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의미 변화
- 의미 확장
- 의미 축소
- 의미 고양
- 의미 퇴조
- 토론
- 연습문제 2개
<< 과제 >> 2개
- 의미 확장
- 의미 축소
- 의미 고양
- 의미 퇴조
- 토론
- 연습문제 2개
<< 과제 >> 2개
본문내용
료, 마실 것(liquid or something to drink, fluid )
corn: 곡물(grain), 정제되기 전의 씨눈이 고스란히 달린 채의 곡물, 낟알(grain with the seed still in)
wan: 어두운, 캄캄한(dark, black)
starve: 죽다(to die)
deer: 일반적 동물(animal)
apple: 모든 과일(all fruit, other than berries but including nuts)
silly: 행복한, 복된, 순수한(happy, blessed, innocent)
boor: 농민, 남자(peasant)
knave: 소년, 하인(boy)
villain: 농장 노동자, 머슴(farmhand), 신분이 천하거나 태생이 미천한 시골뜨기, 순진한 사람(base or low-born rustic), 노예가 아닌 자유민(freeman)
lewd: ㅡ문외한((전문직에 대하여)), (성직자가 아닌)속인들(laymen); 평신도 (belonging to the laity)
ㅡ평범한, 평민, 서민(belonging to the common people, vulgar)
ㅡ배우지 않은, 글자를 모르는, 무학 문맹의(unlettered, uneducated)
censure: 생각, 의견, 견해, 판단, 평가, 심사(judgment, judicial sentence)
2. 위의 “의미 변화”를 다 읽고 난 후, 이탤릭체를 paraphrasing 해서 실용적 의미로 번역하기
⇒ 그는 가장 가까운 이웃으로부터 40마일이나 떨어진, 벽으로 둘러싸인 땅(농가)에 살고 있는 행복하고 만족한 젊은이였습니다. 여성 기독교 절제 연합의 채식주의자 회원이었던 여자, 즉 그의 결혼하지 않은 누이는, 하루에 세 번 식사를 하고(음식을 먹고) 국물(마실 것, 음료)을 마셨습니다. 그녀는 자기 오빠가 재배한, 정제되기 전의 씨눈이 고스란히 달려있는 쌀이나 보리의 낟알로 만든 오트밀 빵을 너무나 좋아해서 어둡고 캄캄하던 어느 날 밤, 그녀는 과식해서 죽었습니다. 그는 배를 산출하는 과일(과실)나무의 가지에서 살던 동물에게 나무열매, 견과류를 먹이로 주었습니다. 그는 행복하고(복되고, 순수하고) 현명한 농민이자, 소년이고 노예가 아닌 자유민(농사꾼)이어서, 모든 사람이 그를 좋아했습니다. 게다가, 그는 일반적인 생각(의견, 견해)에 있어, 순결(정숙)의 모범이 될 만한 평범한 사람이었습니다.
corn: 곡물(grain), 정제되기 전의 씨눈이 고스란히 달린 채의 곡물, 낟알(grain with the seed still in)
wan: 어두운, 캄캄한(dark, black)
starve: 죽다(to die)
deer: 일반적 동물(animal)
apple: 모든 과일(all fruit, other than berries but including nuts)
silly: 행복한, 복된, 순수한(happy, blessed, innocent)
boor: 농민, 남자(peasant)
knave: 소년, 하인(boy)
villain: 농장 노동자, 머슴(farmhand), 신분이 천하거나 태생이 미천한 시골뜨기, 순진한 사람(base or low-born rustic), 노예가 아닌 자유민(freeman)
lewd: ㅡ문외한((전문직에 대하여)), (성직자가 아닌)속인들(laymen); 평신도 (belonging to the laity)
ㅡ평범한, 평민, 서민(belonging to the common people, vulgar)
ㅡ배우지 않은, 글자를 모르는, 무학 문맹의(unlettered, uneducated)
censure: 생각, 의견, 견해, 판단, 평가, 심사(judgment, judicial sentence)
2. 위의 “의미 변화”를 다 읽고 난 후, 이탤릭체를 paraphrasing 해서 실용적 의미로 번역하기
⇒ 그는 가장 가까운 이웃으로부터 40마일이나 떨어진, 벽으로 둘러싸인 땅(농가)에 살고 있는 행복하고 만족한 젊은이였습니다. 여성 기독교 절제 연합의 채식주의자 회원이었던 여자, 즉 그의 결혼하지 않은 누이는, 하루에 세 번 식사를 하고(음식을 먹고) 국물(마실 것, 음료)을 마셨습니다. 그녀는 자기 오빠가 재배한, 정제되기 전의 씨눈이 고스란히 달려있는 쌀이나 보리의 낟알로 만든 오트밀 빵을 너무나 좋아해서 어둡고 캄캄하던 어느 날 밤, 그녀는 과식해서 죽었습니다. 그는 배를 산출하는 과일(과실)나무의 가지에서 살던 동물에게 나무열매, 견과류를 먹이로 주었습니다. 그는 행복하고(복되고, 순수하고) 현명한 농민이자, 소년이고 노예가 아닌 자유민(농사꾼)이어서, 모든 사람이 그를 좋아했습니다. 게다가, 그는 일반적인 생각(의견, 견해)에 있어, 순결(정숙)의 모범이 될 만한 평범한 사람이었습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의 음운론적, 형태론적, 통사론적 특징 및 다른 언어(영어)와의 비교연구
영어 음운론 Phonology
영어 음운론 과제 6개 [A+]
영어 음운론 : 언어음의 바탕 (Phonology : The Sound Patterns of Language)
영어학 음운론 분절음 폐쇄음에 대해서
영어학개론 - 음운론(Phonology) , 음운론이란?
(영어학의이해) 통사론 의미론 형태론 음운론 사회언어학 심리언어학
영어학, 음성음운론의 자음 모음 조음기관, 보이싱, 입모양으로 구분한 표입니다.
[음절][국어][음절화][운율음운론][고대국어][영어 음절화]국어 음절의 구성, 국어 음절의 제...
[국어 음운][구개음화][자음동화][모음동화]국어 음운 이론, 국어 음운 표시, 국어 음운 인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