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실험설계의 의의
1. 실험설계의 개념
2. 실험설계의 기본 조건
3. 실험설계의 기본 모형
제 2절 실험설계의 타당도
1.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
2. 타당도 저해 요인
(1) 내적 타당도의 저해요인
- 내재적 요인
- 외재적 요인
- Quiz
(2) 외적 타당도의 저해요인
3. 외생 변인의 통제 방법
제 3절 실험설계의 종류
1. 사전 실험설계
(1) 단일집단 사후측정설계
(2)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
(3) 집단 비교 설계
2. 순수 실험설계
(1) 단순 실험설계
- 통제집단 사전사후측정설계
- 통제집단 사후측정설계
- 솔로몬 4집단 설계
(2) 요인 설계
- 독립집단 설계
- 반복측정 설계
- 혼합 설계
3. 유사 실험설계
(1) 비동질 통제집단 설계
(2) 동류집단 설계
(3) 단일집단 반복실험 설계
4. 사후 실험설계
(1) 사후 실험설계의 장.단점
(2) 사후 실험설계의 유형
- 현장 연구
- 실험실내 연구
(3) 사후 실험설계의 보완 방법
1. 실험설계의 개념
2. 실험설계의 기본 조건
3. 실험설계의 기본 모형
제 2절 실험설계의 타당도
1.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
2. 타당도 저해 요인
(1) 내적 타당도의 저해요인
- 내재적 요인
- 외재적 요인
- Quiz
(2) 외적 타당도의 저해요인
3. 외생 변인의 통제 방법
제 3절 실험설계의 종류
1. 사전 실험설계
(1) 단일집단 사후측정설계
(2)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
(3) 집단 비교 설계
2. 순수 실험설계
(1) 단순 실험설계
- 통제집단 사전사후측정설계
- 통제집단 사후측정설계
- 솔로몬 4집단 설계
(2) 요인 설계
- 독립집단 설계
- 반복측정 설계
- 혼합 설계
3. 유사 실험설계
(1) 비동질 통제집단 설계
(2) 동류집단 설계
(3) 단일집단 반복실험 설계
4. 사후 실험설계
(1) 사후 실험설계의 장.단점
(2) 사후 실험설계의 유형
- 현장 연구
- 실험실내 연구
(3) 사후 실험설계의 보완 방법
본문내용
제 1절 실험설계의 의의
1) 실험설계의 개념
실험설계는 복잡한 사회 현상 중에서 연구목적상 관심이 있는 요소들만을 선별하여 그들간의 인과관계를 집중적으로 관찰 분석하는 방법이다. 즉, 엄격하게 상황을 통제한 상태에서 원인변인(독립변인)을 의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나타나는 결과변인(종속변인)의 변화를 관찰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실험설계는 외생 변인의 영향을 통제하기가 용이하고, 변인들간의 명확한 인과관계 검증이 가능한 반면, 조사상의 복잡성 및 실험 상황의 인위성으로 인한 일반화의 한계 등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2) 실험 설계의 기본조건
(1) 독립변인의 조작
연구자는 관찰하고자 하는 현상이 일어나는 조건을 인위적으로 조작(manipulation)함으로써 연구에 보다 적합한 현상을 선별하여 관찰할 수 있다. 즉 인위적으로 독립변인의 종류 및 변화의 강도를 조절하여 실험대상에 가함으로써 독립변인의 변화가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게 된다. 예를 들어, A와 B의 두 가지 강의 방법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적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할 때, 연구자는 고등학생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에는 A 강의방법을 적용하고 다른 집단에는 B 강의방법을 적용하여 각 집단의 학업성적을 비교하게 된다. 이 때 강의방법이 독립변인이 되며 연구자가 집단 별로 강의방법을 다르게 하는 것이 바로 독립변인의 조작이 된다. 이 경우에는 독립변인인 강의방법을 연구자가 통제하고 변화시킬 수 있었으나, 실제로 다른 연구에서는 독립변인의 통제가 불가능한 경우가 더 많다. 따라서 이 때에는 각 현상의 특성에 맞는 다른 조사방법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2) 외생 변인의 통제
외생 변인이란 독립변인 이외에 결과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변인으로서, 이러한 외생 변인의 영향을 제거하지 못하면 실험변인과 결과변인 사이의 인과관계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문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독립변인만의 순수한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외 생 변인이 통제되어야 한다. 앞에서 언급한 강의 방법에 따른 학업성적의 차이를 조사하는 겨우, 조사자는 집단 별로 각각의 강의방법을 실시한 후에 시험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성과를 측정하여 이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1) 실험설계의 개념
실험설계는 복잡한 사회 현상 중에서 연구목적상 관심이 있는 요소들만을 선별하여 그들간의 인과관계를 집중적으로 관찰 분석하는 방법이다. 즉, 엄격하게 상황을 통제한 상태에서 원인변인(독립변인)을 의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나타나는 결과변인(종속변인)의 변화를 관찰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실험설계는 외생 변인의 영향을 통제하기가 용이하고, 변인들간의 명확한 인과관계 검증이 가능한 반면, 조사상의 복잡성 및 실험 상황의 인위성으로 인한 일반화의 한계 등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2) 실험 설계의 기본조건
(1) 독립변인의 조작
연구자는 관찰하고자 하는 현상이 일어나는 조건을 인위적으로 조작(manipulation)함으로써 연구에 보다 적합한 현상을 선별하여 관찰할 수 있다. 즉 인위적으로 독립변인의 종류 및 변화의 강도를 조절하여 실험대상에 가함으로써 독립변인의 변화가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게 된다. 예를 들어, A와 B의 두 가지 강의 방법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적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할 때, 연구자는 고등학생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에는 A 강의방법을 적용하고 다른 집단에는 B 강의방법을 적용하여 각 집단의 학업성적을 비교하게 된다. 이 때 강의방법이 독립변인이 되며 연구자가 집단 별로 강의방법을 다르게 하는 것이 바로 독립변인의 조작이 된다. 이 경우에는 독립변인인 강의방법을 연구자가 통제하고 변화시킬 수 있었으나, 실제로 다른 연구에서는 독립변인의 통제가 불가능한 경우가 더 많다. 따라서 이 때에는 각 현상의 특성에 맞는 다른 조사방법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2) 외생 변인의 통제
외생 변인이란 독립변인 이외에 결과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변인으로서, 이러한 외생 변인의 영향을 제거하지 못하면 실험변인과 결과변인 사이의 인과관계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문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독립변인만의 순수한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외 생 변인이 통제되어야 한다. 앞에서 언급한 강의 방법에 따른 학업성적의 차이를 조사하는 겨우, 조사자는 집단 별로 각각의 강의방법을 실시한 후에 시험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성과를 측정하여 이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화공기초실험및 설계] 수영복 설계 최종보고서
[실험3 예비] 분압기의 설계 - 무부하, 부하시의 분압기(voltage divider)를 설계, 제작하고...
실험보고서 - 분압기[Voltage Divider] 설계
실험보고서 -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
전자회로실험 텀프 term project[오디오 믹서 회로 설계]
[전자회로실험] (결과) 버퍼(Buffer) &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 OP Amp이용하...
[디지털 공학 실험] (결과) 08장 순차논리회로 설계 및 구현(2)
[디지털 공학 실험] (결과) 07장 순차논리회로 설계 및 구현(1)
[수질오염요소설계] 하수처리장 SVI30 계면침강 실험 및 F/M비 (결과보고서)
[기초전자실험] OPAMP 반전 증폭기 설계
기초전기회로실험 - 지정된 전압, 전류 및 저항조건을 만족하는 병렬회로를 설계
최신디지털공학실험 제10판 실험7 부울 법칙과 드모르간의 정리 : 부울 대수의 여러 법칙들 ...
[최신디지털공학실험] 제10판 실험11.가산기(Adder)와 크기비교기(Magnitude Comparator) 만...
[물리화학 실험] (예비 레포트) 어는점 내림을 이용한 분자량 결정 설계 : 용액의 어는점 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