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및 계산
A. 벤츄리 실험
B. 오리피스 실험
C. 급확대 실험
D. 급축소 실험
3. 장치의 구조
4. 실험방법
5. 참고문헌
2. 실험이론 및 계산
A. 벤츄리 실험
B. 오리피스 실험
C. 급확대 실험
D. 급축소 실험
3. 장치의 구조
4. 실험방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30 × D
Kf = 손실계수 = 0.9 (90°L-bow 이므로)
2) 마찰손실계수 구하기
F. 직관 및 부속품의 마찰 손실 측정실험
설명: 마찰계수 선도(레이놀즈수와 마찰계수의 관계)를 이용하거나 레이놀즈수를 식에 응용한 값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NRe<2300 인 경우, (5000이하에도 사용되기도 함)
5000
1) 관내유속구하기
관내 유속 = Q/A
2)레이놀즈수 구하기
3) 마찰손실계수 구하기
f = 0.0791NRe-0.25
4) 마찰손실 구하기
3. 장치의 구조
4. 실험방법
※ 준비작업
1. Water tank 내부를 깨끗이 청소한 후 호수를 이용하여 tank의 2/3 정도 물을 채운다.
※ Water Tank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pump를 가동하지 말 것.
2. 전원을 넣기 전 bypass 밸브을 개방하고 pump를 가동한다.
◎ 작동순서
1) 실험장치의 모든 밸브를 완전히 열어 놓는다.
2) 실험장치의 pump전원 콘센트를 220V에 연결하고 켠다.
3) 각 관로 중 실험하고자 하는 line의 흐름 방향 valve와 bypass valve만을 열어놓고 다른 valve는 모두 잠근다.
ex) 상부 직관 실험시 ①, ②, ③ valve만을 열어 놓는다.
4) 유량조절은 bypass와 control valve(③)를 이용하여 조절한다.
(장치의 조작이 숙달되면 Flow control valve를 사용하여 조작할 수 있다.)
5) 유량을 조절하는 이유는 manometer로 수두 차를 읽을 수 있는 유량으로 맞추어 주는 것이다.
※ manometer의 수두차를 읽기 전 manometer와 pipe line상의 기포를 모두 제거해 주어야 한다.
7)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은 manometer상단의 공기vent 밸브 를 열고를 닫은 상태에서 (manometer속의 기포가 line을 통해 배출됨)control valve를 수차례 서서히 개폐동작을 반복하여 기포를 완전히 제거하고 공기vent밸브 를 잠근 후 공기주입를 열어, 공기주입 펌프로 공기를 manometer 에 넣어주어 수두 차가 나타나면 공기주입를 잠근 후 수두 차를 읽으면 된다.
8) 수두 차를 check한 후 그때의 유량을 메스실린더와 초시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기록한다.
◎ 주의사항
― 장치의 동파 방지를 위하여 실험이 끝나면 장치의 모든 밸브를 열어 물을 배수하여 주고, Tank안의 물도 완전히 빼주어야 한다.
― 측정 작업 시 밸브의 개, 폐동작을 확실히 확인한 후, 실험에 적당한(manometer로 측정 가능한) 유량으로 조절한다.
― manometer의 관로에 기포를 빼준 후, 수두와 실험유량을 체크하여야 한다.
― 수은manometer의 측정 시 관로의 물이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5. 참고문헌
♣ 유체역학 - Stanley middleman - 교보문고
♣ 화학대사전 - 감수위원회 - 화학아카데미클럽
♣ 단위조작 전공책
♣ 유체마찰메뉴얼 - 교수님
♣ 인터넷
Kf = 손실계수 = 0.9 (90°L-bow 이므로)
2) 마찰손실계수 구하기
F. 직관 및 부속품의 마찰 손실 측정실험
설명: 마찰계수 선도(레이놀즈수와 마찰계수의 관계)를 이용하거나 레이놀즈수를 식에 응용한 값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NRe<2300 인 경우, (5000이하에도 사용되기도 함)
5000
관내 유속 = Q/A
2)레이놀즈수 구하기
3) 마찰손실계수 구하기
f = 0.0791NRe-0.25
4) 마찰손실 구하기
3. 장치의 구조
4. 실험방법
※ 준비작업
1. Water tank 내부를 깨끗이 청소한 후 호수를 이용하여 tank의 2/3 정도 물을 채운다.
※ Water Tank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pump를 가동하지 말 것.
2. 전원을 넣기 전 bypass 밸브을 개방하고 pump를 가동한다.
◎ 작동순서
1) 실험장치의 모든 밸브를 완전히 열어 놓는다.
2) 실험장치의 pump전원 콘센트를 220V에 연결하고 켠다.
3) 각 관로 중 실험하고자 하는 line의 흐름 방향 valve와 bypass valve만을 열어놓고 다른 valve는 모두 잠근다.
ex) 상부 직관 실험시 ①, ②, ③ valve만을 열어 놓는다.
4) 유량조절은 bypass와 control valve(③)를 이용하여 조절한다.
(장치의 조작이 숙달되면 Flow control valve를 사용하여 조작할 수 있다.)
5) 유량을 조절하는 이유는 manometer로 수두 차를 읽을 수 있는 유량으로 맞추어 주는 것이다.
※ manometer의 수두차를 읽기 전 manometer와 pipe line상의 기포를 모두 제거해 주어야 한다.
7)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은 manometer상단의 공기vent 밸브 를 열고를 닫은 상태에서 (manometer속의 기포가 line을 통해 배출됨)control valve를 수차례 서서히 개폐동작을 반복하여 기포를 완전히 제거하고 공기vent밸브 를 잠근 후 공기주입를 열어, 공기주입 펌프로 공기를 manometer 에 넣어주어 수두 차가 나타나면 공기주입를 잠근 후 수두 차를 읽으면 된다.
8) 수두 차를 check한 후 그때의 유량을 메스실린더와 초시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기록한다.
◎ 주의사항
― 장치의 동파 방지를 위하여 실험이 끝나면 장치의 모든 밸브를 열어 물을 배수하여 주고, Tank안의 물도 완전히 빼주어야 한다.
― 측정 작업 시 밸브의 개, 폐동작을 확실히 확인한 후, 실험에 적당한(manometer로 측정 가능한) 유량으로 조절한다.
― manometer의 관로에 기포를 빼준 후, 수두와 실험유량을 체크하여야 한다.
― 수은manometer의 측정 시 관로의 물이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5. 참고문헌
♣ 유체역학 - Stanley middleman - 교보문고
♣ 화학대사전 - 감수위원회 - 화학아카데미클럽
♣ 단위조작 전공책
♣ 유체마찰메뉴얼 - 교수님
♣ 인터넷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