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1)정의 및 사용용도
2)Mux의 원리
2. 알고리즘-특별한 알고리즘은 존재하지 않음
3. Verilog 코드
4. 파형 및 분석
1)정의 및 사용용도
2)Mux의 원리
2. 알고리즘-특별한 알고리즘은 존재하지 않음
3. Verilog 코드
4. 파형 및 분석
본문내용
utput e에 출력된다.
10일 때 Input c가 바로 trigger되지 않았기 때문에 Input c가 Trigger된 후 약간의 Time Delay를 가지고 Output에 출력된다.
7) 녹색 동그라미 친 부분인 Input d의 출력파형인데, Output e에서 길게 붙어 있는 까닭은
Input c가 Output에 걸린 상태에서 sel이 11로 바뀌는 것을 확인하면 알기 쉽다. sel이 11로 바뀌는 동시에 Input d가 trigger되므로 프로그램 상 sel이 11일 때는 Input d의 출력파형이 출력 되어야 한다. 따라서 Input c가 바로 종료가 된 후 아주 약간의 Time Delay를 거친 후 바로 sel이 11인 구간에서 Input d가 Output e로 출력 됨을 알 수 있다.
10일 때 Input c가 바로 trigger되지 않았기 때문에 Input c가 Trigger된 후 약간의 Time Delay를 가지고 Output에 출력된다.
7) 녹색 동그라미 친 부분인 Input d의 출력파형인데, Output e에서 길게 붙어 있는 까닭은
Input c가 Output에 걸린 상태에서 sel이 11로 바뀌는 것을 확인하면 알기 쉽다. sel이 11로 바뀌는 동시에 Input d가 trigger되므로 프로그램 상 sel이 11일 때는 Input d의 출력파형이 출력 되어야 한다. 따라서 Input c가 바로 종료가 된 후 아주 약간의 Time Delay를 거친 후 바로 sel이 11인 구간에서 Input d가 Output e로 출력 됨을 알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