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산후관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성간호산후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산욕기의 정의       

2.산욕기 산모의 관리       

3.산욕기 위험증상   

4.산후 운동       

본문내용

나타나는 질병과 검사
태아단백 검사 : (알파)태아단백은 임신 전 기간에 걸쳐 태아에 의해 생성되는 단백질로 간에서 생성되어 신장을 통해 양수내로 흘러 들어가며, 다시 산모의 혈액내로 확산되어 들어간다. 태아단백을 측정하여 태아의 성숙 정도와 태아단백과 관련 있는 선천성 기형이나 염색체이상(몽고 증)을 간접 추정한다.      
태아단백의 수치가 높을시 신경관 결손(무뇌아, 척추이분열 등), 복벽결손, 신장 이상등 의심. 수치가 낮은 경우 몽고 증(다운증후군) 의심. 임신 14 ~ 25주 사이에 혈액으로 검사.      
트리플마커 검사  태아단백 외에 HCG(인체 융모 성선 자극호르몬), UE3(비 포합형 에스트리올)을 추가 검사. 태아단백에서 몽고 증은 발견 가능성이 낮으나 이 세 가지 검사를 동시에 할 경우 몽고증 뿐 아니라 다른 염색체 이상이나 비정상상태를 알 수 있다.  신경관 결손 : 뇌와 척추의 정상적인 발육을 저해하는 기형. 1000명당 1~2명 발 견.
무뇌아 - 두개골과 뇌의 결손으로 정상발육 어려워 생후 곧 사망. 
척추이분열 - 척추에 결손. 신체마비, 장기기능 부전, 뇌수종, 지능장애 등이 나타남. 
몽고 증(다운증후군) : 지능장애, 심장이나 내장기관에 선천성 기형을 동반한다. 21번 염색체가 정상인보다 1개 많은 3개다. 유전이 30%, 나머지 70%는 수정란의 분열 과정에서 발생되거나 분만 시 산모의 나이가 35세 이상 시에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태아단백검사나 트리플마커 이상 시- 재검사 , 초음파검사 , 양수검사 : 양수 내 태아단백과 염색체분석을 시행한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5.04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78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