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수혈의 정의

2. 수혈의 목적

3. 수혈의 종류

4. 혈액의 종류

5. 수혈 시 간호

본문내용

는 양보다 빠른 속도나 다량의 수액이 투여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증상 : 정맥압의 상승, 경정맥의 팽창, 호흡곤란, 기침, 폐기저부의 마찰음
관리 :
- 수혈을 중단하고 생리식염수로 정맥을 유지한다.
- 지지할 수 있는 직립자세를 취해준다.
- 처방된 이뇨제, 산소, morphine과 aminophylline을 투여한다.
예방 : 가능하면 농축 혈액물을 투여하고 주입속도 역시 천천히 유지시킨다.
* 용혈반응
원인 : 부적합 수혈로서 ABO혈액형이나 Rh인자의 상이성에 기인하며 그 외에 유효기간이 지났거나 동결된 전혈의 투여에 의해서 발생
증상 : 오한, 요통, 홍조, 흉부 조임감, 발열, 저혈압, 혈관허탈, 혈색소 뇨, 출혈, 급성 신부전
관리 :
- 헤파린 투여 -> 혈관 내 응혈방지를 위해 투여
- mannitol 투여 -> 삼투성 이뇨제로서 적절한 소변량을 유지하기 위해 투여
- shock 치료 -> nor-epinephrine과 phenoxybenzamine 투여
- 수액요법 -> 사구체여과량과 신혈류량 유지를 위해 정맥내로 교질액이나 전해질 용액 투여
- sodium bicarbonate, lactate 투여 -> 소변의 알칼리화로 세뇨관내 heme의 침전을 방지
2) 지연된 반응
① 만성반응은 수혈 후 며칠부터 몇 년 후에 발생한다.
② 만성반응에는 만성 용혈반응, 철 과잉, GVHD, 감염성 질환 등이 있다.
③ 만성반응의 증상은 경한 정도에서 중한 정도까지 다양할 수 있다. 수혈 후 반응이 나타나기까지의 긴 잠복기와 진단검사를 완료한 후에 확진이 가능하다.
* 지연된 용혈반응
원인 : 교차반응을 하는 동안 감별하지 못하나 수혈 후 빠르게 형성되는 항체에 의해 수혈된 적혈구가 빠르게 파괴된다. 이러한 항체는 과거의 수혈 또는 임신 기간 동안 항원에 노출되었기 때문에 빠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증상 : 발열, 오한, 빈혈, 경한 고 빌리루빈혈증, 혈구용적의 저하
관리 : 일반적으로 치료는 요하지 않으나 용혈반응의 기왕력이 있는 대상자는 자신의 blood phenotype을 기록하고 항체의 신분을 증명해 주는 카드를 반드시 소지하게 하여 예방
* 철 과잉
원인 : 장기간 다량의 수혈결과 (재생 불량성 빈혈, 지중해성 빈혈)로 심장, 내분비기관, 간, 비장, 피부와 기타 주요 기관 내의 철의 침전
증상 : 울혈성 심부전, 부정맥, 갑상선과 성선기능의 저하, 당뇨 및 경화증
관리 : Deferoxamine은 철분을 흡착시켜 신장을 통해 배설
* 이식편대 숙주반응 (GVHR)
원인 : 숙주에 대항하여 조직이식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면역억제 환자의 고수 내 림프구 이식
증상 : 발적성 피부, 간 기능 검사의 이상, 설사
관리 :
- corticosteroids, cyclosporine A로 면역억제
- 설사를 위한 수분과 전해질 대치
예방 : 혈액성분을 방사선 처리하여 공여자의 임파구를 비활성화 시킴으로서 예방
(6) 수혈결과 확인
1) 수혈 시작 후 10-15분간은 환자 관찰 및 활력징후 점검, 이후 30분마다 환자를 관찰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4.05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27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