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대중문화]대중문화의 정의와 대중매체가 미치는 영향 및 문화현상 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 론

본 론
1. 대중문화란?
1.1 대중문화 성립의 배경
1.2 매스커뮤니케이션과 대중문화
1.3 대중문화
1.4 대중문화의 폐해
1.5 대중문화의 긍정적인 면
1.6 대중문화의 역사적인 측면
1.7 현대 대중문화의 과제
2. 대중매체
2.1 우리나라 TV의 발전
2.2 TV와 사회적 관계
3. 이 시대의 문화
3.1 개그콘서트가 미치는 영향력


결 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으로부터 외면당하는 것이다. 즉 스포츠도 TV 앞에서는 자유롭기가 힘들다.
3. 이 시대의 문화
3.1 개그콘서트가 미치는 영향력
개그콘서트(이하 개콘으로 표기)가 우리 앞에 나온 지 올해로 6년째, 개콘은 개그와 콘서트의 결합이라는 신선한 충격 이외에 다른 미적 요소들과 더불어 이제는 TV코미디 프로그램으로서 어느 정도 안정한 자신들만의 영역을 구축했다고 볼 수 있다. 정통코미디프로그램 유머일번지, 코미디하우스, 폭소클럽등의 본격코미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무려 3년6개월. KBS TV의 코미디프로그램 ‘개그콘서트’(이하 줄여서 ‘개콘’)의 인기몰이 열기가 식을 줄 모른다. 공중파 TV채널이 4개나 되고 각각 코미디 프로그램을 1∼2개씩 운영하고 있지만 요즘은 ‘코미디 프로그램’ 하면 으레 ‘개콘’을 떠올릴 정도다. ‘한때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승승장구’ 운운하는 프로그램들이 많지만 그것이 몇 년씩이나 지속되는 경우는, 코미디 아닌 다른 프로그램의 경우에서도 드물다.
“출연진마다, 또 회마다 유행어를 내놓는다”는 말이 과언이 아닐 만큼 개콘은 수없이 많은 유행어를 만들어냈고 지금도 양산(量産)중이다. “내 아를 나아도” “후끈 달아오르는구마­ 잉” “제가 그쪽으로 가겠어요. 파이브 식스 세븐 에잇…” “웃기지? 웃기잖아…” “구분(연속)동작으로 알아보자” “고저 우리 옌볜에서는…” “무를 주세요” “가슴이…, 가슴이… ” “얼굴도 못생긴 것들이… ” “귀엽지, 반했지, 사랑스럽지” 등 개콘이 만들어 퍼뜨린 관용구(?)들은 무슨 ‘특수한 말’이 아니라 대중, 특히 10대에서 20대 젊은이들에게는 그야말로 살아 쓰이는 관용구로 깊이 파고들었고 상용화됐다. 한 마디로 개콘은 지금, 아니 오래 전부터 우리 시대 젊은 대중문화의 상징처럼 자리잡았다. 또한 개콘의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력들은 시대의 흐름을 보여주고있다.
아래의 글은 개콘의 제작자들의 인터뷰에서 한 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 개콘이 사람들에게 재미있는 프로그램으로 어필할 수 있었던 비결을 뭐라고 보세요?
“한 마디로 ‘시청자 입맛에 맞는 개그’입니다. 요즘 사람들, 아니 본래 사람의 본성이 긴 것은 지루하고, 느린 것은 못 참아요. 개콘은 바로 그 사람들의 본성에 맞는 스피드를 유지합니다. 말과 행동에서 정말 재미있는 개그며 코미디를 보여주는 것은 물론이고요. 빠른 것으로 치면 속사포고 느린 것으로 치면 능구렁이랄까. 어쨌든 개콘에는 사람들을 당기고 늦추는 묘한 스피드가 있어요. 개콘을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잠시만 화면에서 눈을 다른 데로 돌려도 개그 내용을 따라잡기가 쉽지 않아요.”
― 안 그래도 놀 것, 재미있는 것이 많은 젊은층만 겨냥해서야 되겠어요? 개콘같이 재미있는 TV 프로그램이라면 장년층에도 좀 어필해야 하지 않을까요?
“사실 40대 이상 어른들도 봐 주시면 저희야 고맙죠. 저희가 10대와 20∼30대, 어리고 젊은 층을 타깃으로 프로그램을 꾸미거든요. 아무래도 그쪽이 스피디한 개그를 확확 빨아들이니까요. 그런 중에도 ‘생활사투리’코너나 ‘9시 언저리 뉴스’코너가 중장년층한테 먹혀들면서 시청자 폭이 점차 넓어지는 추세입니다.”
결 론
TV는 20세기를 대표하는 미디어 중 하나이며 전형적인 매스미디어다. 신문과 라디오의 뒤를 이어 20세기 중반 등장해 전세계로 급격히 전파된 TV는 소수의 엘리트들이 상업적이고 틀에 박힌 텍스트 내용을 만들어 불특정 다수에서 일방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시민을 매스(Mass), 즉 수동적이고 형태 없는 덩어리, 어리석고 조작 가능한 대중으로 전락시킨다는 "매스미디어"의 전형성을 대표하는 미디어였다.
2005년 5월 1일 첫 방송이 시작된 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를 통해 TV는 또 한번 진화했다. TV는 동네 사람들의 모임을 만들어내는 간이 극장과 같은 사치품으로 출발해 거실이나 안방에 온 가족이 모여 시청하는 가구별 매체로, 가게와 식당, 헬스장 러닝머신 위에서 달리기를 하면서도 시청할 수 있는 진정 편재(偏在)하는 미디어, 이제는 개인이 주머니 안에 휴대하면서 언제 어디서든 즐길 수 있는 1인 휴대형 미디어로 거듭난 것이다. TV는 더 이상 20세기형 매스미디어가 아니라 컴퓨터나 위성 등의 모든 뉴미디어와 접목한 21세기형 최신 미디어이며,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와 되는 유비쿼터스(Ubiquitous)의 중심이다.
TV는 더 이상 20세기형 구식 미디어가 아니라 21세기형 뉴미디어로 진화해 앞으로도 건재할 것이며, 때문에 TV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 또한 그 복잡한 시스템과 그 속에서 강화되는 오락성, 상업성을 꿰뚫어 볼 수 있도록 좀 더 날카로워져야 할 것이다.
빌게이츠의 생각의 속도(Speed of Thought)가 아니라도 니시무라 아키라는 Dog Year라는 표현으로 우리의 이 환경 전반을 말하고 있다. 어쩌면 생각의 속도보다 도처에서 감지하기 힘들 정도의 변화가 우리를 끌고 가고 있다고 해야 옳을 것이다. 개의 1년은 인간의 7년과 같다는 건데, 흘러간 물로는 물레방아를 돌릴 수 없음을 의미하게 된다.
진정한 문화의 접근이란 시대의 흐름을 올바로 이해하고 올바로 분별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가운데 자신이 문화에 흔들리지 않고 올바로 바라보며 함께 성장해 갈 때 진정한 문화가 형성된다고 생각한다. 누구를 위한 문화가 아니라 진정한 자신의 가치를 발견해 나갈 수 있는 문화와 대중이 되었으면 한다.
감사합니다.
참고자료) 주간한국, 창작과 비평. 2000. 여름호. 창작과 비평사
문화일보 개그콘서트의 웃음코드 해부
씨네21 제 446호 개그맨과 관객이 웃음을 만든다.
2003.02.14 개그콘서트가 우리를 사로잡은 7가지 이유
월간중앙
서 론
본 론
1. 대중문화란?
1.1 대중문화 성립의 배경
1.2 매스커뮤니케이션과 대중문화
1.3 대중문화
1.4 대중문화의 폐해
1.5 대중문화의 긍정적인 면
1. 6 대중문화의 역사적인 측면
1. 7 현대 대중문화의 과제
2. 대중매체
2.1 우리나라 TV의 발전
2.2 TV와 사회적 관계
3. 이 시대의 문화
3.1 개그콘서트가 미치는 영향력
결 론
참고자료

추천자료

  • 가격9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4.24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8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