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b에서의 최적해
( { { x}_{ 1} }^{ AST } , { { x}_{ 2} }^{ AST } )=(15, 30)
와 비교해볼 때, 코코넛의 소비는
{ 5} over { 3}
만큼 감소하고 생선의 소비는
{ 10} over { 3}
만큼 감소한 것이다. 그리고 효용 역시
{ 10} over { 3}
만큼 감소하였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은 첫째로는 소득효과, 즉 시장에서의 코코넛 가격 하락으로 인한 로빈슨의 소득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며, 둘째로는 대체효과, 즉 코코넛과 생선의 상대가격변화로 인하여 로빈슨의 소비가 생선쪽에서 코코넛쪽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이다. 이 때 전체적으로 최적해가 감소의 방향으로 움직인 것은 결국 대체효과보다는 소득효과가 더 컸기 때문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 { { x}_{ 1} }^{ AST } , { { x}_{ 2} }^{ AST } )=(15, 30)
와 비교해볼 때, 코코넛의 소비는
{ 5} over { 3}
만큼 감소하고 생선의 소비는
{ 10} over { 3}
만큼 감소한 것이다. 그리고 효용 역시
{ 10} over { 3}
만큼 감소하였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은 첫째로는 소득효과, 즉 시장에서의 코코넛 가격 하락으로 인한 로빈슨의 소득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며, 둘째로는 대체효과, 즉 코코넛과 생선의 상대가격변화로 인하여 로빈슨의 소비가 생선쪽에서 코코넛쪽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이다. 이 때 전체적으로 최적해가 감소의 방향으로 움직인 것은 결국 대체효과보다는 소득효과가 더 컸기 때문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