압이나 대전류가 되면 어려워진다. 즉 1개의 전지에서는 전압은 아무리 크다해도 대략 2V밖에 얻을 수 없으며, 흐를 수 있는 전류도 전지의 용적을 늘리면 커지지만 이것에도 한도가 있다. 따라서 대용량의 직류는 직류발전기를 이용하거나 교류를 정류하는 방법으로 만든다.
전기의 이용면에서 보면 전지의 충전이나 전기분해의 전원, 전자회로의 전원 등은 직류가 아니면 안 되지만 전열이나 전등은 교류라도 무방하다. 변압기를 사용하는 송전선이나 배전선 및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 등은 교류에 한한다. 전기가 실용화된 초기에는 직류가 주로 사용되었고, 도시의 배전도 일부에서는, 직류가 사용되었으나 직류에서는 변압기가 사용되지 않아 전압을 쉽게 높이거나 또는 낮출 수 없으므로 교류, 특히 3상교류가 실용화됨에 따라 발전 ·송전 ·배전은 모두 교류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동력으로서의 전기의 이용에는 직류나 교류도 사용되지만 교류전동기와 달리 직류전동기는 속도조절이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정류기의 발달로 교류에서 직류를 쉽게 만들어 전동기의 직전까지 교류로 보내고, 정류기를 통해 직류전동기를 운전하는 예도 있다. 직류송전이라는 것도 있는데, 직류는 리액턴스에 의한 전압강하가 없다는 장점은 있으나 송전전압이 충분히 높지 않으면 채산상(採算上)의 문제가 있고, 교류고전압을 정류하여 직류로 송전하고 그것을 받는 쪽에서 다시 교류로 바꾸는 기술에 많은 문제가 있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서 정현파가 어떻게 나타나며, 삼각파와 사각파의 모양, 그동안 모르고 있었던 오실로스코프와 함수발생기의 기능, 교류와 직류의 차이에 대하여 알 수가 있었다. 앞으로의 실험에서 함수발생기와 오실로스코프를 완벽하게 사용하여야 하겠다. 지속적인 공부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낀다.
참고
<교류>
흐름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류 또는 전압
교번전류 또는 교번 전압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교류는 사인파의 파형을 가지는 전류 및 전압이다. 1개의 파형이 끝나는 시간을 주기라 하고, 주기의 역수, 즉 1초동안의 파형의 수를 주파수(Hz), 파형이 최대가 되는 값을 최대값 또는 진폭이라 한다.
<직류>
전지에서의 전류와 같이 항상 일정방향으로 흐르는 전류
직류를 얻으려면 전지가 가장 좋으나, 고전압이나 대전류가 되면 어려워진다. 즉 1개의 전지에서는 전압은 아무리 크다해도 대략 2V밖에 얻을 수 없으며, 흐를 수 있는 전류도 전지의 용적을 늘리면 커지지만 이것에도 한도가 있다. 따라서 대용량의 직류는 직류발전기를 이용하거나 교류를 정류하는 방법으로 만든다.
전기의 이용면에서 보면 전지의 충전이나 전기분해의 전원, 전자회로의 전원 등은 직류가 아니면 안 되지만 전열이나 전등은 교류라도 무방하다. 변압기를 사용하는 송전선이나 배전선 및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 등은 교류에 한한다. 전기가 실용화된 초기에는 직류가 주로 사용되었고, 도시의 배전도 일부에서는, 직류가 사용되었으나 직류에서는 변압기가 사용되지 않아 전압을 쉽게 높이거나 또는 낮출 수 없으므로 교류, 특히 3상교류가 실용화됨에 따라 발전 ·송전 ·배전은 모두 교류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동력으로서의 전기의 이용에는 직류나 교류도 사용되지만 교류전동기와 달리 직류전동기는 속도조절이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정류기의 발달로 교류에서 직류를 쉽게 만들어 전동기의 직전까지 교류로 보내고, 정류기를 통해 직류전동기를 운전하는 예도 있다. 직류송전이라는 것도 있는데, 직류는 리액턴스에 의한 전압강하가 없다는 장점은 있으나 송전전압이 충분히 높지 않으면 채산상(採算上)의 문제가 있고, 교류고전압을 정류하여 직류로 송전하고 그것을 받는 쪽에서 다시 교류로 바꾸는 기술에 많은 문제가 있다.
추천자료
모델의 광고 중복출연에 대한 제품관여도별 효과분석
인지행동모델
인지행동모델
사회복지실천모델 중 하나를 선정해서 사례연구를 하여 제출하시오.
OSI 참조모델과 TCP IP 프로토콜의 비교와 DNS
인지행동주의모델1
합리주의 모델 & 정책
사회복지실천모델 사례분석
프로이드의 정신역동모델(지형학적모형, 구조적모형, 방어기제, 심리성적발달단계, 관련사례)
사회복지실천과 인지행동모델 (기본개념, 특징, 실천목표, 과정, 실천기법, 결론) 이론정리
사회복지실천과 정신역동모델_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정신역동, 프로이드, 프로이트
심리사회모델을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적용함에 있어서 장단점을 논하시오.
정신분석이론모델의 사례를 읽어보고 정신분석이론과 실천기술에 대하여 비교해보시오.
정신역동모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