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다. 하지만 어떤 경우든지 성 지향성은 아주 어릴때, 자신도 인식하기 전에 확립된다고 보고 있다.
즉 이성애 성향이던, 동성애 성향이던 성 지향성은 개인의 의지나 선택과는 상관없이 주어지는 것이다.
2. 성정체성의 발견
ㄱ. 사춘기에 어떤 형태의 성 접촉을 해서 그 상태가 즐거울 경우 그 것을 계속 추구해서 동성인 것을 확인하는 경우. 이 경우는 초기에 자신의 성의 정체성에 대한 많은 혼돈과 불안을 경험한다. 그러한 후에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알아 간다.
ㄴ. 이성이나 동성과의 성의 접촉을 갖기 전에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나름대로 판단한 후 동성과 이성을 접촉해서 확인한 후 자신의 성적인 정체성을 결정하는 경우.
ㄷ. 오랫동안 이성의 관계를 통해서 적응하려고 많이 노력했다가 결국 적응을 못하고 동성 애자임을 선언하는 경우.
ㄹ. 레스비언의 경우 사춘기에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알지만 무시하고 다루지 않았다가 이 성을 접촉하다 보니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알게 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Stanley and Wolf, 1980).
ㅁ. 자신의 정체성을 밝히기(Coming out)
많은 동성애자들은 자신과 같은 그룹에서는 자신의 성의 정체성을 밝히는 것은 비교적 쉽다고 한다. 그러나 가족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밝히는 것은 어렵다고 본다. 겉으로는 자신의 성에 대한 정체성을 밝히라고 하지만 사회적으로 받는 지탄과 적대적인 태도 때 문에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동성애에 대한 자신의 성의 정체성은 비밀로 감추고 살아간 다.
ㅂ. 동성애자들의 관계의 지속성
대부분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게이들이 레스비언이나 정상적인 부부들의 성관계 대상 수보다 더 많은 파트너를 경험했다고 한다. 게이는 쉽게 만나서 성관계를 갖고 쉽게 헤 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그 중에서 몇 커플은 오랜 지속의 관계가 형성되는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레스비언들이 한 파트너와 오래 지속하는 경향을 보인다.
ㅅ. 양성의 관계
호모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많지만 양성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킨세이의 연구에 의 하면 30대 이상의 독신 여성 중의 약 9%가 양성이고 이성의 부부 중 약 2%가 양성이 라고 보았다.
양성이 되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좀더 흥미로운 성관계를 즐기기 위해서 양성과 접촉하는 경우
-계획적으로 접촉하되 그 순간에 느끼는 기분에 따라서 성의 접촉을 가지는 경우
-접근 가능한 파트너에 따라서 상황에 따라서 무작위로 양성에 접근하는 경우
즉 이성애 성향이던, 동성애 성향이던 성 지향성은 개인의 의지나 선택과는 상관없이 주어지는 것이다.
2. 성정체성의 발견
ㄱ. 사춘기에 어떤 형태의 성 접촉을 해서 그 상태가 즐거울 경우 그 것을 계속 추구해서 동성인 것을 확인하는 경우. 이 경우는 초기에 자신의 성의 정체성에 대한 많은 혼돈과 불안을 경험한다. 그러한 후에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알아 간다.
ㄴ. 이성이나 동성과의 성의 접촉을 갖기 전에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나름대로 판단한 후 동성과 이성을 접촉해서 확인한 후 자신의 성적인 정체성을 결정하는 경우.
ㄷ. 오랫동안 이성의 관계를 통해서 적응하려고 많이 노력했다가 결국 적응을 못하고 동성 애자임을 선언하는 경우.
ㄹ. 레스비언의 경우 사춘기에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알지만 무시하고 다루지 않았다가 이 성을 접촉하다 보니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알게 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Stanley and Wolf, 1980).
ㅁ. 자신의 정체성을 밝히기(Coming out)
많은 동성애자들은 자신과 같은 그룹에서는 자신의 성의 정체성을 밝히는 것은 비교적 쉽다고 한다. 그러나 가족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밝히는 것은 어렵다고 본다. 겉으로는 자신의 성에 대한 정체성을 밝히라고 하지만 사회적으로 받는 지탄과 적대적인 태도 때 문에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동성애에 대한 자신의 성의 정체성은 비밀로 감추고 살아간 다.
ㅂ. 동성애자들의 관계의 지속성
대부분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게이들이 레스비언이나 정상적인 부부들의 성관계 대상 수보다 더 많은 파트너를 경험했다고 한다. 게이는 쉽게 만나서 성관계를 갖고 쉽게 헤 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그 중에서 몇 커플은 오랜 지속의 관계가 형성되는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레스비언들이 한 파트너와 오래 지속하는 경향을 보인다.
ㅅ. 양성의 관계
호모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많지만 양성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킨세이의 연구에 의 하면 30대 이상의 독신 여성 중의 약 9%가 양성이고 이성의 부부 중 약 2%가 양성이 라고 보았다.
양성이 되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좀더 흥미로운 성관계를 즐기기 위해서 양성과 접촉하는 경우
-계획적으로 접촉하되 그 순간에 느끼는 기분에 따라서 성의 접촉을 가지는 경우
-접근 가능한 파트너에 따라서 상황에 따라서 무작위로 양성에 접근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