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사상의 기본 이론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partⅠ-불교사상의 기본이론
Ⅰ.불교의 탄생
1. 도입 - 인도 종교 발달의 배경
2. 인도 초기의 종교 - B. C 3000년경
3. 아리아의 유입, 카스트 제도의 성립과 브라만교 - B. C 2000년 ~ B. C 1500년
4. 브라만교의 쇠퇴와 불교의 등장 - B. C 700년 ~ B. C 500년
5. 석가모니와 초기불교 - B. C 566년 ~ B. C 486년
Ⅱ.불교의 역사적 흐름
▶인도의 불교
1. 근본 불교 - 기원전 530 ~ 기원전 386
2. 부파 불교 - 기원전 386 ~ 기원전 100
3. 대승불교 - 기원전후
4. 중관학파의 성립 - 기원전 100 ~ 기원후 250
5. 유가행파의 성립 - 320 ~ 550
6. 불교의 밀교화와 쇠퇴 - 750 ~ 1203
7. 신불교도 운동 - 1800 ~ 현재
▶중국의 불교
▶한국의 불교
Ⅲ.불교의 기본사상
1. 불교(佛敎)의 뜻
2. 법, 승단, 삼귀의의 의미
3. 불교의 큰 틀, 사성제
4. 여덟 가지 진리의 길, 팔정도
5. 삼법인(三法印)
6. 우주를 지배하는 대원리, 연기
7. 중도(中道)
8. 윤회(輪廻)
9. 공(空)사상

partⅡ-불교사상의 응용 : 현대의 사회문제와 불교사상의 적용
Ⅰ.사회문제와 불교사상의 적용사례
1. 학교 폭력
2. 종교분쟁과 스킨헤드
3. 파파라치의 만연
4. 환경오염 문제
Ⅱ.결론
*참고도서

본문내용

앞에서 생태철학은 그동안 대상으로만 존재하던 자연·환경을 인식주체로 끌어들인다. 이 점에서 생태철학은 환경윤리학과 구분된다. 환경윤리학은 인간을 둘러싼 환경을 이야기하지만 생태철학은 인간과 자연을 하나로 묶는 세계관의 범주에 속하기 때문이다. 생태주의는 성장 제일 주의적 산업문명을 넘어서는 탈 근대적 문명 전환운동을 지향한다. 지배가 아닌 공존, 획일성이 아닌 다양성, 시장 경쟁이 아닌 나눔의 공동체가 목표다. 근대 산업문명의 온갖 폐해, 예컨대 지배와 복종, 억압과 차별, 빈부격차, 환경파괴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대안적 사회를 이룩하려는 모색의 한 가운데에 생태주의가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생태주의는 앞에서 언급한 불교의 모습과 많은 부분이 닮아있다. 불교가 모든 대상을 하나로 생각하여 자비심을 갖고 사랑한다는 논리와 생태주의 인간과 자연을 하나로 묶는 세계관은 상통한다. 이것은 이미 동양적 사상, 그 중에서도 불교의 사상이 이 시대에 절실히 요구되는 가치관이라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끝없는 발전이라는 명목 아래 등한시 해온 진리는 이제 심각한 자연 파괴의 문제로써 우리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이것은 눈을 감아버린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며 제대로 알고 실천해야만 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불교의 사상은 우리가 가야할 길을 제시해 주고 있으며 인류는 그것의 진리를 더 이상 사상으로써만 인식할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옮겨야 할 때가 온 것이다.
Ⅱ.결론
현대는 포스트모던, 즉 다양성의 사회이다. 지난 세기 서구의 가치관은 소수를 무시하고 그들의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것은 이분법적 사유에 의해서 생겨난 현상으로 주변보다는 중심을 강요함으로써 중심이 아닌 것에 대한 소외를 야기 시켰다. 이러한 서구의 모더니즘에 반하여 포스트모더니즘 적인 사고가 확산되었고 이제 사회는 완전하진 않지만 서로의 개성을 인정하며 존중하고, 소외되었던 것들의 권리를 보장해 주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구습의 악행을 되풀이 하는 듯이 세계 곳곳에는 너무나도 안타까운 분쟁들이 계속되고 있다. 앞서 살펴본 종교분쟁이나 스킨헤드, 그리고 지금 우리사회에서 커다란 문제로 자리 잡고 있는 학교폭력 등이 이와 같은 예에 해당할 것이다. 나와 타자의 구분은 그 안에 많은 것을 내재하고 있다. 나와 다르다는 것, 그리고 그것에 대한 이해부족은 결국 불신을 자아내고 서로 배척하는 상황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
불교는 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아는 것을 곧 깨달음이라고 보았다. 내가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은 어찌 보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지금 이 자리에 숨을 쉬고 생각하고 있는 어떤 존재를 부정하기에 우리는 너무 ‘나’를 인식하며 살아왔다. 불교는 과연 이 시대에 무슨 말을 하고 있는 것일까. 과연 부처가 이 시대에 살아 돌아온다면 우리에게 어떠한 가르침을 전할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해본다. 현실적으로 직접 수행을 하러 종교의 현장에 뛰어든다는 것은 지금에 와서 너무 많은 괴리감을 안겨준다. 우리는 지금의 현실에 맞게 불교를 재해석하고 우리의 삶에 적용시키는 융통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불교의 깨달음이라 할 수 있는 나의 부재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내가 없다는 것, 그것은 어찌 보면 남을 사랑하고 이해하라는 말의 단적인 표현이라는 생각이 든다. 남을 사랑한다는 것, 그것도 아무런 대가와 보상을 바라지 않고 남을 사랑하는 것은 어쩌면 성자만이 행할 수 있는 일일 수도 있다. 하지만 다툼과 분쟁으로 인하여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이 존재하는 이때에 우리는 그것의 가치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비록 부처처럼 수행을 하여 해탈의 경지에 이를 수는 없을지라도 우리는 부처가 남긴 사상을 한번쯤 되돌아보고 그것의 작은 실천의 한발을 내 딛어야 한다. 아무리 진리가 이곳에 있어도 실천이 없다면 그것은 죽은 것이기 때문이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이러한 불교의 사상은 삶의 지침을 마련해준다. 마치 우리의 앞길을 지켜보고 있었던 듯 말이다.
온고지신이라는 말이 있다. 옛 것이라도 그것을 다듬어서 현재 우리에게 있어서 필요한, 유용한 것이 있다면 배워야 한다는 말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불교는 다듬어서 익혀야할 옛 것의 표본이 될 만하다. 사실 이번 조사를 하기 전까지만 해도 역사적인, 꽤 많은 사람이 신봉하는 종교로서의 불교에만 관심이 있었다 뿐이지 불교가 현실 도피적이고 그다지 쓸모 있는 종교가 아니라는 생각을 은연중에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 불교에 대한 조사를 통해 불교가 어떠한 종교보다도 논리적이고 분석적이며 현실을 중시한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머나먼 과거에 생겨난 어떤 것으로 인해 현대의 우리가 현대의 사회와 관련해서 무언가를 느낄 수 있다는 데에 신비로움을 느꼈다. 아직도 더 많이 남아있을, 불교의 유익한 사상들을 익히는 것은 우리 사회라는 톱니바퀴에 윤활유를 바른 것과 같은 역할을 해주지 않을까하는 기대를 해본다.
※ 참고도서 ※
정승석, <불교의 이해>, 대원정사, 1989.
소운 스님, <하룻밤에 읽는 불교>, 랜덤하우스중앙, 2004.
김한융, <불교의 사상과 역사>, 우리출판사, 1990.
강건기, <불교와의 만남>, 불지사, 1993.
김정빈, <만화로 보는 불교 이야기>, 고려원 미디어, 1996.
김종옥, <불교에서 보는 철학 철학에서 보는 불교>, 불교시대사, 2002.
저자없음, <불교학 개론>, 보련각 펴냄, 1984.
조계종 포교원 지음, <불교입문>, 조계종 출판사, 2000.
조계종포교원, <불교교리>, 조계종출판사, 1998.
http://sejon.or.kr/simpl/si_map.htm
http://sangowool.com.ne.kr/tem/07.html
http://fgs.or.kr/html/gyori/gyori_02.htmhttp://www.naver.comhttp://www.daum.nethttp://www.empas.comhttp://www.google.co.krhttp://kr.yahoo.comhttp://www.pogyosa.net불교종합커뮤니티 사이트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6.05.02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71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