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IT산업 정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배경

2. 형성 및 추진과정

3. 정책방향

4. 수출산업으로서의 소프트웨어산업

5. 의의

본문내용

했으나, 1990년대 들면서 역외서비스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꾸준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역외서비스의 비중은 여전히 30%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소수 대규모업체들의 경우 주력을 대부분 역외서비스로 전환했지만,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신생 소규모 업체의 경우 여전히 현지서비스에 주력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현재 전 세계 소프트웨어시장에서는 6개 OECD국가(미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가 71%를 점하고 있다. 중요한 점은 인도 소프트웨어수출액의 80% 가량이 이들 국가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이다. 이는 인도가 이미 세계소프트웨어시장 내에서 중요한 수요처를 확보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 소프트웨어수출은 미국 등 북미지역에 편중되어있는 것이 사실이다. 1999~2000년 기간동안 인도는 전세계 95개국에 소프트웨어를 수출했지만, 미국과 캐나다가 수출액의 62%를 차지한다. 특히 인도에게 미국은 최대의 소프트웨어 수출시장이며, 이 지위는 향후 상당기간 동안 달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인도로서도 지나친 지역편중을 극복하고 수출시장을 다변화하기 위해 유럽과 아시아에 대한 수출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그 결과 유럽과 일본의 비중이 매년 약간씩 증가하고 있다.
NASSCOM의 조사에 따르면, 약 1,250개가 넘는 업체가 소프트웨어 수출에 종사하고 있다. 1999~2000년 이 가운데 37개 업체가 10억 루피 이상을 수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같은 기간 60개 이상의 업체가 5억 루피 이상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이들 업체의 수출액이 전체의 약 55%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소프트웨어수출에서 이들의 비중은 절대적이다. 대다수 업체가 매출의 거의 대부분을 수출에서 거두기 때문에 이들은 수출에서뿐만 아니라 매출액 측면에서도 인도 소프트웨어 업계를 대표하는 기업들이다.
5. 의의
전반적으로 인도정부의 정책방향은 소프트웨어산업이 직면한 장애물을 제거하면서도, 동시에 과거와 같은 직접적인 시장개입정책에서 서서히 R&D, 교육, e-governance 등 시장인프라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그 임무를 옮기고 있다 이는 한편으로 인도 소프트웨어산업이 어느 정도의 자생력을 가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동시에, 정부가 보다 광범위한 분야에서 새로운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목 차
1. 배경
2. 형성 및 추진과정
3. 정책방향
4. 수출산업으로서의 소프트웨어산업
5. 의의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5.23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9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