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현대 물질문명 속에서의 인간성 상실과 소외감..........2
Ⅱ.『아내의 상자』의 작품이 담고 있는 상징성.............2
1. 규격화된 상자와 메마름-사회와는 동떨어진 밀폐된 공간 속의 아내..2
2. 아내의 불임-영혼과 육체의 이분법적 괴리와 아내의 폐쇄적 자의식..4
3. 아내의 수면-소외된 자의 현실적 망각................5
4. 우승열패-사회적 잣대에 의한 우열의 결과....................6
5. 두 갈래의 길-억압과 속박 그리고 일상에서의 탈출구.........7
Ⅲ.현대 사회가 보여주는 인간의 내면...........................8
1. 문명의 발달로 인한 인간의 폐허..............................8
2. 현대인들의 이상, 그리고 욕망속의 정서적 불모성..............9
3. 인간존재의 상실과 그 회복...............,.............10
Ⅳ.결론.........................................................10
*참고문헌.................................................11
Ⅱ.『아내의 상자』의 작품이 담고 있는 상징성.............2
1. 규격화된 상자와 메마름-사회와는 동떨어진 밀폐된 공간 속의 아내..2
2. 아내의 불임-영혼과 육체의 이분법적 괴리와 아내의 폐쇄적 자의식..4
3. 아내의 수면-소외된 자의 현실적 망각................5
4. 우승열패-사회적 잣대에 의한 우열의 결과....................6
5. 두 갈래의 길-억압과 속박 그리고 일상에서의 탈출구.........7
Ⅲ.현대 사회가 보여주는 인간의 내면...........................8
1. 문명의 발달로 인한 인간의 폐허..............................8
2. 현대인들의 이상, 그리고 욕망속의 정서적 불모성..............9
3. 인간존재의 상실과 그 회복...............,.............10
Ⅳ.결론.........................................................10
*참고문헌.................................................11
본문내용
아내의 상자』에서 말하는 소위 열성에 해당 되는 격이 되어버린다. "현대사회는 너무나 정상적인 비정상의 상태이다."
위의 책. p.5
그리고 "인간은 이미 자기가 하는 일에서 자기 자신을 표현하지 못한다. 생활의 기계화가 증대함에 따라 자연과 사회에 대한 계산적인 관점이 생기고 자연 및 사회와 개인의 유대는 끊어져 버린다."
프리츠 파펜하임. 위의 책. p.43 9
아무리 자신의 이상이 높다하되 현대사회의 짜여진 틀에 맞춰 살지 않으면 금방 인간관계가 틀어지고 소외되기 일쑤이다. 『아내의 상자』에서도 환상으로 다가온 생동감 넘치고 경쾌한 일상의 탈출구가 결국에는 무덤으로 가는 길목이라는 점을 보여주고, 일상에서의 탈출구를 통해 좀더 나은 희망을 찾아가려 하지만 모두 원점으로 돌아와야 하는 절망적인 현실을 보여준다. 인간 개개인의 원대한 포부, 이상, 그리고 욕망이 급속도로 발전하는 현대사회 안에서는 결국 다 같은 종류로 분류되며 그것들이 모두 같은 상자 안으로 들어가 쓸모가 없게 된다는 현실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3. 인간존재의 상실과 그 회복
언젠가부터 우리사회는 개인의 다양한 심리, 사고, 행동을 무시하고 일정한 틀에 넣어 인위적으로 규격화 하고 동질화 하는 경향 즉, 획일주의로 전락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점점 더 각박해지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은 자신의 인간존재감이 상실되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지 못한 채 상실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지금 이 시점에서도 "소외현상은 인간과 인간 스스로에 대한 관계를 수량화 내지는 물량화 시키고 생산과 소비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발전"
김정자. 『소외의 서사학』. (서울:태학사. 1998). p.5 서문
시키고 있다. "부와 권력이 야합하여 사랑과 성, 심지어 학문과 예술, 종교마저도 시장논리의 폭력에 지배되고 있다."
위의 책. p.5 서문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 몸을 맡긴 채 현대인들은 그렇게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서 바로 일상생활로부터의 무력감, 권태감, 의욕상실 등의 부작용이 종종 나타나고 심하면 자살까지 이르게 된다.
이렇게 사회와 인간 사이는 악순환의 연속인 것이다. 인간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사회와 문화적가치의 보편성을 인정하고 그것을 받아들이"
이홍균. 『소외의 사회학』. (서울:한울 아카데미. 2004). p.189
는 현명함이 필요하고 사회는 '생산과정에 있어서 배제되거나 억압받는 사람이 없는지, 그 생산이 도덕적 자원이나 자연적 자원을 고갈시키지는 않는지, 또한 사회기대의 사회 압력이 사회구성원의 자아정체성을 잃어버리게 만들고 있지는 않은지 등을 충분히 반성하고 성찰하여 사회구성원들의 행위방향을 구속과 속박에서 벗어나도록 결정해야 할 것이다.'
위의 책. pp.39~40
Ⅳ.결론
우리는 앞서 소설『아내의 상자』에 담겨진 상징적인 요소분석과 그에 따른 이론 몇 가지를 살펴보았다. 아내의 일상은 현대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는 각박하고 메마른 우리의 일상을 보는 듯 했고, 이 사회에서 도태되지 않으려면 주어진 환경에서 순응하며 살아야 한다는 교훈도 남겨주고 있다. 비록 문제점은 많으나 그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렇듯'자본주의시대의 독점자본의 기본적인 의도인 합리화나 기술혁신, 능력개발 등이 현대사회를 비인간화 시키고 그런 독점자본의 거대한 힘이 비인간화로부터 빠져나갈 길을 가로막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인 것이다. 현대에 있어서 소외라는 말이 이처럼 답답하고 절망적인, 혹은 소란스러운 행동을 유발시키는 듯한 어감을 갖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평야희 일랑. 『소외론』. (서울:한마당. 1991). p.119
'소외감의 기저에 가로놓인 사회의 현실을 파악하고 그 가운데에서 생겨나는 장래의 현실을 인식하며, 그러한 장래의 현실을 실현하려는 드높은 전망과 행동 속에서 소외감이라는 의식을 지양'
위의 책. p.118
10
하여 자신만의 심각성에서 벗어나 한 걸음 앞선 사회인으로 발돋움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이미숙. 「소외의식의 상징적 표현에 관한 연구」. 서울:서울대원문. 1991.
권미숙. 「소외의식의 심리적 표현 연구」. 서울:서울대학원 원문. 1998.
정문길. 「소외론 연구」. 서울:문학과 지성사. 1981.
이홍균, 「소외의 사회학」. 서울:한울 아카데미. 2004.
프리츠 파펜하임. 「현대인의 소외」. 서울:문예출판사. 1994.
평야희 일랑. 「소외론」. 서울:한마당. 1991.
김정자. 「소외의 서사학」. 서울:태학사. 1998.
11
위의 책. p.5
그리고 "인간은 이미 자기가 하는 일에서 자기 자신을 표현하지 못한다. 생활의 기계화가 증대함에 따라 자연과 사회에 대한 계산적인 관점이 생기고 자연 및 사회와 개인의 유대는 끊어져 버린다."
프리츠 파펜하임. 위의 책. p.43 9
아무리 자신의 이상이 높다하되 현대사회의 짜여진 틀에 맞춰 살지 않으면 금방 인간관계가 틀어지고 소외되기 일쑤이다. 『아내의 상자』에서도 환상으로 다가온 생동감 넘치고 경쾌한 일상의 탈출구가 결국에는 무덤으로 가는 길목이라는 점을 보여주고, 일상에서의 탈출구를 통해 좀더 나은 희망을 찾아가려 하지만 모두 원점으로 돌아와야 하는 절망적인 현실을 보여준다. 인간 개개인의 원대한 포부, 이상, 그리고 욕망이 급속도로 발전하는 현대사회 안에서는 결국 다 같은 종류로 분류되며 그것들이 모두 같은 상자 안으로 들어가 쓸모가 없게 된다는 현실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3. 인간존재의 상실과 그 회복
언젠가부터 우리사회는 개인의 다양한 심리, 사고, 행동을 무시하고 일정한 틀에 넣어 인위적으로 규격화 하고 동질화 하는 경향 즉, 획일주의로 전락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점점 더 각박해지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은 자신의 인간존재감이 상실되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지 못한 채 상실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지금 이 시점에서도 "소외현상은 인간과 인간 스스로에 대한 관계를 수량화 내지는 물량화 시키고 생산과 소비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발전"
김정자. 『소외의 서사학』. (서울:태학사. 1998). p.5 서문
시키고 있다. "부와 권력이 야합하여 사랑과 성, 심지어 학문과 예술, 종교마저도 시장논리의 폭력에 지배되고 있다."
위의 책. p.5 서문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 몸을 맡긴 채 현대인들은 그렇게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서 바로 일상생활로부터의 무력감, 권태감, 의욕상실 등의 부작용이 종종 나타나고 심하면 자살까지 이르게 된다.
이렇게 사회와 인간 사이는 악순환의 연속인 것이다. 인간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사회와 문화적가치의 보편성을 인정하고 그것을 받아들이"
이홍균. 『소외의 사회학』. (서울:한울 아카데미. 2004). p.189
는 현명함이 필요하고 사회는 '생산과정에 있어서 배제되거나 억압받는 사람이 없는지, 그 생산이 도덕적 자원이나 자연적 자원을 고갈시키지는 않는지, 또한 사회기대의 사회 압력이 사회구성원의 자아정체성을 잃어버리게 만들고 있지는 않은지 등을 충분히 반성하고 성찰하여 사회구성원들의 행위방향을 구속과 속박에서 벗어나도록 결정해야 할 것이다.'
위의 책. pp.39~40
Ⅳ.결론
우리는 앞서 소설『아내의 상자』에 담겨진 상징적인 요소분석과 그에 따른 이론 몇 가지를 살펴보았다. 아내의 일상은 현대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는 각박하고 메마른 우리의 일상을 보는 듯 했고, 이 사회에서 도태되지 않으려면 주어진 환경에서 순응하며 살아야 한다는 교훈도 남겨주고 있다. 비록 문제점은 많으나 그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렇듯'자본주의시대의 독점자본의 기본적인 의도인 합리화나 기술혁신, 능력개발 등이 현대사회를 비인간화 시키고 그런 독점자본의 거대한 힘이 비인간화로부터 빠져나갈 길을 가로막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인 것이다. 현대에 있어서 소외라는 말이 이처럼 답답하고 절망적인, 혹은 소란스러운 행동을 유발시키는 듯한 어감을 갖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평야희 일랑. 『소외론』. (서울:한마당. 1991). p.119
'소외감의 기저에 가로놓인 사회의 현실을 파악하고 그 가운데에서 생겨나는 장래의 현실을 인식하며, 그러한 장래의 현실을 실현하려는 드높은 전망과 행동 속에서 소외감이라는 의식을 지양'
위의 책. p.118
10
하여 자신만의 심각성에서 벗어나 한 걸음 앞선 사회인으로 발돋움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이미숙. 「소외의식의 상징적 표현에 관한 연구」. 서울:서울대원문. 1991.
권미숙. 「소외의식의 심리적 표현 연구」. 서울:서울대학원 원문. 1998.
정문길. 「소외론 연구」. 서울:문학과 지성사. 1981.
이홍균, 「소외의 사회학」. 서울:한울 아카데미. 2004.
프리츠 파펜하임. 「현대인의 소외」. 서울:문예출판사. 1994.
평야희 일랑. 「소외론」. 서울:한마당. 1991.
김정자. 「소외의 서사학」. 서울:태학사. 1998.
11
추천자료
[사회복지개론] 현대사회 가족문제와 가족복지정책
자원봉사론4A공통)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중 하나를 골라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
여성복지론 - 현대사회와 여성복지의 필요성(여성이 경험하는 생애주기에 따른 불평등과 위험...
자원봉사론4공통)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중 하나를 골라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
[현대사회문제] 빈곤(poverty)과 소득분배(income distribution) - 계층사회에서의 빈곤적 의...
[현대사회문제] 노인문제 -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와 노인(노인의 개념과성격), 노인문...
[현대시교육] 현대사회 속에서 시의 미래와 발전방향(교육방향)
[사회복지개론] 현대사회의 가족문제에 대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
왜 현대사회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자원봉사활동이 필요한지 의견을 제시하시오.
[사회복지개론]현대사회 노인문제가 대두되는 배경과 해결방안을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