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주식회사 이원(eweon)
이원의 투다리
한국의 투다리
투다리의 중국진출
토대력의 중국진출 현지화 전략
토대력의 미래
주식회사 이원(eweon)
이원의 투다리
한국의 투다리
투다리의 중국진출
토대력의 중국진출 현지화 전략
토대력의 미래
본문내용
기대이상의 성과를 얻었다.
투다리의 중국식 이름은 토대력이다. 95년 8월 중국 청도 1호점을 시작으로 중국진출의 포문을 연 토대력은 중국본사인 청도토대력 쾌찬유한공사와 청도 토대력식품유한공사 북경의 북경토대력쾌찬유한공사 천진의 천진토대력쾌찬유한공사를 설립 중국전역에 11개 지사와 96개의 점포를 운영중이다.
토대력의 특징은 경영과 물류를 주관하는 두개의 본사를 따로 두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시스템으로 이는 투다리의 경영기법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토대력의 중국 진출 현지화 전략
토대력의 중국 현지화 전략1
토대력은 중국인 고객 니즈에 부합하기 위해 주력메뉴인 꼬치와 식사류는 한국의 정통성을 유지하되 분위기와 가격등 전반적인 컨셉은 중국인 취향에 맞게 현지화 시켰다. 중국의 가족 중심적 문화에 부합하기 위한 단순주점이
아닌 가족 모두가 즐길 수 있는 패밀리 레스토랑을 컨셉으로 했다. 객단가는 서민층과 중산층 사이를 타겟으로 한 35위안 선이다
여기서 잠시 가족중심형 문화에 대해 다음까페에 쓴 글이 있어 잠시 실어본다.
이글은 중국 칭다오 까페의 생활 문화코너의 부러운가족중심의 문화의 제목의 글중 일부분이다.
<중국엔 광장이 참 많다. 녹지 계획을 참 잘해 놓은 것 같다. 5시 6시면 직장에서 퇴근하는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저녁을 먹고 대부분 가족 단위오 집에서 가까운 광장으로 나온다. 각자가 운동을 하거나 그냥 광장에 않아서 가족과 이웃들과 잡담을 하며 휴식을 취한다. 이들의 가장큰 여가는 광장에 나와서 휴식하기다. 우리와는 사뭇 다른 문화다. 우리네 7-80년대에 동네 어귀마다 밥 먹고 나와서 뛰어놀던 어린이들의 모습에 더해서 이들은 가족 모두가 광장에 나와서 자연스런 휴식을 취한다. 가족과 함께하고 가족을 사랑하는 끔찍함이 배어나온다. 어떻게 보면 이들의 생활이 좀 건조해 보이기도 한다. 나의 자본주의 유흥문화에 찌들은 눈으로 보면...>
이처럼 중국은 가족중심형 문화가 짙게 배어있다.
토대력의 중국 현지화 전략2
토대력의 주메뉴는 역시 꼬치류로 꼬치는 중국 길거리에서 흔히 접할수 있는 값싸고 대중적인 메뉴중 하나다. 김진학 회장이 처음 중국청도에 토대력 1호점을 오픈했을때 청도시민을 대상으로 시식회를 한적이 있었는데 길거리 시식회였는데 젊은 층에서부터 중년 여성, 특히 어린이들이 그 자리에서 너덧개의 꼬치를 먹는 모습을 보고 가능성이 있겠구나 생각했다고 한다.
토대력은 중국인의 입맛에 맞는 메뉴와 한국적인 메뉴를 접목시킴으로써 꼬치를 전문으로 하는 한식당이란점을 부각시키면서 중국인들에게 다가갔다.
토대력의 중국 현지화 전략3
토대력의 중국인들이 주류와 식사를 한자리에서 해결하는 중국인들의 식문화 특성을 파악해 꼬치를 제외한 불고기, 삼계탕, 김밥, 떡볶이 등 식사메뉴를 보강. 중국인 입맛에 부합하고 있다.
토대력의 중국 현지화 전략4
현지 물류센터의 구축이다. 청도토대력쾌찬유한공사에 이어 2001년 설립된 청도 토대력 식품유한공사는 중국 토대력에 공급되는 각종 식품을 생산하는 1천평 규모의 ck다. 중국 현지 공장 설립으로 중국시장 공략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움직임이다.
토대력의 미래
토대력의 성공신화를 이끌어낸 김진학회장은 이번 중국 시장의 성공신화를 자신은 성공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한다. 아직까지도 부족한 부분이 많고 이번 중국시장의 진출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음식문화 사절로서의 역할을 힘입어 유럽시장까지의 진출도 모색하고 있다. 철저한 구조시스템과 현지국가에 맞춘 전략으로 인해 유럽시장진출의 쾌거 소식을 바라는 바이다.
참고자료
다음
네이버
다음까페
네이버까페
창업경영신문
월간식당
제일경제
주식회사 이원 홈페이지
투다리 홈페이지
투다리의 중국식 이름은 토대력이다. 95년 8월 중국 청도 1호점을 시작으로 중국진출의 포문을 연 토대력은 중국본사인 청도토대력 쾌찬유한공사와 청도 토대력식품유한공사 북경의 북경토대력쾌찬유한공사 천진의 천진토대력쾌찬유한공사를 설립 중국전역에 11개 지사와 96개의 점포를 운영중이다.
토대력의 특징은 경영과 물류를 주관하는 두개의 본사를 따로 두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시스템으로 이는 투다리의 경영기법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토대력의 중국 진출 현지화 전략
토대력의 중국 현지화 전략1
토대력은 중국인 고객 니즈에 부합하기 위해 주력메뉴인 꼬치와 식사류는 한국의 정통성을 유지하되 분위기와 가격등 전반적인 컨셉은 중국인 취향에 맞게 현지화 시켰다. 중국의 가족 중심적 문화에 부합하기 위한 단순주점이
아닌 가족 모두가 즐길 수 있는 패밀리 레스토랑을 컨셉으로 했다. 객단가는 서민층과 중산층 사이를 타겟으로 한 35위안 선이다
여기서 잠시 가족중심형 문화에 대해 다음까페에 쓴 글이 있어 잠시 실어본다.
이글은 중국 칭다오 까페의 생활 문화코너의 부러운가족중심의 문화의 제목의 글중 일부분이다.
<중국엔 광장이 참 많다. 녹지 계획을 참 잘해 놓은 것 같다. 5시 6시면 직장에서 퇴근하는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저녁을 먹고 대부분 가족 단위오 집에서 가까운 광장으로 나온다. 각자가 운동을 하거나 그냥 광장에 않아서 가족과 이웃들과 잡담을 하며 휴식을 취한다. 이들의 가장큰 여가는 광장에 나와서 휴식하기다. 우리와는 사뭇 다른 문화다. 우리네 7-80년대에 동네 어귀마다 밥 먹고 나와서 뛰어놀던 어린이들의 모습에 더해서 이들은 가족 모두가 광장에 나와서 자연스런 휴식을 취한다. 가족과 함께하고 가족을 사랑하는 끔찍함이 배어나온다. 어떻게 보면 이들의 생활이 좀 건조해 보이기도 한다. 나의 자본주의 유흥문화에 찌들은 눈으로 보면...>
이처럼 중국은 가족중심형 문화가 짙게 배어있다.
토대력의 중국 현지화 전략2
토대력의 주메뉴는 역시 꼬치류로 꼬치는 중국 길거리에서 흔히 접할수 있는 값싸고 대중적인 메뉴중 하나다. 김진학 회장이 처음 중국청도에 토대력 1호점을 오픈했을때 청도시민을 대상으로 시식회를 한적이 있었는데 길거리 시식회였는데 젊은 층에서부터 중년 여성, 특히 어린이들이 그 자리에서 너덧개의 꼬치를 먹는 모습을 보고 가능성이 있겠구나 생각했다고 한다.
토대력은 중국인의 입맛에 맞는 메뉴와 한국적인 메뉴를 접목시킴으로써 꼬치를 전문으로 하는 한식당이란점을 부각시키면서 중국인들에게 다가갔다.
토대력의 중국 현지화 전략3
토대력의 중국인들이 주류와 식사를 한자리에서 해결하는 중국인들의 식문화 특성을 파악해 꼬치를 제외한 불고기, 삼계탕, 김밥, 떡볶이 등 식사메뉴를 보강. 중국인 입맛에 부합하고 있다.
토대력의 중국 현지화 전략4
현지 물류센터의 구축이다. 청도토대력쾌찬유한공사에 이어 2001년 설립된 청도 토대력 식품유한공사는 중국 토대력에 공급되는 각종 식품을 생산하는 1천평 규모의 ck다. 중국 현지 공장 설립으로 중국시장 공략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움직임이다.
토대력의 미래
토대력의 성공신화를 이끌어낸 김진학회장은 이번 중국 시장의 성공신화를 자신은 성공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한다. 아직까지도 부족한 부분이 많고 이번 중국시장의 진출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음식문화 사절로서의 역할을 힘입어 유럽시장까지의 진출도 모색하고 있다. 철저한 구조시스템과 현지국가에 맞춘 전략으로 인해 유럽시장진출의 쾌거 소식을 바라는 바이다.
참고자료
다음
네이버
다음까페
네이버까페
창업경영신문
월간식당
제일경제
주식회사 이원 홈페이지
투다리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