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초 록
서 론
1부. 군필자ㆍ면제자 간 태도 차이
Ⅰ. 설문 조사
1. 설문 방법
2. 결과
Ⅱ. 집단 간 태도 차이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
1. 군대에 대한 태도의 형성과 발달
2. 군대에 대한 태도와 행동 간의 관계
3. 그 밖의 이론들
(1) 인지적 부조화 이론
(2) 노력 정당화
(3) 신근성 효과
(4) 사회적 범주화
2부. 군가산점 논쟁을 통해 본 집단 간 갈등
Ⅰ. 제대군인 가산점 논쟁
1. 가산점 제도란
2. 갈등의 진행-초기 양상
3. 갈등의 진행-발전
Ⅱ. 갈등의 원인 분석
1. 집단 간 갈등의 원인①-경쟁
2. 집단간 갈등의 원인②-사회적 범주화와 정체성
(1) 사회적 범주화
(2) 집단 간 차별과 사회정체이론
3. 집단 간 갈등의 원인③-투쟁적 영향 책략
Ⅲ. 갈등과정
1. 집단 분화 현상
2. 응집성
3. 내집단/외집단 편향
4. 외집단 동질성 편향 및 소수의 법칙
5. 집단귀인오류
6. 집단 간 갈등 시 확증 편향
3부. 해결 방안
Ⅰ. 사회제도적인 대처 방안
Ⅱ. 심리적 접근
참 고 문 헌
서 론
1부. 군필자ㆍ면제자 간 태도 차이
Ⅰ. 설문 조사
1. 설문 방법
2. 결과
Ⅱ. 집단 간 태도 차이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
1. 군대에 대한 태도의 형성과 발달
2. 군대에 대한 태도와 행동 간의 관계
3. 그 밖의 이론들
(1) 인지적 부조화 이론
(2) 노력 정당화
(3) 신근성 효과
(4) 사회적 범주화
2부. 군가산점 논쟁을 통해 본 집단 간 갈등
Ⅰ. 제대군인 가산점 논쟁
1. 가산점 제도란
2. 갈등의 진행-초기 양상
3. 갈등의 진행-발전
Ⅱ. 갈등의 원인 분석
1. 집단 간 갈등의 원인①-경쟁
2. 집단간 갈등의 원인②-사회적 범주화와 정체성
(1) 사회적 범주화
(2) 집단 간 차별과 사회정체이론
3. 집단 간 갈등의 원인③-투쟁적 영향 책략
Ⅲ. 갈등과정
1. 집단 분화 현상
2. 응집성
3. 내집단/외집단 편향
4. 외집단 동질성 편향 및 소수의 법칙
5. 집단귀인오류
6. 집단 간 갈등 시 확증 편향
3부. 해결 방안
Ⅰ. 사회제도적인 대처 방안
Ⅱ. 심리적 접근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형성되기 어려운 것이 한국 사회의 현실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답은 회의적일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연세대학교 영자신문 ‘연세 애널스(Yonsei Annals)'가 2003년 4월 재학생 5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9.4%가 모병제라면 군대에 가지 않겠다고 답했으며, 단 8.3%만이 자원하겠다고 응답하였다. 매일경제 2003년 4월 3일자 참고
모병제로의 이행이 현실적으로 쉽지만은 않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Ⅱ. 심리적 접근
징병제 자체에 대한 제도적인 해결책은 단기간 내에 찾기 어려울 지라도 심리학적으로 군대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해 볼 수 있다. 물론 군대 문제라는 커다란 사회현상을 한꺼번에 다루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우나,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접근하는 것은 가능하다.
첫번째로 논의해 볼 수 있는 것이 사이버 공간에서의 익명성 문제이다. 군필자와 면제자간 집단 갈등이 드러난 대표적 사례가 군가산점에 관한 사이버 논쟁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논쟁이 점차로 폭력적인 방향으로 전개되어 갈등이 더욱 깊어지게 된 것은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에서 상당 부분 기인한다.
물론 사이버 공간이 어떤 매체보다 자유롭게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토론의 장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앞에서 여러 가지 이론을 가지고 익명성과 폭력성, 갈등 고조에 대해 살펴 본 바와 같이, 사이버 공간에서의 익명성 보장과 책임감 결여로 인한 폭력적 언어는 상대방을 더욱 자극하여 집단 간 갈등을 증폭시키게 된다.
이렇게 소모적이고 파괴적인 논쟁으로 치닫는 것을 막고 대안 제시와 문제 해결의 단서를 얻는 데에 갈등을 활용하려면, 인터넷 토론장의 부분적 실명화 전환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두번째로, 군복무 기간 중의 심리적 지원에 관한 것을 들 수 있다. 군가산점 위헌 판결 논쟁에서 볼 수 있듯이 군필자들은 그들 대부분에게는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오지 않는 가산점 제도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물질적인 혜택도 중요하나, 군복무 기간 동안의 수고에 대한 사회의 인정, 즉 심리적인 보상도 군필자들에게 있어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문제는 군필자에 대한 물질적 보상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이들에게 심리적인 보상을 해 줄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도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군필자들의 박탈감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분노로 표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조사를 하면서 발견한 특이한 현상은, 국방부나 헌법재판소 등에 비하면 군대 문제나 군가산점 위헌 판결 등에 상대적으로 거리가 있어 보이는 여성부의 인터넷 홈페이지 게시판에서 가산점 위헌 판결을 비판하는 글을 더 쉽게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군가산점 논쟁이 이화여대생 전체에 대한 비난으로 흘러가는 현상과, 군가산점 폐지를 비판하는 글은 국방부나 헌법재판소 홈페이지보다 여성부 홈페이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현상 등은, 군필자들의 분노가 적절한 출구를 찾지 못한 결과 여성이나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가 그 분노의 대상이 되고 있음을 추측케 한다.
사회가 해주지 못하는 심리적 보상을, 여성과 장애인 등 면제자들이 군위안부의 역할을 맡아 대신해 주는 것, 이것은 바람직한 방향이라 할 수 없다. 군복무자들이 군 생활을 마치고 사회에 적응하는 것을 돕고, 그 동안의 시간과 노력을 희생한 데 대해 심리적 보상을 느낄 수 있도록 심리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박종영(1995), 社會心理學, 서울 : 大旺社
이훈구(1995), 사회심리학, 법문사.
이훈구(2002), 사회심리학, 법문사.
이훈구 외 공저(1992), 집단 간 갈등과 해소, 법문사.
한국심리학회(2000), 현대심리학의 이해, 학문사.
한규석(2002),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한양대학교 사회인지발달연구모임(2001), 사회정체이론에서 본 집단심리, 서울 : 정민사.
David O. Sears, Jonathan L. Freedman, L. Anne Peplau, Social Psychology(사회심리학), fifth edition, 홍대식 역(1993), 養英閣.
Michael A. Hogg, Dominic Abrams「Social identifications : a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and group processes」
Susan T. Fiske, Shelley E. Taylor Social cognition(사회인지론), 박오수 역(1992), 서울: 法文社.
매일경제신문 2003년 4월 3일자
http://www.moge.go.kr/
http://psylab.yonsei.ac.kr/~social
http://iadc.iwa.org/en/Unit1.htm
http://www-psych.stanford.edu/~heejung/June30.html
http://www.aistudy.co.kr/psychology/
http://www.aistudy.co.kr/psychology/memory.htm#_bookmark_9e7040
* 목 차
초 록
서 론
1부. 군필자ㆍ면제자 간 태도 차이
Ⅰ. 설문 조사
1. 설문 방법
2. 결과
Ⅱ. 집단 간 태도 차이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
1. 군대에 대한 태도의 형성과 발달
2. 군대에 대한 태도와 행동 간의 관계
3. 그 밖의 이론들
(1) 인지적 부조화 이론
(2) 노력 정당화
(3) 신근성 효과
(4) 사회적 범주화
2부. 군가산점 논쟁을 통해 본 집단 간 갈등
Ⅰ. 제대군인 가산점 논쟁
1. 가산점 제도란
2. 갈등의 진행-초기 양상
3. 갈등의 진행-발전
Ⅱ. 갈등의 원인 분석
1. 집단 간 갈등의 원인①-경쟁
2. 집단간 갈등의 원인②-사회적 범주화와 정체성
(1) 사회적 범주화
(2) 집단 간 차별과 사회정체이론
3. 집단 간 갈등의 원인③-투쟁적 영향 책략
Ⅲ. 갈등과정
1. 집단 분화 현상
2. 응집성
3. 내집단/외집단 편향
4. 외집단 동질성 편향 및 소수의 법칙
5. 집단귀인오류
6. 집단 간 갈등 시 확증 편향
3부. 해결 방안
Ⅰ. 사회제도적인 대처 방안
Ⅱ. 심리적 접근
참 고 문 헌
모병제로의 이행이 현실적으로 쉽지만은 않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Ⅱ. 심리적 접근
징병제 자체에 대한 제도적인 해결책은 단기간 내에 찾기 어려울 지라도 심리학적으로 군대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해 볼 수 있다. 물론 군대 문제라는 커다란 사회현상을 한꺼번에 다루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우나,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접근하는 것은 가능하다.
첫번째로 논의해 볼 수 있는 것이 사이버 공간에서의 익명성 문제이다. 군필자와 면제자간 집단 갈등이 드러난 대표적 사례가 군가산점에 관한 사이버 논쟁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논쟁이 점차로 폭력적인 방향으로 전개되어 갈등이 더욱 깊어지게 된 것은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에서 상당 부분 기인한다.
물론 사이버 공간이 어떤 매체보다 자유롭게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토론의 장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앞에서 여러 가지 이론을 가지고 익명성과 폭력성, 갈등 고조에 대해 살펴 본 바와 같이, 사이버 공간에서의 익명성 보장과 책임감 결여로 인한 폭력적 언어는 상대방을 더욱 자극하여 집단 간 갈등을 증폭시키게 된다.
이렇게 소모적이고 파괴적인 논쟁으로 치닫는 것을 막고 대안 제시와 문제 해결의 단서를 얻는 데에 갈등을 활용하려면, 인터넷 토론장의 부분적 실명화 전환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두번째로, 군복무 기간 중의 심리적 지원에 관한 것을 들 수 있다. 군가산점 위헌 판결 논쟁에서 볼 수 있듯이 군필자들은 그들 대부분에게는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오지 않는 가산점 제도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물질적인 혜택도 중요하나, 군복무 기간 동안의 수고에 대한 사회의 인정, 즉 심리적인 보상도 군필자들에게 있어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문제는 군필자에 대한 물질적 보상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이들에게 심리적인 보상을 해 줄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도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군필자들의 박탈감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분노로 표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조사를 하면서 발견한 특이한 현상은, 국방부나 헌법재판소 등에 비하면 군대 문제나 군가산점 위헌 판결 등에 상대적으로 거리가 있어 보이는 여성부의 인터넷 홈페이지 게시판에서 가산점 위헌 판결을 비판하는 글을 더 쉽게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군가산점 논쟁이 이화여대생 전체에 대한 비난으로 흘러가는 현상과, 군가산점 폐지를 비판하는 글은 국방부나 헌법재판소 홈페이지보다 여성부 홈페이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현상 등은, 군필자들의 분노가 적절한 출구를 찾지 못한 결과 여성이나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가 그 분노의 대상이 되고 있음을 추측케 한다.
사회가 해주지 못하는 심리적 보상을, 여성과 장애인 등 면제자들이 군위안부의 역할을 맡아 대신해 주는 것, 이것은 바람직한 방향이라 할 수 없다. 군복무자들이 군 생활을 마치고 사회에 적응하는 것을 돕고, 그 동안의 시간과 노력을 희생한 데 대해 심리적 보상을 느낄 수 있도록 심리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박종영(1995), 社會心理學, 서울 : 大旺社
이훈구(1995), 사회심리학, 법문사.
이훈구(2002), 사회심리학, 법문사.
이훈구 외 공저(1992), 집단 간 갈등과 해소, 법문사.
한국심리학회(2000), 현대심리학의 이해, 학문사.
한규석(2002),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한양대학교 사회인지발달연구모임(2001), 사회정체이론에서 본 집단심리, 서울 : 정민사.
David O. Sears, Jonathan L. Freedman, L. Anne Peplau, Social Psychology(사회심리학), fifth edition, 홍대식 역(1993), 養英閣.
Michael A. Hogg, Dominic Abrams「Social identifications : a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and group processes」
Susan T. Fiske, Shelley E. Taylor Social cognition(사회인지론), 박오수 역(1992), 서울: 法文社.
매일경제신문 2003년 4월 3일자
http://www.moge.go.kr/
http://psylab.yonsei.ac.kr/~social
http://iadc.iwa.org/en/Unit1.htm
http://www-psych.stanford.edu/~heejung/June30.html
http://www.aistudy.co.kr/psychology/
http://www.aistudy.co.kr/psychology/memory.htm#_bookmark_9e7040
* 목 차
초 록
서 론
1부. 군필자ㆍ면제자 간 태도 차이
Ⅰ. 설문 조사
1. 설문 방법
2. 결과
Ⅱ. 집단 간 태도 차이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
1. 군대에 대한 태도의 형성과 발달
2. 군대에 대한 태도와 행동 간의 관계
3. 그 밖의 이론들
(1) 인지적 부조화 이론
(2) 노력 정당화
(3) 신근성 효과
(4) 사회적 범주화
2부. 군가산점 논쟁을 통해 본 집단 간 갈등
Ⅰ. 제대군인 가산점 논쟁
1. 가산점 제도란
2. 갈등의 진행-초기 양상
3. 갈등의 진행-발전
Ⅱ. 갈등의 원인 분석
1. 집단 간 갈등의 원인①-경쟁
2. 집단간 갈등의 원인②-사회적 범주화와 정체성
(1) 사회적 범주화
(2) 집단 간 차별과 사회정체이론
3. 집단 간 갈등의 원인③-투쟁적 영향 책략
Ⅲ. 갈등과정
1. 집단 분화 현상
2. 응집성
3. 내집단/외집단 편향
4. 외집단 동질성 편향 및 소수의 법칙
5. 집단귀인오류
6. 집단 간 갈등 시 확증 편향
3부. 해결 방안
Ⅰ. 사회제도적인 대처 방안
Ⅱ. 심리적 접근
참 고 문 헌
추천자료
기여입학제도의 개념, 외국 상황, 장단점, 전망, 나의 견해
[국민연금제도][국민연금]국민연금제도의 현황과 제도개선을 위한 정책과정 및 향후 국민연금...
국민연금제도의 필요성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교원임용제도의 의의와 특징 및 실태와 문제점과 해결방안 분석(A+)
[대학]대학종합평가인정제도(대학평가)의 의의, 대학종합평가인정제도(대학평가)의 추진경과...
고교평준화제도(고등학교평준화정책) 필요성, 고교평준화제도(고등학교평준화정책) 과정, 고...
고교평준화정책(고등학교평준화제도)과 하향평준화, 교육선택권, 고교평준화정책(고등학교평...
[특허출원][특허공개제도]특허출원의 필요성, 특허출원의 절차, 특허출원의 심사청구, 특허출...
[교원승진, 교원 승진제도 분석]교원승진의 현행 제도 분석과 문제점 및 교원승진의 올바른 ...
국내보육제도의 관련기사 스크랩 및 나의 생각 제시
인턴제도
[창업보육센터]창업보육센터의 성공요인, 창업보육센터의 외부연계, 창업보육센터의 대학지원...
[교원승진제도] 교육공무원 승진제도
교원승진제도의 이론적 배경과 교원승진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