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국제정치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장. 냉전과 탈냉전
3장. 9.11테러와 국제정치의 변화
4장. 세계화
2장. 냉전과 탈냉전
3장. 9.11테러와 국제정치의 변화
4장. 세계화
본문내용
문제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세계화는 국제안보에 있어서도 새로운 기회이자 도전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문명의 충돌 (문명 충돌론)
미국 하버드대 정치학 교수로서 보수적 주류 정치학을 대표해온 정치학자인 새뮤얼 헌팅턴(Samual P. Huntington)의 저서. 헌팅턴은 1992년 '포린 어페어즈(Foreign Affairs)'에 <문명의 충돌?>이란 글을 통해 '문명충돌론'을 제기했으며, 1996년에 펴낸 저서 <문명의 충돌; 세계질서의 재편(The Clash of Civilizations: Remaking of World Order)>에서 냉전의 종언과 함께 국제정치의 가장 심각한 분쟁은 문명들 간의 충돌이라고 주장했다. 헌팅턴이 문명권을 구분하는 1차 기준은 종교이며, 이에 따라 기독교권, 정교 권, 이슬람권, 유교 권, 불교 권, 힌두 권 등이 설정된다. 이외에 라틴 아메리카 권, 아프리카 권(비 이슬람), 일본 권 등도 설정된다. 그는 ""이념은 가고 그 자리를 문명이 차지한다""면서 ""이념의 갈등이 문명의 갈등으로 부활되고 그 중심에 기독교 서구문명 對 이슬람 및 아시아 유교문화권의 충돌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슬람과 동아시아 지역의 유교를 민주주의에 대한 중대한 장애물로 규정한 그의 서구중심주의적 시각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다. 즉 이슬람과 중국 등 비기독교 문명권을 `위협'으로 간주하는 기독교 문명권의 시각을 곳곳에서 드러내고 있고, 9대 문명권에 포섭되지 않는 독자적인 민족·종족들의 존재를 무시하고 있으며, 문명 충돌 이외의 갈등 요인들을 무시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문명의 충돌 (문명 충돌론)
미국 하버드대 정치학 교수로서 보수적 주류 정치학을 대표해온 정치학자인 새뮤얼 헌팅턴(Samual P. Huntington)의 저서. 헌팅턴은 1992년 '포린 어페어즈(Foreign Affairs)'에 <문명의 충돌?>이란 글을 통해 '문명충돌론'을 제기했으며, 1996년에 펴낸 저서 <문명의 충돌; 세계질서의 재편(The Clash of Civilizations: Remaking of World Order)>에서 냉전의 종언과 함께 국제정치의 가장 심각한 분쟁은 문명들 간의 충돌이라고 주장했다. 헌팅턴이 문명권을 구분하는 1차 기준은 종교이며, 이에 따라 기독교권, 정교 권, 이슬람권, 유교 권, 불교 권, 힌두 권 등이 설정된다. 이외에 라틴 아메리카 권, 아프리카 권(비 이슬람), 일본 권 등도 설정된다. 그는 ""이념은 가고 그 자리를 문명이 차지한다""면서 ""이념의 갈등이 문명의 갈등으로 부활되고 그 중심에 기독교 서구문명 對 이슬람 및 아시아 유교문화권의 충돌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슬람과 동아시아 지역의 유교를 민주주의에 대한 중대한 장애물로 규정한 그의 서구중심주의적 시각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다. 즉 이슬람과 중국 등 비기독교 문명권을 `위협'으로 간주하는 기독교 문명권의 시각을 곳곳에서 드러내고 있고, 9대 문명권에 포섭되지 않는 독자적인 민족·종족들의 존재를 무시하고 있으며, 문명 충돌 이외의 갈등 요인들을 무시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