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
─────── ━━━━━━━++━━━━━━━ ---------------- ───
--------------- ───────
←Iband→←─── A band ─────→←Iband→
←Hzone→
Z --------------근 절----------------Z
3. 골격근의 수축
1) 운동 단위 (Motor unit)
하나의 neuron과 그 뉴론이 지배하는 모든 근섬유 (10-수 백개)
2) 신경 근 접합
활동 전압 -→ 뉴론 말단에 Ca+ 유입-→ 아세틸 콜린 유리 -→ 근섬유막 수용체에 아세틸 콜린 결합 -→
Na+투과성증가 -→ 근 섬유 활동전압 발생 (기록 : 근전도,Electromyogram :EMG)
3) 근 수축 기전
활동 전압 -→ T-세관으로 전도 -→ 근장 그물로부터 Ca+ 유리-→ Ca+가 트로포닌과 결합-→ 트로포마이오신
이동-→ 고 에너지 마이오신 head (굵은 필라멘트)와 액틴 결합(가는 필라멘트) -→교차다리 형성-→ 액틴 필라
멘트를 근절 중앙으로 (수축)-→ 마이오신 head에 ATP 작용 -→ 교차다리분리(이완) -→ 반복
(ATP→ ADP +Pi)
* 근 수축 :- H zone 과 I band가 짧아진다
* 트로포마이오신은 액틴필라멘트에 마이오신 결합 부위를 덮어 마이오신 head의 결합을 차단하고 있다
4) 근 수축의 특성
+- 등력성 수축 :- 근육의 길이는 짧아지나 장력의 변화는 없음
+- 등장성 수축 :- 근육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나 장력은 변화
+- 연축 :- 근 섬유가 한번 빠르게 수축하고 이완
+- 강축 :- 짧은 시간에 반복 자극 (큰 장력이 발생 지속적으로 유지)
+- 강직 :- 비가역적 수축 상태
5) 근 수축 에너지 원 (ATP ---→ ADP +Pi)
+- 근섬유 :- Creatine phosphate + ADP -→ ATP + creatine
+- 혐기성 :- 포도당 -→ ATP + 젖산
+- 호기성 :- 아미노산 혹은 지방산 -→ 산화 인산화 반응-→ ATP
6) 골격근 질환
+- 비대 와 위축
+- 경련 :- 통증을 수반하는 불수의적인 근육의 수축 운동 ( 근육내 산소 부족, Na+와 Cl- 부족)
+- 근이양증 :- 근육이 점진적으로 약화 (근 섬유의 퇴행성 변화-유전성)-루게릭병
+- 중증 근무력증 :- 신경- 근 접합부의 기능 이상 (아세틸콜린 자기 항체- 자극 차단)
─────── ━━━━━━━++━━━━━━━ ---------------- ───
--------------- ───────
←Iband→←─── A band ─────→←Iband→
←Hzone→
Z --------------근 절----------------Z
3. 골격근의 수축
1) 운동 단위 (Motor unit)
하나의 neuron과 그 뉴론이 지배하는 모든 근섬유 (10-수 백개)
2) 신경 근 접합
활동 전압 -→ 뉴론 말단에 Ca+ 유입-→ 아세틸 콜린 유리 -→ 근섬유막 수용체에 아세틸 콜린 결합 -→
Na+투과성증가 -→ 근 섬유 활동전압 발생 (기록 : 근전도,Electromyogram :EMG)
3) 근 수축 기전
활동 전압 -→ T-세관으로 전도 -→ 근장 그물로부터 Ca+ 유리-→ Ca+가 트로포닌과 결합-→ 트로포마이오신
이동-→ 고 에너지 마이오신 head (굵은 필라멘트)와 액틴 결합(가는 필라멘트) -→교차다리 형성-→ 액틴 필라
멘트를 근절 중앙으로 (수축)-→ 마이오신 head에 ATP 작용 -→ 교차다리분리(이완) -→ 반복
(ATP→ ADP +Pi)
* 근 수축 :- H zone 과 I band가 짧아진다
* 트로포마이오신은 액틴필라멘트에 마이오신 결합 부위를 덮어 마이오신 head의 결합을 차단하고 있다
4) 근 수축의 특성
+- 등력성 수축 :- 근육의 길이는 짧아지나 장력의 변화는 없음
+- 등장성 수축 :- 근육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나 장력은 변화
+- 연축 :- 근 섬유가 한번 빠르게 수축하고 이완
+- 강축 :- 짧은 시간에 반복 자극 (큰 장력이 발생 지속적으로 유지)
+- 강직 :- 비가역적 수축 상태
5) 근 수축 에너지 원 (ATP ---→ ADP +Pi)
+- 근섬유 :- Creatine phosphate + ADP -→ ATP + creatine
+- 혐기성 :- 포도당 -→ ATP + 젖산
+- 호기성 :- 아미노산 혹은 지방산 -→ 산화 인산화 반응-→ ATP
6) 골격근 질환
+- 비대 와 위축
+- 경련 :- 통증을 수반하는 불수의적인 근육의 수축 운동 ( 근육내 산소 부족, Na+와 Cl- 부족)
+- 근이양증 :- 근육이 점진적으로 약화 (근 섬유의 퇴행성 변화-유전성)-루게릭병
+- 중증 근무력증 :- 신경- 근 접합부의 기능 이상 (아세틸콜린 자기 항체- 자극 차단)
추천자료
인간배아복제와 생명윤리
당뇨병과 임상 검사법
미래의학
유전공학 기술의 현황과 전망
[생물학] 그램 염색법에 대하여
유전자치료
[미생물감염, 미생물감염 경로, 치주질환, 미생물, 가족, 박테리아, 바이러스]미생물감염의 ...
생명공학의 발전과 여성인권 및 생명윤리
태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대해 기술
인류에게 있어 필요악(必要惡)인 인간 유전자 조작
[2017년 기초간호과학]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의 특징적인 차이, 염증 형태적 분류 예. 염증 국...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의 특징적인 차이, 염증 형태적분류, 염증 국소적영향 전신적영향, 전신...
기초간호과학]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영향 전신영향, 종양병기, 악성종양 병기 TNM분류방...
[동서협진과 CASE] 호흡곤란을 주소로 하는 폐암 여환 1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