元代의 대외관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元代의 대외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머리말

Ⅱ.몽골제국의 성립
1.몽골부족의 발전
2.몽골제국 초기의 정복전쟁

Ⅲ.원제국 시대
1.쿠빌라이의 즉위와 남송정벌
2.고려 원정
3.일본 원정
4.인도차이나, 자바 원정
5.원대의 동서 문화교류

Ⅳ.맺음말

본문내용

족으로부터 자금을 빌려 고리대를 경영하는 자도 나타났다.
이슬람교도는 색목인 가운데서도 문화적으로 가장 우수하였기 때문에 원제국 내에서 그들의 문화활동은 천문 역법 자연과학방면에 큰 업적을 남겼다. 특히 이슬람인들에 의해 역법이 소개되면서 여러 달력들이 제작되었으며 이와 함께 아라비아의 도서, 기계, 지도 등도 많이 전파되었다.
이 밖에도 의학 약학 방면에 뛰어난 기술이 유입되어 생활에 널리 이용되기도 하였다. 생활풍습에서도 서아시아의 모직물이 유행하고 이란식의 신발을 신고 너울로 얼굴을 가리는 쇼올이 유행되기도 하였다. 또한 우유가 보급되었고 이슬람 악기가 전래되었다.
그런데 원대의 이와 같은 이슬람 문화에 대한 몽골인의 수용자세에서 특기되는 점은 상류사회뿐만 아니라 각계각층에 깊이 침투되어 중국의 전통 문화와 융화되면서 새로운 문화로 발전하기도 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원제국의 통치기간이 좀 더 오래 지속되었다면 서아시아문화 뿐만이 유럽 문화도 명말 청초보다 일찍이 중국에 전파되었을 것이다. 원나라는 중국을 통일한 후 불과 90년 만에 멸망하였고 그 위에 원을 계승한 명나라는 철저한 국수주의 정책을 취하여 외래문화를 배척하였기 때문에 원대에 조성된 국제적인 문화는 17세기에 이르기까지 약 3백년간 단절되었다.
Ⅳ.맺음말
세계 역사상 유래없는 대제국을 건설한 몽골은 쿠빌라이의 즉위 이후 전중국을 통일하고 원제국을 성립시켰지만 나머지 한국들은 사실상 독립국이 되었다. 쿠빌라이의 사후 원조는 황제 자리의 계승을 둘러싼 분열로 인한 정치적 혼란과 무리한 국고 소모와 인민에 대한 수탈로 결국 주원장의 명에 중국의 주인 자리를 내주게 된다.
원이 성립되기까지 몽골의 대외관계는 끊임없는 정복전이었다. 칭기스칸에서부터의 서방 원정은 전 유럽을 공포에 몰아넣었으며, 이것은 한편으로는 유럽인에게 동양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게 하였다. 그리고 대륙이 하나로 통일되어 교역이 편리해졌으므로 동서 교류가 더욱 활발해지고 새로운 문화의 전파가 이루어졌다.
몽골은 무력으로 광대한 영토를 점령하였지만, 정복전 이후에는 문화교류에 공헌을 하게 되면서 진정한 의미의 세계제국이 되었다.
참고 문헌
르네 그루쎄, 김호동외 역,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사계절, 1998
중국사연구실 편역, 『중국역사』하, 신서원 1994
스기야마 마사아키, 임대희외 역, 『몽골세계제국』, 신서원, 1999
신채식, 『동양사개론』, 삼영사, 2004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4.29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65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