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행동 분석) 영화 제목의 유형에 따른 소비의향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주제 선정 배경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1)
제목 속성의 분류
(2)
사전조사 및 제목 속성분류 결과
(3)
본조사 표본선정

4.
결과
(1)
극장영화와 에로비디오의 선택 기준 우선순위
(2)
영화 장르별 소비의향
(3)
장르별 제목유형에 따른 소비의향
(4)
장르별 제목유형에 따른 소비의향의 성차

5.
논의

6.
한계 및 후속연구

7.
참고문헌과 사이트

#
부록 - 설문지

본문내용

않은 제목에 비해 선호하였다. 그리고 여자에 비해, 남자는 진부/평범한 제목에게 그렇지 않은 제목에 비해 낮은 점수를 주었다.
속성(차원)
남자
여자
성차의 유의성 검증
속성 있음
속성 없음
속성 있음
속성 없음
t-value
Pr>|t|
호기심 유발
2.97
2.83
2.91
2.79
-1.95
0.0536
선정적
3.00
2.76
2.84
2.83
2.29
0.0237
진부/평범
2.76
2.98
2.83
2.85
-2.16
0.0324
원제목 알려짐
2.68
2.85
2.64
2.88
0.77
0.4422
문장형
2.85
2.80
2.86
2.82
0.15
0.8837
외국어 사용
2.73
2.86
2.85
2.82
-1.44
0.1514
3) 액션
5%유의수준에서 단측검증 결과, 원제목이 알려진 제목과, 외국어 사용 제목에서 성차가 존재하였다. 남자는 원제목이 알려진 제목에 비해 그렇지 않은 제목에 높은 점수를 주었고, 여자는 그와 반대였다. 남자는 외국어를 사용하는 제목을 그렇지 않은 제목에 비해 높은 점수를 주었고, 여자는 그와 반대였다.
속성(차원)
남자
여자
성차의 유의성 검증
속성 있음
속성 없음
속성 있음
속성 없음
t-value
Pr>|t|
호기심 유발
2.91
2.81
2.88
2.72
-0.64
0.5255
진부/평범
2.82
3.15
2.80
2.84
-1.93
0.0550
원제목 알려짐
2.69
2.89
2.88
2.76
-2.7
0.0077
외국어 사용
3.07
2.72
2.78
2.81
3.97
0.0001
4) 에로
5%유의수준에서 단측검증 결과, 남자는 호기심을 유발하지 않는 제목을, 여자는 호기심을 유발하는 제목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남자는 선정적인 제목을, 여자는 그렇지 않은 제목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남자는 유머러스하지 않은 제목을 그렇지 않은 제목에 비해 높은 점수를 주었지만, 여자의 경우는 큰 차이가 없었다. 남자는 패러디형이 아닌 제목에, 여자는 패러디형의 제목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속성(차원)
남자
여자
성차의 유의성 검증
속성 있음
속성 없음
속성 있음
속성 없음
t-value
Pr>|t|
호기심 유발
2.91
3.21
2.60
2.31
-3.15
0.0006
선정적
3.34
2.90
2.30
2.41
6.00
<.0001
유머러스
3.04
3.33
2.33
2.36
-3.59
0.0005
패러디
3.07
3.26
2.38
2.31
-2.88
0.0045
문장형
3.28
3.16
2.34
2.34
1.85
0.0660
5. 논의
영화를 선택하는 기준에서 에로비디오는 제목과 배우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지만 극장개봉 영화에서는 제목이 그다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번 연구에서 밝혀진 극장영화의 영화 유형들이 실제로 현장에 적용될 여지는 적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영화 제목의 유형에 따른 다양한 장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많이 이끌어 낼 수 있었는데, 이것은 선호될 만한 제목의 유형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성별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선정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는 제목에서는 전체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소비의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영화제작사들이 타겟으로 삼는 주 고객층의 성별에 따라 다른 유형의 제목을 만드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다.
특히 에로비디오의 경우, 우리의 조사결과와 현재 한 사이트의 에로비디오 인기순위를 조사한 결과에 연관이 있었다. 우리의 조사결과에서 에로비디오 중 연구대상자들의 가장 높은 소비의향을 나타낸 ‘여대생 실제상황’이 현재 가장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제목이 영화 선택에 가장 큰 기준이 되는 에로비디오의 경우에 특히 잘 지은 제목이 소비를 유발시킬 수 있고, 이는 극장용 영화에서도 제목이외의 정보가 적을 때에는 잘 지은 제목이 유리할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6. 한계 및 후속연구
1) 연구의 한계
설문자료에 이용된 극장개봉 예정 영화가 아직 미 개봉임에도 불구하고 영화에 관여도가 높은 사람은 그 영화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접하여 설문을 답하는데 오류가 생겼을 수도 있다. 에로비디오의 경우에는 2004년 출시작/출시예정작으로 설문자료를 만들었지만, 연구 시점인 2004년 5월 현재 출시 유무에 관한 조사의 한계가 있었고, 설문 자료로 쓴 에로비디오를 봤을 피험자도 있을 수 있으므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관련 선행 연구를 찾을 수 없었던 점 때문에, 제목의 속성의 분류가 충분히 다양하지 못하고, 객관적이지 못했다고 볼 수 있고, 속성별 분류로 인해 설문자료에 이용될 제목 문항 수에 제한을 받았다.
2)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제목 유형을 분류하는 기준과 제목이 가진 속성의 존재 여부를 알아보는 방법등을 정교하게 가다듬는다면 보다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라고 본다. 이번 설문조사에 쓰였던 영화들이 모두 개봉된 이후에, 실제 흥행 결과와 이번 조사의 결과를 비교하여, 흥행결과와 영화제목에 따른 소비 의향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기대한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영화를 선택하는데 있어 기준이 되는 요소에 대한 조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7. 참고문헌과 사이트
이승기 (1990). 스크린 야화: 영화제목이야기. 한국장서가회
육정학 (1997). 영화관람 동기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
박영복,최인하 (1999). 제목으로 영화읽기. 현암사
남궁영 (2002). 영화관람 동기유형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한국외국어대 대학원
전범수 (2003). 국내 영화관람객의 영화 소비 행동. 한국방송학회
http://www.koreafilm.co.kr/
코리아필름
http://www.irmzangi.co.kr/
이름쟁이
http://kr.movies.yahoo.com/
야후영화칼럼
http://tv.co.kr/movie/movieSearch
영화제작년도별 검색
http://www.cinemadb.co.kr/
장르분류표
http://www.nkino.com/
N키노무비
http://www.brandci.co.kr/movie.htm
브랜드 네이미스트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4.09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5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