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키의 역사
2. 스키의 종류
3. 스키의 장비
4. 스키의 과학적 운동원리(스키의 물리적 이해)
5. 스키의 기본자세
2. 스키의 종류
3. 스키의 장비
4. 스키의 과학적 운동원리(스키의 물리적 이해)
5. 스키의 기본자세
본문내용
중급 페럴렐 (Advanced parallel turns)은 기초 페럴렐(basic parallel)보다 좀 더 증가된 속도로 활주한다. 따라서 기초 페럴렐(basic parallel)에 비하여 좀 더 많은 기울기(inclination)와 앵귤레이션 (angulation). 그리고 더욱 섬세하고 숙련된 조종 능력을 요구한다. Advanced parallel turns은 엣지가 얼마나 일찍 작용하고 있고 스키가 활주하는 트랙(track)이 basic parallel 보다 얼마나 좁은가, 즉 skidding을 비교적 얼마나 적게 하는가에 따라 Advanced parallel turns을 정의 할 수 있다.
참고로 basic parallel과 Expert parallel을 비교하여 보면 턴을 하는데 있어서 엣지(Edge)를 사용하는 구간이 어떻게 다른지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그리고 턴을 할 때 스키가 효과적으로 일찍 작용하기 위하여 스키어는 좀더 세밀한 압력조절(pressure control)의 감각을 가져야 하며, 이러한 움직임은 중심점(COM)의 길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정된 균형과 효과적인 edge change를 하기 위해서는 기초 페럴렐에서 비중을 두었던 수직 운동(Vertical movement)보다 좌,우 기울기인 측면 운동(lateral movement)에 비교적 많은 비중을 두어야 한다.
7) 중급 숏턴 (ADVANCED SHORT RADIUS) - 중급 숏턴(Advanced short radius)은 중급 페럴렐(Advanced parallel)의 축소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속도 조절을 하여야 하며, 슬로프(slope)상황에 따라 턴의 모양이 수시로 변화된다. 스키의 이러한 단계는 중급 페럴렐과 동일한 수준의 기술이며, 중급 페럴렐(Advanced parallel)을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이 되어야만 가능하다. 중급 숏턴(Advanced short radius)은 주로 압력 조절 (pressure control)을 위주로 활주하여야 하며, Down and up 의 움직임은 적게 하여야만 안정된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중급 숏턴(Advanced short radius)의 엣지(edge)를 적용하는 구간은 중급 페럴렐(Advanced parallel)과 동일하다.
8) 상급 페럴렐턴 (EXPERT PARALLEL TURNS) - 상급 페럴렐 턴(Expert parallel turns)과 같이 완성된 단계에서는 스키가 하체에 의해서만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상체와의 적절한 꼬임 형상이 생기게 되며, 엣지를 적용하는 시점은 중급 페럴렐 때 보다 일찍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엣지의 각을 바꾸게 될 때 꼬임 현상이 풀어지게 된다. 턴의 후반에서는 지구의 중력을 포함한 원심력에 의해서 스키로부터 상당히 큰 저항이 전해져 오며 이는 곧 엣지 그립의 붕괴 위험까지 도달하게 되며, 이러한 저항을 조정하고 에너지(energy)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압력 조절(Pressure control)이 가장 중요하게 적용된다. 턴의 마지막 부분에서 스키에 대한 과부하를 조정하기 위해 플랙션(flexion)을 이용하는 것은 경험을 통하여서만 얻을 수 있는 고난 도의 좋은 타이밍을 필요로 한다. 턴을 할 때 효과적인 신체의 포지션(position) 은 발목, 무릎, 힙(hip)관절에 동일하게 작용하는 앵귤레이션(angulation)을 포함하는 기울기(inclination)로 결정된다. 이러한 수준의 스키에 있어서 몸의 움직임이나 기술은 속도와 카빙스키에 의해 발생되는 힘은 조정하는데 깊이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중심점(COM)이 턴의 시작 부분에서 상, 하 움직임보다는 다음 턴으로 바로 넘어가는 동작(across)을 하는데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현대의 스키 장비는 skidding이 없는 정확한 카빙턴을 구사해야 하는 상급 페럴렐 턴(Expert parallel turns)을 하는데 있어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키의 지나간 자리의 좁은 면적 내에서 최적의 활동은 사이드컷(side cut)이 뚜렷한 스키나 기술적 성취도를 증대시키는 보조 바인딩 플레이트(under vinding plate)와 같은 특별한 장치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스키 강사는 과거의 일반적인 스키 장비를 한계를 잘 알고 있어야 하고 대중에게 알려야 한다.
9) 상급 숏턴 (EXPERT SHORT RADIUS TURNS) - 상급 숏턴은 상급 페럴렐 턴의 축소형이라 할 수 있다. 엣지를 사용하는 시점, 스키를 통해 전해져 오는 압력은 상급페럴렐 과 동일하다. 단, 턴의 크기만 작을 뿐이다. 그러므로 상급 페럴렐 기술을 완전히 소화해 낼 수 있어야만 상급 숏턴(Expert short radius turns)기술을 구사할 수 있다. 상급 숏턴(Expert short radius turns)에서 그림에서 보는 바 와 같이 엣지를 사용하는 구간(edging phase)은 턴의 정점(apex)근처에서 모두 끝나게 되며, 이를 통해 최대한의 속도를 얻을 수 있다. 턴의 남은 절반은 엣지를 풀어 주면서 스키의 마찰력을 풀어 주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서 스키의 가속력을 얻어내며 활주 할 수 있다. 상금 숏턴(Expert short radius turns)의 증가된 템포는 양다리로부터의 역동적인 활동을 요구하며 대부분의 엣지 조절은 발목과 무릎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급 숏 턴(Expert short radius turns)을 신체의 동작으로 구분하여 보면 턴의 시작에서 정점까지 엣지를 사용하면서 무릎을 펴 주기 시작하면서 턴의 정점에 이르며 남은 턴은 엣지를 풀어 주면서 가속을 얻게 되므로 신체적으로 안정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스키에 전해져오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 즉 압력 조절(Pressure control)이 필요하다. 상급 페럴렐과 마찬가지로 안정된 스탠드와 서로 독립적이면서 동시에 일어나는 다리의 움직임이 필수 요건이다. 폴의 사용(Pole plants)은 턴의 리듬과 주위 환경이 요구하는 것에 맞추어 타이밍과 안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참고로 basic parallel과 Expert parallel을 비교하여 보면 턴을 하는데 있어서 엣지(Edge)를 사용하는 구간이 어떻게 다른지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그리고 턴을 할 때 스키가 효과적으로 일찍 작용하기 위하여 스키어는 좀더 세밀한 압력조절(pressure control)의 감각을 가져야 하며, 이러한 움직임은 중심점(COM)의 길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정된 균형과 효과적인 edge change를 하기 위해서는 기초 페럴렐에서 비중을 두었던 수직 운동(Vertical movement)보다 좌,우 기울기인 측면 운동(lateral movement)에 비교적 많은 비중을 두어야 한다.
7) 중급 숏턴 (ADVANCED SHORT RADIUS) - 중급 숏턴(Advanced short radius)은 중급 페럴렐(Advanced parallel)의 축소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속도 조절을 하여야 하며, 슬로프(slope)상황에 따라 턴의 모양이 수시로 변화된다. 스키의 이러한 단계는 중급 페럴렐과 동일한 수준의 기술이며, 중급 페럴렐(Advanced parallel)을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이 되어야만 가능하다. 중급 숏턴(Advanced short radius)은 주로 압력 조절 (pressure control)을 위주로 활주하여야 하며, Down and up 의 움직임은 적게 하여야만 안정된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중급 숏턴(Advanced short radius)의 엣지(edge)를 적용하는 구간은 중급 페럴렐(Advanced parallel)과 동일하다.
8) 상급 페럴렐턴 (EXPERT PARALLEL TURNS) - 상급 페럴렐 턴(Expert parallel turns)과 같이 완성된 단계에서는 스키가 하체에 의해서만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상체와의 적절한 꼬임 형상이 생기게 되며, 엣지를 적용하는 시점은 중급 페럴렐 때 보다 일찍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엣지의 각을 바꾸게 될 때 꼬임 현상이 풀어지게 된다. 턴의 후반에서는 지구의 중력을 포함한 원심력에 의해서 스키로부터 상당히 큰 저항이 전해져 오며 이는 곧 엣지 그립의 붕괴 위험까지 도달하게 되며, 이러한 저항을 조정하고 에너지(energy)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압력 조절(Pressure control)이 가장 중요하게 적용된다. 턴의 마지막 부분에서 스키에 대한 과부하를 조정하기 위해 플랙션(flexion)을 이용하는 것은 경험을 통하여서만 얻을 수 있는 고난 도의 좋은 타이밍을 필요로 한다. 턴을 할 때 효과적인 신체의 포지션(position) 은 발목, 무릎, 힙(hip)관절에 동일하게 작용하는 앵귤레이션(angulation)을 포함하는 기울기(inclination)로 결정된다. 이러한 수준의 스키에 있어서 몸의 움직임이나 기술은 속도와 카빙스키에 의해 발생되는 힘은 조정하는데 깊이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중심점(COM)이 턴의 시작 부분에서 상, 하 움직임보다는 다음 턴으로 바로 넘어가는 동작(across)을 하는데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현대의 스키 장비는 skidding이 없는 정확한 카빙턴을 구사해야 하는 상급 페럴렐 턴(Expert parallel turns)을 하는데 있어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키의 지나간 자리의 좁은 면적 내에서 최적의 활동은 사이드컷(side cut)이 뚜렷한 스키나 기술적 성취도를 증대시키는 보조 바인딩 플레이트(under vinding plate)와 같은 특별한 장치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스키 강사는 과거의 일반적인 스키 장비를 한계를 잘 알고 있어야 하고 대중에게 알려야 한다.
9) 상급 숏턴 (EXPERT SHORT RADIUS TURNS) - 상급 숏턴은 상급 페럴렐 턴의 축소형이라 할 수 있다. 엣지를 사용하는 시점, 스키를 통해 전해져 오는 압력은 상급페럴렐 과 동일하다. 단, 턴의 크기만 작을 뿐이다. 그러므로 상급 페럴렐 기술을 완전히 소화해 낼 수 있어야만 상급 숏턴(Expert short radius turns)기술을 구사할 수 있다. 상급 숏턴(Expert short radius turns)에서 그림에서 보는 바 와 같이 엣지를 사용하는 구간(edging phase)은 턴의 정점(apex)근처에서 모두 끝나게 되며, 이를 통해 최대한의 속도를 얻을 수 있다. 턴의 남은 절반은 엣지를 풀어 주면서 스키의 마찰력을 풀어 주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서 스키의 가속력을 얻어내며 활주 할 수 있다. 상금 숏턴(Expert short radius turns)의 증가된 템포는 양다리로부터의 역동적인 활동을 요구하며 대부분의 엣지 조절은 발목과 무릎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급 숏 턴(Expert short radius turns)을 신체의 동작으로 구분하여 보면 턴의 시작에서 정점까지 엣지를 사용하면서 무릎을 펴 주기 시작하면서 턴의 정점에 이르며 남은 턴은 엣지를 풀어 주면서 가속을 얻게 되므로 신체적으로 안정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스키에 전해져오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 즉 압력 조절(Pressure control)이 필요하다. 상급 페럴렐과 마찬가지로 안정된 스탠드와 서로 독립적이면서 동시에 일어나는 다리의 움직임이 필수 요건이다. 폴의 사용(Pole plants)은 턴의 리듬과 주위 환경이 요구하는 것에 맞추어 타이밍과 안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