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글
2. 일본식 장기불황 탈출
3. 고유가 불구하고 일본기업의 수익 증가
4. 새로운 영웅형 경영자의 활력
5. 인터넷 경영 주도하는 신진 기업의 도약
6. 전통적 경쟁력의 유지와 진화 도모
7. 일본식 장기불황 극복 경영에서 배우자
2. 일본식 장기불황 탈출
3. 고유가 불구하고 일본기업의 수익 증가
4. 새로운 영웅형 경영자의 활력
5. 인터넷 경영 주도하는 신진 기업의 도약
6. 전통적 경쟁력의 유지와 진화 도모
7. 일본식 장기불황 극복 경영에서 배우자
본문내용
スト, 2003.11.4) 」고 샤프 기술경영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한편 소니의 이데이 전 회장의 경우 기술자의 자존심이나 잠재력을 다소 경시하고 경영전문가 등 문과계 인재들을 중용하면서 구미식의 다양한 경영 시스템 개혁을 통해 IT혁명에 대응하겠다는 전략으로 나갔지만, 이는 일본 고유의 기능에 기초한 소니의 하드웨어 기술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일본식 장기불황 극복 경영에서 배우자
일본기업의 장기불황 극복 전략은 일본식 경영의 새로운 진화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일본식 장기불황 극복경영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우리경제는 일본식 장기불황과 상황이 다르긴 하지만, 성장잠재력이 계속 떨어지고 있고 또 단순한 경기순환으로 보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들이 부분적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우리기업으로서는 거시경제적 여건의 호전을 기다릴 것이 아니라 기업 스스로 시장을 창조하여 경제를 부양하려는 자세가 요구된다.
둘째, 재무구조의 건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중장기적으로 경쟁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합리화 투자나 에너지 절약 기술장비에 대한 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적절한 투자전략이 요구된다.
셋째, 일본기업들이 현장의 기능(技能) 경쟁력과 미국식 경영기술을 접목하는 데에 주력한 바와 같이 전략경영 능력과 현장 능력을 결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장기고용을 유지하고 현장 근로자들의 고용불안감을 해소하면서 기능 축적에 매진하는 한편, 경영층에서는 과감한 발탁 인사 등을 통해 조직에 활력을 불어 넣어야 할 것이다.
넷째, 기존 비즈니스의 한계를 뛰어넘는 신진 기업의 육성이 필요하다. 장기불황은 단순한 경기순환이 아니며, 중장기적인 트렌드이다. 우리의 경우도 부진한 기업이나 사업이 장기간 쇠퇴할 수 있기 때문에 경영자원을 성장분야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대기업의 경우도 별동부대를 통해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 전략이 중요해질 것이다.
다섯째, 부활하기 시작한 일본기업을 장기불황기때와 같이 과소평가해서는 안 될 것이다.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장기간에 걸친 매출 부진 속에서도 수익을 늘리기 시작한 일본기업의 잠재력을 경계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우리 기업 고유의 강점을 살리면서 경영의 혼(魂)을 잃지 않고 일본식 경영이나 미국식 경영의 장점을 수단으로서 활용해서 경영시스템을 끊임없이 진화시키는 자세가 요구된다.
한편 소니의 이데이 전 회장의 경우 기술자의 자존심이나 잠재력을 다소 경시하고 경영전문가 등 문과계 인재들을 중용하면서 구미식의 다양한 경영 시스템 개혁을 통해 IT혁명에 대응하겠다는 전략으로 나갔지만, 이는 일본 고유의 기능에 기초한 소니의 하드웨어 기술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일본식 장기불황 극복 경영에서 배우자
일본기업의 장기불황 극복 전략은 일본식 경영의 새로운 진화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일본식 장기불황 극복경영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우리경제는 일본식 장기불황과 상황이 다르긴 하지만, 성장잠재력이 계속 떨어지고 있고 또 단순한 경기순환으로 보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들이 부분적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우리기업으로서는 거시경제적 여건의 호전을 기다릴 것이 아니라 기업 스스로 시장을 창조하여 경제를 부양하려는 자세가 요구된다.
둘째, 재무구조의 건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중장기적으로 경쟁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합리화 투자나 에너지 절약 기술장비에 대한 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적절한 투자전략이 요구된다.
셋째, 일본기업들이 현장의 기능(技能) 경쟁력과 미국식 경영기술을 접목하는 데에 주력한 바와 같이 전략경영 능력과 현장 능력을 결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장기고용을 유지하고 현장 근로자들의 고용불안감을 해소하면서 기능 축적에 매진하는 한편, 경영층에서는 과감한 발탁 인사 등을 통해 조직에 활력을 불어 넣어야 할 것이다.
넷째, 기존 비즈니스의 한계를 뛰어넘는 신진 기업의 육성이 필요하다. 장기불황은 단순한 경기순환이 아니며, 중장기적인 트렌드이다. 우리의 경우도 부진한 기업이나 사업이 장기간 쇠퇴할 수 있기 때문에 경영자원을 성장분야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대기업의 경우도 별동부대를 통해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 전략이 중요해질 것이다.
다섯째, 부활하기 시작한 일본기업을 장기불황기때와 같이 과소평가해서는 안 될 것이다.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장기간에 걸친 매출 부진 속에서도 수익을 늘리기 시작한 일본기업의 잠재력을 경계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우리 기업 고유의 강점을 살리면서 경영의 혼(魂)을 잃지 않고 일본식 경영이나 미국식 경영의 장점을 수단으로서 활용해서 경영시스템을 끊임없이 진화시키는 자세가 요구된다.
추천자료
침체경제에 일본원인 방향분석
일본 버블 경제의 교훈
일본의 경제 구조 형성과 경제발전에 있어서의 일본적 특질
도요타 자동차가 일본 경제에 미친 영향
일본의 경제
일본의 경제사
[경제불황]경제불황의 개념, 경제불황기 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경영전략, 경제불황기 탈출...
일본의 경제 발전 과정과 특징
[일본경영, 경제발전, 디자인전략, 품질장려상, 지상파방송, 일제시대]일본경영과 경제발전, ...
[일본기업, 경제시스템, 인터넷경영, 임금피크제도, 한국투자]일본기업의 경제시스템, 일본기...
[일본, 일본 자본주의, 일본 경제, 일본 재정, 일본 주식, 일본 증권, 일본 부동산, 자본주의...
[경제학과 D형] 일본의 전후 3대 경제개혁 : 경제개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