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관
1. dysarthria의 정의
2. 발병률
3. dysarthria의 병인과 특성
4. dysarthria의 6가지 분류
Ⅱ. 평가
1. 평가 목적
2. 평가
Ⅲ. 치료
1. 일반적인 치료
2. 유형별 치료
1. dysarthria의 정의
2. 발병률
3. dysarthria의 병인과 특성
4. dysarthria의 6가지 분류
Ⅱ. 평가
1. 평가 목적
2. 평가
Ⅲ. 치료
1. 일반적인 치료
2. 유형별 치료
본문내용
방법
느리고 조절된 흡기(slow and controlled exhalation)
흡기한 즉시 말하기(speck immediately on exhalation)
일찍 멈추고 발성하기(stop phonation early)
- 조음치료 : 일반적인 발성이나 조음 훈련을 통해 속도, 강도, 음도 조절을 통해 명료도 향상 가능
3) 저긴장형(저운동형) 마비성 구어장애
- 조음오류 : 조음기관의 운동범위 감소에 기인, 페이싱 보드, 손이나 손가락 태핑, 문자 보드, 지연 청각 피드백 등을 이용하여 감소된 속도, 조음기관 훈련을 통한 스트레칭 실 시후 일반적 조음 치료 기법 이용
- 발성장애 : 후두 성형술, 테프론 또는 콜라겐 주입 고려, 음성강도 증폭기, 밀기 접근법, 강한 성대 접촉, 생체 피드백 이용하여 발성 향상
- 음성치료 : 강도와 음도 변화에 중점을 둠
LSVT 프로그램(Lee Silverman voice Treatment Program) : 파킨슨병 환자에게 적용하여 음성 및 어음 명료도 개선을 보고
- 호흡 : 실조형 마비성 구어 장애와 동일
4) 과긴장형(과운동형) 마비성 구어장애
-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 : 의료적 중재(수술, 약물치료가 최선)
대부분 부작용 동반
- 행동적 중재가 일시적이라도 제공하는 것은 도움을 줌
☞ 감각적 책략(sensory tricks)
- 미세한 근긴장 이상이 있는 환자에게 불수의적 움직임을 통제할 수 있는 감각적 책략을 지도
- 장기간 효과는 없고, 모든 환자에게 적합하지도 않음
☞ 이완훈련
- 가볍게 눈을 감고, 목과 사지를 이완하고 눈의 움직임이 없는 이완된 신체적 자세가 이용
장기간의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함
☞ 바이트 블록
- 구어 시 턱의 안정을 위해 사용, 안면 근 이상증이 있는 턱의 움직임에 가장 잘 알려진 치료 기법 중 하나임
- 턱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조음과 구어 속도의 향상을 도모
☞ 편안한 음성 시작
- 하품-한숨을 이용
- 구강안면 훈련, 생체 피드백 등을 통해 조음기관 향상 도모
5) 이완형 마비성 구어장애
- 가장 대표적인 특성 : 근력의 약함
근력강화와 약한 근력의 보상
- 바이트 블록: 안면 신경 마비나 약증이 있는 경우 턱이나 입술 근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 용(일시적인 방법)
- 일반적 근력강화 : 입을 다문 자세에서 5~10초간 웃기
- 호흡 문제 :호흡을 증가시키기 위해 자세조정, 깊은 흡기와 긴 호기, 적절한 호기 조절
- 의료적 방법: 후두 성형술, 테프론이나 콜라겐을 성대 주입
- 과대비성 개선: 연인두 기능향상 시키기 위한 근력강화훈련, 구개 거상이나 인두 피부판 수술
- 성대폐쇄부족: 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밀고 당기는 연습, 호흡 참기, 강한 성대 접속 을 실시
- 일측성 약증 : 고개를 약증이 있는 쪽으로 돌려 발성함으로써 마비나 약증이 있는 성대가 성문 중앙으로 움직이게 함
- 조음치료 : 일반적인 중재 전략에 있는 모든 방법 사용
6) 혼합성 마비성 구어장애
- 마비성 구어장애 유형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것을 치료에 가장 주력할 것은 구어산출에 가 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을 다루는 것
- 가장 심한 오류를 먼저 치료(혼합되는 유형에 따라 치료 목표의 우선순위가 달라짐)
7) 일측성 상위운동신경형 마비성 구어장애
- 치료적 연구가 거의 없음
상대적으로 경도이고 의료적 중재나 보철 중재 등이 필요 없음.
- 행동적 중재 : 속도, 운율, 조음과 관련된 중재
- 조음 치료 : 마비나 약증이 나타나는 쪽의 조음기관 훈련을 실시, 일반적 조음기환 훈련
- 구강 근력 강화 : 자조(self-help) 구강 근력강화, 일반적 구강 근력 강화
※ 장애유형별 구어특성
생리적 측면
호흡
발성
공명
조음
운율
이완형
근육약화에 따라 호흡적 지지력 감소, 단강도와 짧은 구
뇌간의 손상이 일측성/양측성으로 있는 경우에 따라 다름, 기식성, 거친소리
흡기의 관찰, 강도의 감소, 과비성, 비성유출
부정확한 조음, 특히 치조음, 파열음 및 마찰음
불충분한 운율, 단음도, 단강도
경직형
폐활량의 감소:빈약한 후두 벨빙으로 인한 증상과 구분하기 어려움
힘들이고, 쥐어짜는 발성, 낮은 음도, 음도 일탈, 음성크기의 변화가 거의 없음
과비성, 그러나 비성유출은 거의 없음
부정확한 자음
감소된 강세, 과도하거나 균등한 강세흐름, 느린 속도
실조형
적은 공기로 말함
과도한 강도 변화, 거친 음성, 단강도
없음
부정확한 자음, 모음왜곡, 불규칙한 조음오류
과도하고 동일한 강세, 음소와 휴지 후 강도가 폭발적으로 증가, 느린 속도, 단음도
저긴장형
호흡적 지지의 감소, 단강도와 짧은 구, 강도의 감소
목쉰 소리, 기식성, 떨림, 강도의 감소, 단강도
약간의 과비성
목표조음에 도달하기 위한 산출양식의 변화
속도가 빨라짐, 단음도, 짧은 말단위
과긴장형
없음
음도와 강도의 변동에 따른 떨림, 저음도, 음도파열
없음
없음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 단음도
혼합형
호흡 지지력의 감소, 단강도 및 간격의 연장
상위운동신경손상:저음도, 거칠며 쥐어짜는 듯한 음성, 젖은 음성
하위운동신경손상:기식성, 단강도
비강방출이 없는 과대비성
부정확한 조음
강세의 감소, 느린 속도, 운율의 저하, 간격이 길어짐, 음소 연장, 단음도
일측성
없음
거친 음성
없음
부정확한 자음, 불규칙한 조음오류
느린 속도
참고 문헌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교수-학습전략/ 김윤옥, /서울 / 교육과학사, 2000
학습장애 아동 교육의 이론과 실제/ 김승국 외 15명/ 서울/ 교육과학사, 1999
현장특수교육/ 국립특수교육원/ 1998년 여름호.
한겨레 신문/ 2001.07.25자 정상영 기자
학습장애 / 송종용 / 학지사
특수아동교육 / 이소현외 / 학지사
학습장애 치료교육 / 박찬주 외 / 학지사
학습장애 클리닉 / 루이 라플레즈 외 / 한울림
학습장애아동교육의 이론과 실제 / 김승국 외 / 교육과학사
학습장애의 특징과 그 치료대책 / 김청자 / 인문과학연구 제11호
학습장애 아동의 진단과 치료 / 김지혜 / 한국임상심리학회 공개강연
학습장애의 개념 및 진단평가의 문제와 과제 / 정대영 / 정서, 행동장애연구 제18권 제1호
느리고 조절된 흡기(slow and controlled exhalation)
흡기한 즉시 말하기(speck immediately on exhalation)
일찍 멈추고 발성하기(stop phonation early)
- 조음치료 : 일반적인 발성이나 조음 훈련을 통해 속도, 강도, 음도 조절을 통해 명료도 향상 가능
3) 저긴장형(저운동형) 마비성 구어장애
- 조음오류 : 조음기관의 운동범위 감소에 기인, 페이싱 보드, 손이나 손가락 태핑, 문자 보드, 지연 청각 피드백 등을 이용하여 감소된 속도, 조음기관 훈련을 통한 스트레칭 실 시후 일반적 조음 치료 기법 이용
- 발성장애 : 후두 성형술, 테프론 또는 콜라겐 주입 고려, 음성강도 증폭기, 밀기 접근법, 강한 성대 접촉, 생체 피드백 이용하여 발성 향상
- 음성치료 : 강도와 음도 변화에 중점을 둠
LSVT 프로그램(Lee Silverman voice Treatment Program) : 파킨슨병 환자에게 적용하여 음성 및 어음 명료도 개선을 보고
- 호흡 : 실조형 마비성 구어 장애와 동일
4) 과긴장형(과운동형) 마비성 구어장애
-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 : 의료적 중재(수술, 약물치료가 최선)
대부분 부작용 동반
- 행동적 중재가 일시적이라도 제공하는 것은 도움을 줌
☞ 감각적 책략(sensory tricks)
- 미세한 근긴장 이상이 있는 환자에게 불수의적 움직임을 통제할 수 있는 감각적 책략을 지도
- 장기간 효과는 없고, 모든 환자에게 적합하지도 않음
☞ 이완훈련
- 가볍게 눈을 감고, 목과 사지를 이완하고 눈의 움직임이 없는 이완된 신체적 자세가 이용
장기간의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함
☞ 바이트 블록
- 구어 시 턱의 안정을 위해 사용, 안면 근 이상증이 있는 턱의 움직임에 가장 잘 알려진 치료 기법 중 하나임
- 턱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조음과 구어 속도의 향상을 도모
☞ 편안한 음성 시작
- 하품-한숨을 이용
- 구강안면 훈련, 생체 피드백 등을 통해 조음기관 향상 도모
5) 이완형 마비성 구어장애
- 가장 대표적인 특성 : 근력의 약함
근력강화와 약한 근력의 보상
- 바이트 블록: 안면 신경 마비나 약증이 있는 경우 턱이나 입술 근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 용(일시적인 방법)
- 일반적 근력강화 : 입을 다문 자세에서 5~10초간 웃기
- 호흡 문제 :호흡을 증가시키기 위해 자세조정, 깊은 흡기와 긴 호기, 적절한 호기 조절
- 의료적 방법: 후두 성형술, 테프론이나 콜라겐을 성대 주입
- 과대비성 개선: 연인두 기능향상 시키기 위한 근력강화훈련, 구개 거상이나 인두 피부판 수술
- 성대폐쇄부족: 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밀고 당기는 연습, 호흡 참기, 강한 성대 접속 을 실시
- 일측성 약증 : 고개를 약증이 있는 쪽으로 돌려 발성함으로써 마비나 약증이 있는 성대가 성문 중앙으로 움직이게 함
- 조음치료 : 일반적인 중재 전략에 있는 모든 방법 사용
6) 혼합성 마비성 구어장애
- 마비성 구어장애 유형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것을 치료에 가장 주력할 것은 구어산출에 가 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을 다루는 것
- 가장 심한 오류를 먼저 치료(혼합되는 유형에 따라 치료 목표의 우선순위가 달라짐)
7) 일측성 상위운동신경형 마비성 구어장애
- 치료적 연구가 거의 없음
상대적으로 경도이고 의료적 중재나 보철 중재 등이 필요 없음.
- 행동적 중재 : 속도, 운율, 조음과 관련된 중재
- 조음 치료 : 마비나 약증이 나타나는 쪽의 조음기관 훈련을 실시, 일반적 조음기환 훈련
- 구강 근력 강화 : 자조(self-help) 구강 근력강화, 일반적 구강 근력 강화
※ 장애유형별 구어특성
생리적 측면
호흡
발성
공명
조음
운율
이완형
근육약화에 따라 호흡적 지지력 감소, 단강도와 짧은 구
뇌간의 손상이 일측성/양측성으로 있는 경우에 따라 다름, 기식성, 거친소리
흡기의 관찰, 강도의 감소, 과비성, 비성유출
부정확한 조음, 특히 치조음, 파열음 및 마찰음
불충분한 운율, 단음도, 단강도
경직형
폐활량의 감소:빈약한 후두 벨빙으로 인한 증상과 구분하기 어려움
힘들이고, 쥐어짜는 발성, 낮은 음도, 음도 일탈, 음성크기의 변화가 거의 없음
과비성, 그러나 비성유출은 거의 없음
부정확한 자음
감소된 강세, 과도하거나 균등한 강세흐름, 느린 속도
실조형
적은 공기로 말함
과도한 강도 변화, 거친 음성, 단강도
없음
부정확한 자음, 모음왜곡, 불규칙한 조음오류
과도하고 동일한 강세, 음소와 휴지 후 강도가 폭발적으로 증가, 느린 속도, 단음도
저긴장형
호흡적 지지의 감소, 단강도와 짧은 구, 강도의 감소
목쉰 소리, 기식성, 떨림, 강도의 감소, 단강도
약간의 과비성
목표조음에 도달하기 위한 산출양식의 변화
속도가 빨라짐, 단음도, 짧은 말단위
과긴장형
없음
음도와 강도의 변동에 따른 떨림, 저음도, 음도파열
없음
없음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 단음도
혼합형
호흡 지지력의 감소, 단강도 및 간격의 연장
상위운동신경손상:저음도, 거칠며 쥐어짜는 듯한 음성, 젖은 음성
하위운동신경손상:기식성, 단강도
비강방출이 없는 과대비성
부정확한 조음
강세의 감소, 느린 속도, 운율의 저하, 간격이 길어짐, 음소 연장, 단음도
일측성
없음
거친 음성
없음
부정확한 자음, 불규칙한 조음오류
느린 속도
참고 문헌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교수-학습전략/ 김윤옥, /서울 / 교육과학사, 2000
학습장애 아동 교육의 이론과 실제/ 김승국 외 15명/ 서울/ 교육과학사, 1999
현장특수교육/ 국립특수교육원/ 1998년 여름호.
한겨레 신문/ 2001.07.25자 정상영 기자
학습장애 / 송종용 / 학지사
특수아동교육 / 이소현외 / 학지사
학습장애 치료교육 / 박찬주 외 / 학지사
학습장애 클리닉 / 루이 라플레즈 외 / 한울림
학습장애아동교육의 이론과 실제 / 김승국 외 / 교육과학사
학습장애의 특징과 그 치료대책 / 김청자 / 인문과학연구 제11호
학습장애 아동의 진단과 치료 / 김지혜 / 한국임상심리학회 공개강연
학습장애의 개념 및 진단평가의 문제와 과제 / 정대영 / 정서, 행동장애연구 제18권 제1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