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목적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중목적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이중목적어의 일반적 성질

이중목적어 구문

이중목적어 구문에 쓰이는 동사유형
1. give유형의 중심동사
2. promise유형의 이행조건 동사
3. permit유형의 허락동사
4. bake유형의 창조와 획득동사
5. bequeath유형의 장래 전달동사

이중목적어 구문의 의미제약과 은유적 확대
1. 행위자의 의도성
2. 수령자의 자발성

여격 구문 및 유사구문
1. 여격구문
2. 수혜자구문
3. 유사구문
4.절이 직접목적어인 구문
1. 정형절 직접목적어
2.비정형절 직접목적어
2.1 to-부정사로 된 직접목적어

이중목적어구문의 통사 분석

결론

본문내용

주어로 나오는 수동형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convince같은 몇몇 동사들은 명사구로 나오는 간접목적어 생략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show와 같은 동사는 간접목적어가 생략이 가능하다.
a. John convinced *(me) that he was right.
b. The professor of mathematics showed (me) that Pythagoras was mistaken.
<<간접목적어가 필수적인 동사>>
assure, convince, inform, persuade, remind, satisfy, tell...
<<간접목적어가 선택적인 동사>>
advice, bet, forewarn, promise, show ,teach, wager, write,...
2.비정형절 직접목적어
2.1 to-부정사로 된 직접목적어
a. I told/advised/persuaded Mark to see a doctor.
b. Mark was told/advised/persuaded to see a doctor.
c. *to see a doctor was told/advised/persuaded Mark.
(a)의 명사구와 to-부정사의 구조가 동사를 따라오는 구조이기 때문에 겉으로 보기에는 단순타동사 구문, 혹은 혹합타동사 구문의 구조와 비슷하다. 그러나 (a)의 명사구는 간접목적어라는 점에서 다른 구조들과 차이가 있다 .즉, 간접화법을 나타내는 다름 동사들처럼 주어는 말하는 화자이고 간접목적어는 말을 듣는 청자이다. 따라서 (b)처럼 간접목적어가 주어로 나오는 수동문만 가능하지,(c)와 같은 수동문은 불가능하다. 이런 유형의 동사로는 다음과 같다.
a. advise, ask, beg, beseech, command, counse, direct, entreat, exhort, forbid, implore, instruct, order, persuade ,remind, recommend, teach, tell, urge...
b. challenge, detail, enjoin, incite, invite, pray, request,...
한편 b의 동사들은 부정사구만 목적어로 취하지, that-절을 목적어로 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a의 동사들과 다르다.
이중목적어구문의 통사 분석
이중 목적어 구문은 끊임없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지배결속 이론하의 문법 원리중 하나인 x-bar이론에 의하면 통사구조는 이분지만을 허가한다. 따라서 모든 핵어는 하나의 한정어와 하나의 보어만을 인정하는데, 이중 목적어 구문이 두개의 보어를 취한다는 것은 당장 이중목적어 구문의 통사 구조를 어떻게 나타내야 하는가의 문제를 제기한다. 이것은 다음 통사 분석을 통해 해결되어진다.
1.a VP
NP V'
V PP
NP P'
P NP
She give a book to her daughter
1.b VP1
NP V1'
V1 VP2
NP2 V2'
V2 VP3
NP1 V3'
V3 NP
She give her daughter tv a book tv tnp2
(1a)와 같은 여격구문에서는 동사 give는 지정어로 한정사구인 she를 보충어로 전치사구를 택하고 있고 또 보충어인 전치사구내에서도 핵인 전치사 to는 지정어로 한정사구 a book과 보충어로 한정사구 her daughter을 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분지에 의한 하나의 보충어를 만족시키고 있다. Chomsky(1995)는 핵-계층구조에서 엄격하게 이분지를 적용하여 단 하나의 보충어만 인정하게 된다
이때 동사의 보충어인 전치사구는 ‘책이 그녀의 딸에게’라는 의미의 일종의 주술관계를 형성한다. (1b)와 같은 이중목적어 구문에서 동사 V1 give는 원래 맨 아래에 있는 V3자리에서 V2를 거쳐 핵이동된 것으로 보고 목표의 논향 NP2 her daughter도 원래 NP에서 이동된 것으로 본다. 따라서 V2자리에 남은 흔적이 경동사인 have가 되어 이들 관계가 소유관계를 이루는 것을 설명하게 된다. 또 동사 V1은 VP2를 보충어로 택하기 때문에 V1에 의한 사건은 필연적으로 VP2에 의한 사건을 함축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사역의 의미를 갖게되며 이어서 그 핵의 지정어인 주어는 그 일이 일어나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역의 주체인 행위자의 의미역을 지니게 된다. 한편 목표의 의미역을 지닌 논항 NP2 her daughter를 NP에서 이동된 것으로 보는 이유는 (1a)와 마찬가지로 계층구조상 원래 대상의 논항 a book이 목표의 논항 her daughter보다 상위에 있게 하기 위한것이다. Larson(1998)의 의미역 계층에 따르면 행위자> 대상> 목표>
기타사격등의 순서로 구조에 반영된다고 본다.
결론
본 과제를 통하여 이분지에 벗어난 문제점을 앉고 있던 이중목적어 구문의 통사구조를 밝히고 이중구문의 핵심적 의미는 자발적 행위자와 수용적 수용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성공적인 전달이라는 아주 구체적인 의미구조와 연관되어있다고 논의되었다. 또한 기본적 개념에서 확대할 수 있는 몇가지 체계적인 은유가 밝혀졌다. 그러나 통사구조를 밝힘에 있어 give동사는 3개의 논항이 필수임에도 불구하고 2개의 논항만 취하는 격이 되버려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 bibliography>>>
1. 구문문법, 한국문화사, 손영숙 정주리
2. 현대통사론의 이해, PUFS, 우윤식
3. Chomsky,Noam(1993) AMImalist Program for Linguistic Theory
4. 영어 이중목적어 구문의 통사구조, 연세대학교 대학원, 이제원, 2001
5. 결속 이론, 한신 문화사, 김용석
6. Larson,R,K(1998) On the Double Object Construction, Linguistic Inquiry
7. Goldberg, Adel E. Construction:A construction Grammar Approach to Argument Structure.
8. Fillmore, Charles J(1968) The case for Case
9. 영어 구문의 이해, 만남, 김경학
10.영어 이중목적어 구문연구,연세대학교 대학원, 김경은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3.29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17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