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요약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 ━━━━━━━━━━━━━
─────── ━━━━━━━++━━━━━━━ ---------------- ───
--------------- ───────
←Iband→←─── A band ─────→←Iband→
←Hzone→
Z --------------근 절----------------Z
3. 골격근의 수축
1) 운동 단위 (Motor unit)
하나의 neuron과 그 뉴론이 지배하는 모든 근섬유 (10-수 백개)
2) 신경 근 접합
활동 전압 -→ 뉴론 말단에 Ca+ 유입-→ 아세틸 콜린 유리 -→ 근섬유막 수용체에 아세틸 콜린 결합 -→
Na+투과성증가 -→ 근 섬유 활동전압 발생 (기록 : 근전도,Electromyogram :EMG)
3) 근 수축 기전
활동 전압 -→ T-세관으로 전도 -→ 근장 그물로부터 Ca+ 유리-→ Ca+가 트로포닌과 결합-→ 트로포마이오신
이동-→ 고 에너지 마이오신 head (굵은 필라멘트)와 액틴 결합(가는 필라멘트) -→교차다리 형성-→ 액틴 필라
멘트를 근절 중앙으로 (수축)-→ 마이오신 head에 ATP 작용 -→ 교차다리분리(이완) -→ 반복
(ATP→ ADP +Pi)
* 근 수축 :- H zone 과 I band가 짧아진다
* 트로포마이오신은 액틴필라멘트에 마이오신 결합 부위를 덮어 마이오신 head의 결합을 차단하고 있다
4) 근 수축의 특성
+- 등력성 수축 :- 근육의 길이는 짧아지나 장력의 변화는 없음
+- 등장성 수축 :- 근육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나 장력은 변화
+- 연축 :- 근 섬유가 한번 빠르게 수축하고 이완
+- 강축 :- 짧은 시간에 반복 자극 (큰 장력이 발생 지속적으로 유지)
+- 강직 :- 비가역적 수축 상태
5) 근 수축 에너지 원 (ATP ---→ ADP +Pi)
+- 근섬유 :- Creatine phosphate + ADP -→ ATP + creatine
+- 혐기성 :- 포도당 -→ ATP + 젖산
+- 호기성 :- 아미노산 혹은 지방산 -→ 산화 인산화 반응-→ ATP
6) 골격근 질환
+- 비대 와 위축
+- 경련 :- 통증을 수반하는 불수의적인 근육의 수축 운동 ( 근육내 산소 부족, Na+와 Cl- 부족)
+- 근이양증 :- 근육이 점진적으로 약화 (근 섬유의 퇴행성 변화-유전성)-루게릭병
+- 중증 근무력증 :- 신경- 근 접합부의 기능 이상 (아세틸콜린 자기 항체- 자극 차단)

키워드

서론,   세포,   물질이동,   신경,   근육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4.07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2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