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아동을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기획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자폐아동을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기획

I. 자폐아동의 상호작용을 위한 음악치료레크리에이션

II.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원리
(1) 오르프 음악치료(Orff Music Therapy by Gertrud Orff)
(2) 민속음악의 치료적 개념과 사물놀이

III. 주의 사항
(1) 음악치료의 연구 문제
(2) 용어의 정의

IV. 음악치료의 방법
(1)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대상
(2)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방법
(3)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내용단계 구성
(4)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자료처리

V.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평가
(1) 외부세계 인식 및 상호작용에 대한 반응 결과
(2) 외부세계 인식 및 상호작용의 영역별(정서적, 신체적, 음악적, 언어적)간 반응 결과
(3) 아동별 외부세계 인식 및 상호작용에 대한 반응 결과
(4) 각 아동의 외부세계 인식 및 상호작용의 영역별(정서적, 신체적, 음악적 언어적)간 반응 결과 및 음악활동 내용
(5) 결론

본문내용

후기 평균 빈도 수와 유의성 검정
초 기
후 기
df
t 값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정서적
1.56(1.33)
5.56(2.24)
8
6.66**
눈맞춤
1.67(1.15)
5.33(0.58)
2
11.00**
찡그림
0.33(0.58)
3.33(1.53)
2
2.60
미소
2.67(1.15)
8.00(1.00)
2
4.44*
신체적
1.67(0.58)
7.00(1.00)
2
8.00*
음악적
1.33(1.53)
6.67(0.58)
2
4.44*
언어적
1.17(1.33)
6.83(6.49)
5
2.65*
발성적
2.33(0.58)
12.67(1.53)
2
11.72**
구어적
0.00(0.00
1.00(1.00)
2
1.73
*p<.05, **p<.01
초기, 후기간의 평균 빈도 수의 차이가 의미가 있는지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정서영역의 세부적 반응영역 중 눈맞춤(t=11.00, p<.01)과 미소(t=4.44, p<.05)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신체적 반응(t=8.00, p<.05)과 음악적 반응(t=4.44, p<.05)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언어영역의 세부적 반응영역의 변화를 살펴보면, 발성적 반응(t=11.72, p<.01)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눈맞춤, 미소, 신체적, 음악적, 발성적 등 다양하게 유의성을 보인 B아동은 사물놀이 악기를 신체를 이용하여 연주하는 악기의 촉감, 그 촉각을 이용한 음색에 대하여 매우 적극적으로 반응하였다. 특히 징의 진동을 이용한 음악적 구조화는 언어적 영역에서 구어적 표현까지 갈 수 있었다. 음악활동을 통한 외부세계 인식에 대한 반응이 다양하게 측정되었으며 연구자와 이중주 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부분적으로 이루었다.
2. C 아동
C 아동의 각 영역별 초기, 후기 평균 빈도 수와 유의성 검정
초 기
후 기
df
t 값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정서적
1.67(0.82)
5.67(2.80)
8
2.74*
눈맞춤
1.00(0.00)
8.50(0.71)
2
15.00*
찡그림
1.67(1.53)
2.67(0.58)
2
1.73
미소
1.33(0.58)
6.33(1.15)
2
8.66*
신체적
2.00(1.00)
6.00(1.00)
2
6.93*
음악적
0.33(0.58)
3.00(1.00)
2
3.02
언어적
0.50(0.84)
2.33(3.20)
5
1.44
발성적
0.50(0.71)
3.00(1.41)
2
5.00
구어적
0.00(0.00
0.00(0.00)
2
-
*p<.05
초기, 후기간의 평균 빈도 수의 차이가 의미가 있는지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정서적 반응의 세부적 반응영역 중 눈맞춤(t=15.00, p<.05)과 미소(t=8.66, p<.05)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신체적 반응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t=6.93, p<.05), 음악적 반응과 언어적 반응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눈맞춤, 미소, 신체적 영역에 유의성을 보인 C아동은 심한 자폐 성향으로 11회 세션까지 많은 어려움을 주었다. 13회 늘 높은 곳을 선호하는 아동을 따라 교실의 진료 침대 공간에서 활동하게 함으로써 연구자와의 관계형성을 비로소 이루었다. 이는 자폐아동에게 환경에 있어 보다 자유를 제공하고 음악적 요소의 구조화를 통한 활동 안에서의 일관성과 예측할 수 있는 상황의 환경제공이 필요하다는 중요성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중요한 임상사례이다. 악기 자체 촉감을 이용한 음색과 꽹과리의 시각적인 움직임을 즐겼으며, 특히 북을 연구자와 끌어안고 진동을 몸으로 느낄 수 있는 활동에 편안해 하였다. 징의 울림을 손의 촉각으로 접촉하는 활동에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활동을 위해 구성된 음악활동은 아동의 특성과 능력의 차이로 A, B아동에게는 7단계 정도까지 C아동은 5단계 정도까지 실행할 수 있었다.
(5) 결론
사물놀이 악기 중심의 음악활동은 자폐아동의 외부세계 인식 및 상호작용에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자폐아동에게 사물놀이 악기를 이용한 구조화된 음악활동의 적용이 외부세계를 지각할 수 있는 '자극 제시로서의 음악(music as a cue)'에 유용한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사물놀이 악기는 서양 악기들에 비해 가공되어지지 않은 소리에 그 외형 자체가 매우 토속적이고 너무 자연스러워 아동들에게 흥미를 줄 수 없으리라는 선입견과는 달리 자연스럽고 둥근 외형은 악기를 안고 만지고 굴리면서 악기에 대한 편안함과 친근감을 제공할 수 있었다. 자연물을 그대로 이용한 자연소리 자체의 울림은 악기의 채와 직접 손으로 연주하는 촉감을 이용하여 이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으며 특히 촉감으로 제공되어 지는 자극에 많은 반응이 발견되었다. 가장 많은 활용을 하리라 예상하였던 장구는 초기에 악기를 굴리며 관계형성을 하는 과정 이외는 거의 사용되어지지 못했다. 이는 사물악기 중 유일하게 음양성을 낼 수 있는 양면성으로 인해 악기자체 외형이 아동에게 편안히 위치시키는데 용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 이외 북, 꽹과리, 징은 어떠한 위치에서도 쉽게 소리낼 수 있는 이점으로 다양하게 악기를 경험할 수 있었다. 미리 구성된 음악활동 구성은 아동들의 발달특성과 정도의 차이로 적용할 수 있는 범위와 정도에 차이를 지녔으며 마지막 8단계 사물놀이 악기가 어우러지며 내는 역동적 힘을 경험하고자 구성하였던 그룹활동을 통한 사물놀이 합주까지는 적용하지 못했다. 치료에 용이한 효과를 가져온 민속악기 사물놀이 악기를 치료에 적용함에 있어서 아동의 잠재성, 강점, 발달 정도, 음악적 선호도를 고려한 보다 구조화된 다중 감각적 음악활동을 구성하고 개발한다면 각 아동의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한 보다 긍정적인 효과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이현림,김영숙(1996). 음악치료에 관한 고찰 - 자폐아를 중심으로 -
문장원(1991). 자폐증 아동에 대한 음악치료
쥴리엘 엘빈(1997). 자폐아를 위한 음악치료
윤종림,정현주. 음악활동을 통한 자폐성 아동의 외부세계 인식 및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사물놀이 악기 중심으로-
  • 가격1,1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4.09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4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