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극작가들(Playwriters in Amarican)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국의 극작가들(Playwriters in Amarica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Tomas Godfrey(1736-1763)

2. Royall Tyler(1757-1826)

3. William Dunlap(1766-1839)

4. Bronson Howard(1842-1908)

5. William Dean Howells(1837-1920)

6. David Belasco(1859-1931)와 J. L. Long(1861-1927)

7. August Thomas(1857-1934)

8. Clyde Fitch(1865-1909)

9. Eugene Walter(1874-1941)

10. London Mitchel(1863-1906)

11. Edward B. Shelden(1886-1946)

12. William Vaughn Moody

13. Percy Mackaye(1875-1948)

14. Eugene O'Neil(1888-1953)

15. Susan Glaspell(1882-1948)

16. Maxwell Anderson(1888-1959)

17. Paul Eliot Green(1894-1981)

18. Robert Sherwood(1896-1955)

19. Thornton Niven Wilder(1897-1975)

20. Elmer Rice(1892-1967)

21. Clifford Odets(1906-1963)

22. Tennessee Williams(1911-1938)

23. Arthur Miller(1915)

24. Jow Howard Lawson(1895-?)

25. Sidney Howard(1891-1931)


【현대 미국 희곡에서의 극작가들】
1. Edward Albee(1928)
2. Sam Shepard(1943)
3. David Mamet(1940)

※여성 극작가
1. Meagan Terry
2. Maria Irene Fornes
3. Rochelle Owens
4. Joan Holden
5. Marsha Norman(1974)
6. Beth Henley(1952)

※ 히스패닉계 미국인 극작가.
1. Luis Valdez

※아프리카계 미국인 극작가.
1. Amiri Baraka
2. Ed Bullins
3. Adrienne Kennedy

본문내용

형태를 이용하여 여성 관객들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평범한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극을 썼음.
⑴ Getting out: 그녀의 첫 작품인 이 극은 첫 번째 작품에서 보기 드문 괄목할 만한 성공을 거두었고 많은 상을 수상. 이 작품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특성은 한 여성의 이중적 자아를 무대 위에서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는 점. 8년간의 복역을 마치고 가석방된 알린이라는 여성의 정상적인 사회 복귀를 위한 하루 동안의 노력을 극화하고 있는 이 작품은 감금 상태에서 "탈출"하려는 그녀의 노력이 도처에서 장애를 만나고 있음을 보여줌. 가부장제의 억압에 시달리면서 다른 한편으로 자신의 세계를 만들어 내야 하는 여성들이 겪게 되는 증상이 바로 분열된 인격인데 알린은 극의 거의 마지막까지 과거의 기억들에 의해 촉발되는 자아의 분열에 시달리다가 루비의 도움으로 자주성을 찾고 나서야 자신의 또 다른 자아인 알리와 화해함. 여주인공의 자주성 획득과 여성간의 유대라는 중심 주제를 전체적으로 사실주의적인 틀 속에서 이중적 자아와 두 세팅의 병치 등 실험적 기법을 이용하여 표현한 이 작품은 남성적 형태를 이용하여 페미니스트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새로운 조류의 페미니스트 연극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는데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
⑵ 'night, Mother: 그녀에게 Pulitzer상을 안겨 준 이 극은 제씨라는 딸과 델마라는 그녀의 어머니 사이에서 어느 날 저녁에 일어나는 일을 다룸. 이 작품에서 노만은 페미니스트 연극의 두 가지 전략, 즉 가부장제 사회의 횡포에 의해 희생이 되는 여성의 묘사와, 이런 상황에서 여성의 자주성을 쟁취하려는 주인공의 노력을 그림. 이 작품은 위에서 논의한 여성 억압의 부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여성간의 유대를 그리는 긍정적인 측면을 통해 페미니스트 메시지를 전하고 있고 작가는 여성간의 이해와 결속이 자신의 세계를 재구축하고 권리를 되찾는 초석이 된다고 강조함. 가부장제 사회의 힘에 의해 가해진 손실은 고통의 나눔을 통해 해소될 수 있고 그녀는 연극이 이것을 제시할 수 있는 매체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함.
6. Beth Henley(1952)
☞ 남부의 소외되고 비정상적인 사람들의 이야기를 비희극적인 매너로 다룬 작가로 페미니스트 운동에 참여하여 세상을 변화시키는 데 가담하도록 독자나 관객들을 종용하는 데 자신의 즉각의 목적을 두지 않고 인간의 이상과 가치를 회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소외되고 무시되었던 여성의 삶을 그리는 데 더 관심을 쏟았음.
⑴ Crimes of the Heart: 그녀는 한편으로 여성을 착취하고 희생시키는 가부장제 사회의 노출시키고 폭로함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그 속에서 자신의 존엄성과 자주성을 획득하게 되는 여성을 긍정적으로 묘사함. 이 작품에서는 변신과 인식의 흥미로운 교차가 일어남. 이 작품에서 여성 주인공들은 대화를 통해 자신과 가부장제에 대한 인식에 도달하고, 그러한 인식을 통해 자주적인 인간으로의 변화하며, 그러한 자율성을 통해 서로에 대한 이해와 유대를 더욱 더 강화시킴. 매그라스(MacGrath) 자매의 인식(자신, 사회, 가부장제에 대한)은 그들이 자주적인 존재로 변신하는 기반을 마련해 주고 자매들의 이러한 자주적 존재로의 변신은 그들을 서로 헤어지게 만들기 보다 보다 큰 유대감으로 결속하도록 만든다는 내용.
※ 히스패닉계 미국인 극작가.
1. Luis Valdez
☞ 가장 유명한 히스패닉계 미국인 극작가로서 샌프란시스코 마임극단 The Sanfrancisco Mime Troupe로 연극계에 데뷔, 1965년에 라는 극단을 창설해서 정치 단막극을 주로 씀. 베트남 전쟁에 관한 단막극들에서는 백인들이 일으킨 전쟁에 나가 죽어야 했던 남미 미국인들의 문제를 예리하게 비판 한 작가.
⑴ I Don't Get Anything Out of School(1969): 백인 중심 교육이 유색인들에게는 얼마나 부적절한가를 지적한 작품.
※아프리카계 미국인 극작가.
1. Amiri Baraka
☞ 본명은 LeRoi Jones로 아프리카계 미국 남성들의 심리와 상황을 정치적으로 탐색했던 흑인 작가로 30세가 채 안 되는 1964년에 에서 네 편의 희곡을 공연 성공함. 1934년 뉴저지주의 뉴왁에서 태어난 그는 현대 흑인 연극의 역사를 대변해주는 극작가이다. 바라카에게 있어서 연극은 흑인에 대한 백인들의 편견을 공격하는 정치적 무기일 뿐만 아니라 흑인들의 잠들어 있는 의식을 깨우기 위한 도구이다.
⑴ The Baptism
⑵ The Toilet
⑶ Dutchmen: 이 극은 뉴욕 지하철에서 클레이라는 흑인 남성과 룰라라는 백인 여성의 대면을 다루고 있다. 룰라는 흑인 남성에 대한 백인 여성들의 편견, 그리고 흑인 전체에 대한 백인의 피상적인 지식을 대변한다. 그녀의 모욕은 백인의 편견을 대표하면서 잠든 흑인의 의식을 일깨우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이 극에서의 그녀의 역할은 이중적이다. 한편, 상대방을 궁지에 몰아 자신을 깨닫게 하는 전략은 에드워드 올비의 『동물원 이야기』를 연상시킨다.
⑷ The Slave
2. Ed Bullins
☞ Bullins의 작품의 배경은 대게 절도와 매춘과 도박과 마약과 술주정이 난무하는 도시의 빈민가로 그의 등장인물들은 대게 범죄자들로 이러한 상황을 미국의 현 상황으로 보고 이를 극작품을 통해 나타낸 작가.
⑴ Clara's Ole Man(1965): 18세 난 클라라를 찾아 온 잭이라는 아이비리그 출신 남자와 빈민가의 흑인들을 대비시킨 작품.
3. Adrienne Kennedy
☞ Baraka나 Bullins와는 달리 서정적인 필치로 아프리카계 미국여성들의 심리와 상황을 탐색한 흑인 극작가.
⑴ Funnyhouse of a Negro(1962): 백인문화와 흑인문화 사이에서 번민하다가 끝내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흑인소녀 Sarah의 이야기.
⑵ A Movie Star Has to Star in Black and White(1976): 표현주의적 수법과 초현실주의적 기법을 사용해 여성의 상상력을 탐색하고 미국의 인종차별주의를 비판한 작품.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4.22
  • 저작시기200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5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