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모형을 모델로 하여 발전을 주장하였고 서구주의자들은 이와는 반대로 서구를 모델로 발전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러시아인들의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이 농민공동체였다고 주장하여 이를 폐지해야한다고 하였지만 슬라브주의자들은 이것이 있기에 개개인의 자유가 보장된다고 생각 하였다. 이를 종합적으로 본다면 러시아의 본질을 초점으로 시작한 것이 슬라브주의라면 계몽주의, 이성, 개인의 자유를 기반 삼아 시작된 것이 서구주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 결론
슬라브주의와 서구주의의 논쟁이 발생하게 된 것은 1836년 차아다예프로부터 시작 되었다. 차아다예프의 중심 논제는 러시아의 진로와 발전에 관한 것이었다. 그의 역사 철학의 출발점은 뾰뜨르 대제 이전 원래의 러시아로 돌아갈 것인가 아니면 뾰뜨르 대제의 근대화와 개혁의 길을 따라 가느냐는 것이었다. 차아다예프는 러시아야말로 동양에도 서양에도 속하지 않으며 동양과 서양을 잇는 연결고리조차 없는 현재의 러시아를 ‘바퀴떨어진 스키타이인의 꽃마차’와 같다고 표현하였다. 그는 러시아와 서구사이에는 근본적인 문화적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고, 그 차이에서 러시아의 우수성 대신 낙후성을 발견하는 한편 "타민족의 역사는 해방의 역사이나 러시아의 역사는 농노제와 전제체제의 발전사였다"고 말하였다.
이처럼 차아다예프가 조국의 암울한 현실을 고발한 것과 관련하여 시작된 논쟁의 씨앗은 현재까지도 풀지 못하고 있는 숙제로 남아 있다.
비록 슬라브주의와 서구주의 모두 러시아의 발전 방향에 대한 같은 목적으로 출발했으나 진행되는 발전과정이 서로 다른 개념을 추구 했던 것에서 비롯된 이 논쟁은 서구주의는 유럽의 서구적인 방식을 따르는 것이고, 슬라브주의는 러시아의 서구처럼 세련되지는 않았지만 건강한 민족주의를 따르겠다는 주장인 것이다.
현재의 러시아가 유라시아라는 개념의 러시아로 발전할 것인가. 유럽의 러시아로 발전할 것인가. 동양의 러시아로 발전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그들 스스로가 결정해야할 문제인 것이다.
러시아는 이처럼 지식으로도 이해 할 수 없고 한 개념으로도 설명하고 구분하기 힘들다.
즉 러시아가 지닌 이중적인 민족성에 대해서는 내가 믿고 따르기 나름인 것 같다.
현재 이 시간에도 슬라브주의와 서구주의에 대해 끊임없는 고찰과 구분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그 어떤 러시아인에게 물어본들 한 번에 어떤 주의를 옹호한다는 대답은 아무래도 평생 못 듣들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Ⅲ . 결론
슬라브주의와 서구주의의 논쟁이 발생하게 된 것은 1836년 차아다예프로부터 시작 되었다. 차아다예프의 중심 논제는 러시아의 진로와 발전에 관한 것이었다. 그의 역사 철학의 출발점은 뾰뜨르 대제 이전 원래의 러시아로 돌아갈 것인가 아니면 뾰뜨르 대제의 근대화와 개혁의 길을 따라 가느냐는 것이었다. 차아다예프는 러시아야말로 동양에도 서양에도 속하지 않으며 동양과 서양을 잇는 연결고리조차 없는 현재의 러시아를 ‘바퀴떨어진 스키타이인의 꽃마차’와 같다고 표현하였다. 그는 러시아와 서구사이에는 근본적인 문화적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고, 그 차이에서 러시아의 우수성 대신 낙후성을 발견하는 한편 "타민족의 역사는 해방의 역사이나 러시아의 역사는 농노제와 전제체제의 발전사였다"고 말하였다.
이처럼 차아다예프가 조국의 암울한 현실을 고발한 것과 관련하여 시작된 논쟁의 씨앗은 현재까지도 풀지 못하고 있는 숙제로 남아 있다.
비록 슬라브주의와 서구주의 모두 러시아의 발전 방향에 대한 같은 목적으로 출발했으나 진행되는 발전과정이 서로 다른 개념을 추구 했던 것에서 비롯된 이 논쟁은 서구주의는 유럽의 서구적인 방식을 따르는 것이고, 슬라브주의는 러시아의 서구처럼 세련되지는 않았지만 건강한 민족주의를 따르겠다는 주장인 것이다.
현재의 러시아가 유라시아라는 개념의 러시아로 발전할 것인가. 유럽의 러시아로 발전할 것인가. 동양의 러시아로 발전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그들 스스로가 결정해야할 문제인 것이다.
러시아는 이처럼 지식으로도 이해 할 수 없고 한 개념으로도 설명하고 구분하기 힘들다.
즉 러시아가 지닌 이중적인 민족성에 대해서는 내가 믿고 따르기 나름인 것 같다.
현재 이 시간에도 슬라브주의와 서구주의에 대해 끊임없는 고찰과 구분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그 어떤 러시아인에게 물어본들 한 번에 어떤 주의를 옹호한다는 대답은 아무래도 평생 못 듣들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