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 사회복지의 예술성
1. 동정(자비로움, 용기)
2. 전문적 관계(감정이입, 온화함, 진실성)
3. 창의성(상상력, 융통성, 인내심)
4. 희망(확고한 믿음과 신념)
5. 판단
6. 개인적 가치
7. 전문가 스타일
- 사회복지의 과학성
1. 사회적 조건과 사회문제에 관한 지식
2. 사회정책과 사회적 프로그램에 관한 지식
3. 사회적 현상에 관한 지식
4. 사회복지전문직에 관한 지식
5.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지식
결론
사례 및 토의사항
본론
- 사회복지의 예술성
1. 동정(자비로움, 용기)
2. 전문적 관계(감정이입, 온화함, 진실성)
3. 창의성(상상력, 융통성, 인내심)
4. 희망(확고한 믿음과 신념)
5. 판단
6. 개인적 가치
7. 전문가 스타일
- 사회복지의 과학성
1. 사회적 조건과 사회문제에 관한 지식
2. 사회정책과 사회적 프로그램에 관한 지식
3. 사회적 현상에 관한 지식
4. 사회복지전문직에 관한 지식
5.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지식
결론
사례 및 토의사항
본문내용
, 많은 시간을 지체하게 되었다. kristohpher는 친구를 사귀는 것이 무척이나 힘들었고, 더 큰 문제는 krishopher는 그 누구에게도 자기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것이 힘든 아이였다.
krishopher의 정서는 불안해 갔고, 선생님에 향한 방황심도 함께 커갔다. 또한 그의 집중력도 많이 하락 하였다. krishopher는 또한 수업 방해 하는 주요인물이였다. 한마디로 학교에서 나쁜 아이로 낙인이 되어가고 있는 아이였다.
kristohpher의 행동은 가정안에서도 심하게 나타났다. kristohpher의 어머니는 도저히 방법이 없어 학교 선생님과 상담을 했다.
krishopher학교는 10명중에 1명 꼴로 바나도의 commumity support 팀들이 구성되어 사회복지사와 선생님들과 community support팀과 함께 손을 잡아 가정과 학교에 문제가 있는 학생들을 원활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에 의탁하기로 했다.
krishopher의 행동은 학교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그의 부모들은 그를 가르치는 것이 무척이나 힘들었다. 그래서Pauline cater (co-ordinated)라는 사람을 가정 안에 투입하여 tutor처럼 도와주었고. 또한 community support worker는 학교로 투입하여 krishopher를 도와주었다.
집에서는 Pauline cater (co-ordinated)가 krishopher의 인간관계와 가정 안에서 역할, 엄마와 krishopher함께 긍정적인 시간을 가지면서 함께 하는 시간에 포커스를 두었다.
학교에서는 community support worker(Shirley Darling)은 교실에서 항상 krishopher와 함께 정기적으로 만남을 가져 상담을 하였다. krishopher는 Shirley Darling에게 지금까지 가지지 못했던 신뢰를 얻게 되고 krishopher학교생활가운데 모든 관계 속에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였다.
krishopher는 여러 사람들과 말할 수 있는 자신감과, 독립심이 생겼고, 학업 증진도 빨리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
구체적인 토론이 들어가기 전에
영국의 학교사회사업은 한국과 많이 다르기 때문에 영국의 학교사회사업의 체제를 알아 보도록 하자.
우선 영국 정부에서는 의무적으로 구 단위로 청소년 상담 관리 기관들을 연계 시켜서 학교에서 해결 되지 못하는 아이들의 문제(임신, 약물남용, 부적응, 집중력 저하 등)를 상담하고, 멘토 해주는 단체를 가지고 있다.
학교와 바나도의 관계는 10명 중에 1명 꼴로 아이들을 관리하는 체제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면 학교는 바나도에 의뢰하고 바나도는 클라이언트에 맞는 상황과 환경을 이해 한 다음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것을 찾아 프로그램을 만든다.
여기서, 사회복지사는 32가지 stadard를 가지고 봉사자들(co-ordinated, community support worker)를 체크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만들어가는 슈퍼바이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봉사자들(co-ordinated, community support worker)은 일지를 가지고 있으면서 실시간 클라이언트를 확인한다.
어떤 부분이 예술성이고, 어떤 부분이 과학성일까요?
그리고, 무엇이 더 더해져야 할까요?
어떻게 해야 예술성과 과학성을 잘 혼합할 수 있을까요?
참고문헌 : 나남출판 『 사회복지 실천기법과 지침 』
인터넷 등
사례 출처 : Barnardo's - Annual Review 2004
3팀 Love in Action 다음 카페 : http://cafe.daum.net/loveinaction486
krishopher의 정서는 불안해 갔고, 선생님에 향한 방황심도 함께 커갔다. 또한 그의 집중력도 많이 하락 하였다. krishopher는 또한 수업 방해 하는 주요인물이였다. 한마디로 학교에서 나쁜 아이로 낙인이 되어가고 있는 아이였다.
kristohpher의 행동은 가정안에서도 심하게 나타났다. kristohpher의 어머니는 도저히 방법이 없어 학교 선생님과 상담을 했다.
krishopher학교는 10명중에 1명 꼴로 바나도의 commumity support 팀들이 구성되어 사회복지사와 선생님들과 community support팀과 함께 손을 잡아 가정과 학교에 문제가 있는 학생들을 원활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에 의탁하기로 했다.
krishopher의 행동은 학교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그의 부모들은 그를 가르치는 것이 무척이나 힘들었다. 그래서Pauline cater (co-ordinated)라는 사람을 가정 안에 투입하여 tutor처럼 도와주었고. 또한 community support worker는 학교로 투입하여 krishopher를 도와주었다.
집에서는 Pauline cater (co-ordinated)가 krishopher의 인간관계와 가정 안에서 역할, 엄마와 krishopher함께 긍정적인 시간을 가지면서 함께 하는 시간에 포커스를 두었다.
학교에서는 community support worker(Shirley Darling)은 교실에서 항상 krishopher와 함께 정기적으로 만남을 가져 상담을 하였다. krishopher는 Shirley Darling에게 지금까지 가지지 못했던 신뢰를 얻게 되고 krishopher학교생활가운데 모든 관계 속에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였다.
krishopher는 여러 사람들과 말할 수 있는 자신감과, 독립심이 생겼고, 학업 증진도 빨리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
구체적인 토론이 들어가기 전에
영국의 학교사회사업은 한국과 많이 다르기 때문에 영국의 학교사회사업의 체제를 알아 보도록 하자.
우선 영국 정부에서는 의무적으로 구 단위로 청소년 상담 관리 기관들을 연계 시켜서 학교에서 해결 되지 못하는 아이들의 문제(임신, 약물남용, 부적응, 집중력 저하 등)를 상담하고, 멘토 해주는 단체를 가지고 있다.
학교와 바나도의 관계는 10명 중에 1명 꼴로 아이들을 관리하는 체제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면 학교는 바나도에 의뢰하고 바나도는 클라이언트에 맞는 상황과 환경을 이해 한 다음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것을 찾아 프로그램을 만든다.
여기서, 사회복지사는 32가지 stadard를 가지고 봉사자들(co-ordinated, community support worker)를 체크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만들어가는 슈퍼바이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봉사자들(co-ordinated, community support worker)은 일지를 가지고 있으면서 실시간 클라이언트를 확인한다.
어떤 부분이 예술성이고, 어떤 부분이 과학성일까요?
그리고, 무엇이 더 더해져야 할까요?
어떻게 해야 예술성과 과학성을 잘 혼합할 수 있을까요?
참고문헌 : 나남출판 『 사회복지 실천기법과 지침 』
인터넷 등
사례 출처 : Barnardo's - Annual Review 2004
3팀 Love in Action 다음 카페 : http://cafe.daum.net/loveinaction486
추천자료
사회복지 민영화, 정부 민간 사회복지체계 구성, 정부민간 사회복지역할 분담, 민간 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관의 근거와 사업, 운영과 발전방향 및 지역자활센터의 기능과 지역사회복지실...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에 대해 서술하고 본인이 사회복지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와 가장 중요하...
군사회복지 - 군사회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및 우리나라 군사회복지 환경, 군사회복지프로그램...
지역사회복지관의 근거와 사업, 운영과 발전방향 및 지역자활센터의 기능과 지역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정책개념, 사회복지정책특성, 사회복지정책목표, 사회복지정책이론, ...
사회복지조사론 2017년) 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조사를 ...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중 사회복지 행정의 기능과 사회복지 행정가의 윤리에 대해 조사하여 정...
사회복지행정론 총정리 上 :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이론, 이념, 접근방법, 발달, 사회복지조...
사회복지개론- 일반적으로 사회복지실천이라고 하면,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
사회복지의 권리성과 사회복지 주체와 법률관계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이고 사회복지의 권리성...
사회복지실천기술론 1) 잔여적 사회복지실천과 제도적 사회복지실천의 차이를 논의하시오. 2...
사회복지행정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복지조직, 사회복지관리, 사회복지프로그램 3개의 개념과 ...
사회복지법제_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사랑의 열매 성금을 유흥비에 사용한 사건과 연관 지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