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장균 O-157:H7 오염사건
1. 대장균 O-157:H7이란?
2. 사례
3. 우리나라의 사례
4. 증상
5. 위험성
6. 감염경로
7. 진단
8. 예방 대책
9. 사멸온도 및 시간
1. 대장균 O-157:H7이란?
2. 사례
3. 우리나라의 사례
4. 증상
5. 위험성
6. 감염경로
7. 진단
8. 예방 대책
9. 사멸온도 및 시간
본문내용
의한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유아나 면역이 약화된 사람은 절대로 원유나 날고기, 덜 익힌 고기를 먹어서는 안 된다. 물은 대장균군수와 대장균의 존재를 정기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음수위생을 확고히 해야 한다. 가축에서는 도축 시 식육의 분변 오염에 대한 철저한 도축장 위생관리 및 지도를 실시하고, 목장에서의 질병관리 및 착유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며, 물 등의 환경위생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소와 다른 동물에 대한 감염예방은 감염되는 방법이 명확하지 않아 어려운 실정이나 동물의 O-157:H7 감염의 가장 중요한 예방법은 음수관리를 위생적으로 하는 것이다. 대장균은 분변에 오염된 물에 의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농장, 도살장, 도시 하수에 대장균이 많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오염된 음수의 접촉을 막아야 한다. 아울러 동물검역소에서는 수입육에 대한 대장균(O157:H7) 검사를 실시하여 국내 유입을 사전에 방지해야 한다.
8. 사멸온도 및 시간
이 균은 열에 민감하여 57.2℃에서 270초, 60℃에서 45초, 64.3℃에서 9.6초간 가열에 의해 사멸되므로 식품을 충분히 가열하여 섭취하면 이 균으로 인한 식중독을 예방 할 수 있다.
8. 사멸온도 및 시간
이 균은 열에 민감하여 57.2℃에서 270초, 60℃에서 45초, 64.3℃에서 9.6초간 가열에 의해 사멸되므로 식품을 충분히 가열하여 섭취하면 이 균으로 인한 식중독을 예방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