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뢰벨(Friedrich W. A. Frobel, 1782~1852)>>>
가. 생애
나. 사상적 배경
다. 교육사상
<<<몬테소리>>>
가. 생애
나. 사상적 배경
다. 교육사상
가. 생애
나. 사상적 배경
다. 교육사상
<<<몬테소리>>>
가. 생애
나. 사상적 배경
다. 교육사상
본문내용
의 행동이 틀리면 즉시 알게 되어 있다.
몬테소리 교육방법은 집단지도가 없으며, 개별지도도 아주 적고 단순하며 객관적이다. 교사는 될 수 있으면 설명을 적게 하고 실제 시범을 하여 모형을 보여 주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교사가 가능한 한 말을 적게 하는 이유는 유아가 교사의 행위보다 언어에 집중하게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교사가 유아에게 이야기할 때는 낮은 목소리로 속삭이듯 명확한 단어를 사용하고 완전한 문장으로 말한다. 모든 훈련에서 유아가 사물의 특성간의 차이점을 인식했을 때 교사는 그 특성의 개념을 단어로서 정착시켜 주어야 한다.
몬테소리의 3단계 교수법
1단계: 명칭과 그 대상물을 일치시킨다. 즉, "이것은 ○○이다."
2단계: 명칭에 해당되는 대상물을 지적하고 인지하게 하는 것이다. 즉 " ○○을 줄 수 있겠니?","○○을 보여주겠니" 등으로 한다.
3단계: 대상물의 명칭을 기억시키고 발음시켜 보는 단계이다. 즉 "이것은 무엇이니?" 로 물어보는 것이다.
교수시 기본규칙
1) 유아가 교구를 교구로써 사용할 때는 어떤 교구든지 선택할 자유가 있다. 유아는 교구를 파괴하거나 자신과 타인에게 해를 끼치거나 방해되는 식으로 교구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2) 유아가 작업이나 교구 사용을 끝마친 후에는 그것을 정리한다.
3) 유아가 다른 유아의 사용물을 만지거나, 활동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4) 유아가 다른 작업에 열중하여 그룹에 참여하기를 원치 않을 경우에는 그룹활동을 하도록 강요해서는 안 된다.
5) 유아가 자기 혼자하겠다고 결정하여 선택한 교구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다른 유아와 같이 하라고 강요해서는 안 된다.
6) 유아가 아무것도 하지 않겠다고 결정을 하는 경우 그 유아가 다른 유아들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 이상 그 자유를 허락해야 한다. 그 유아는 다른 유아를 관찰함으로써 배우고 있는지도 모르고, 또 그냥 생각하고 싶은 것인지도 모르며, 혹은 단순히 휴식하고 싶은 것인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7) 유아가 배우려고 할 경우에는 반드시 보호해 준다. 유아가 작업을 하거나 교구를 사용하고 싶어할 때는 다른 방해를 받지 않고 할 수 있도록 배려해 주어야 한다. 8) 교사는 유아에게 상과 벌을 주지 않는다. 유아가 스스로를 선택하여 작업을 끝마쳤을 때 교사는 외면상의 상은 주지 않으나 눈짓이나 몸짓 등으로 칭찬해 주며 유아 자신도 만족과 성취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상이다. 만약 유아가 다른 친구에게 방해가 될 때는 일단 격리시켜 생각해 보게 할 수 있다.
정비된 환경
1) 유아의 교실은 밝고 매력적이며 단순하게 만든다. 표면이 쉽게 닦여지는 것을 사용한다. 방에서 물건들을 한 번에 선택할 수 있도록 단순하게, 또한 교구를 제자리에 정리할 수 있도록 질서정연하게 해 준다.
2) 유아에게 알맞은 크기의 가구를 주어 사용하도록 한다. 낮은 책상과 거울을 주고, 쉽게 열 수 있는 서랍장, 쉽게 뒤집어지지 않는 튼튼한 가구, 옮길 수 있는 가벼운 의자, 낮은 옷걸이를 해 주어 옷을 걸 수 있게 해 준다.
3) 귀중하거나 망가질까 걱정이 되는 물건들은 치운다. 유아는 모든 것을 만져봄으로써 배우기 때문에 교실에는 그들이 만져서 안 되는 것이 있어서는 안 된다.
4) 유아에게 자기의 소지품을 놓을 수 있게 해 준다. 각 자리에 자신의 물건을 기억할 수 있도록 색 테이프 조각이나 예쁜 모양을 오려서 붙여 놓아둔다.
5) 유아에게 알맞은 크기의 청소 도구를 준비해 준다. 작은 스폰지, 먼지 닦는 헝겊, 빗자루, 쓰레받기, 먼지털개 등과 방을 깨끗이 하기 위해 광내는 약을 준비한다.
6) 유아에게 혼자 일할 수 있는 공간과 크레용, 종이, 색연필, 싸인펜, 풀, 가위 등을 넣을 수 있는 장을 준비해 준다. 아동은 자유로이 옮겨다니며 자신이 하고 싶은 활동과 작업, 장소를 선택하며 작업이 끝난 후에는 작업 도구를 제자리에 갖다 놓는다. 아울러 그의 작품을 걸 수 있는 게시판이 있어야 한다.
다.
7) 유아교실에는 친근감을 주는 동물이나 식물을 기르며, 주변은 항상 밝고 명랑한 색깔로 환경과 분위기를 마련한다. 유아의 미적 감각을 충족시키기 위해 아름다운 물건들을 배치해 놓는다.
8) 질서와 계획을 갖고 있는 교구를 준비해 준다. 유아에게 신축성이 있는 고무줄목이 달린 양말이나 큰 단추와 넓은 목으로 되어, 끌어 당겨 입을 수 있는 셔츠를 놓아 두어 유아로 하여금 혼자 입고 벗을 수 있도록 한다.
교사관
교사의 역할
유아의 교육으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아 자신의 내적인 힘을 활용하여 활동에 대한 의욕을 원조하는 것과 유아자신이 자연적인 발달의 법칙에 따라서 성장하게끔 도와주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와 어린이가 서로 구속하거나 지배되지 않고 자유롭게 행동하여야 한다고 한다. 어린이들은 언제나 자유로우며, 교사는 다만 안내자요 보호자일 뿐이다. 필요할 때에는 교사가 도와 주나, 그렇지 않으면 저희들끼리 놓아두어서 자기들 스스로가 자신의 결함을 발견하고 고치도록 하여, 점차로 교사로부터 독립하도록 하여야 한다. 교육의 본질이란 어린이의 자발적인 자기 발견의 과정이며, '자동교육(auto education)' 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교사나 어른의 교육적인 역할은 어린이의 자기발전을 조성하는 것이며, 어린이들을 위한 이성적인 환경의 정비 교구나 유구의 준비, 어린이의 관찰과 그 특성의 이해 등이다.
교사의 자질
1) 유아의 인격을 존중하며 깊은 이해심을 갖고 사랑한다.
2) 준비된 환경을 조성한다.
3) 계획을 세운다.
4) 교구를 준비하고 그 사용법을 제시한다.
5) 유아와 의사가 서로 통한다.
6) 유아가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나 항상 관찰하여 성의 있게 도와 준다.
7) 인간의 성장 발달을 연구한다.
8) 정서적으로 안정되어야 한다.
9) 용모가 단정해야 한다.
10) 유아의 행동을 조절해 준다.
몬테소리 교육에 대한 비판
1) 교육활동이 고정적, 통제적이며 아동의 창의력이 결핍된다는 점
2) 유아의 역할놀이, 극놀이의 중요성이 강조되지 못 한 점
3)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및 활동의 기회가 결핍되어 있음
몬테소리 교육방법은 집단지도가 없으며, 개별지도도 아주 적고 단순하며 객관적이다. 교사는 될 수 있으면 설명을 적게 하고 실제 시범을 하여 모형을 보여 주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교사가 가능한 한 말을 적게 하는 이유는 유아가 교사의 행위보다 언어에 집중하게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교사가 유아에게 이야기할 때는 낮은 목소리로 속삭이듯 명확한 단어를 사용하고 완전한 문장으로 말한다. 모든 훈련에서 유아가 사물의 특성간의 차이점을 인식했을 때 교사는 그 특성의 개념을 단어로서 정착시켜 주어야 한다.
몬테소리의 3단계 교수법
1단계: 명칭과 그 대상물을 일치시킨다. 즉, "이것은 ○○이다."
2단계: 명칭에 해당되는 대상물을 지적하고 인지하게 하는 것이다. 즉 " ○○을 줄 수 있겠니?","○○을 보여주겠니" 등으로 한다.
3단계: 대상물의 명칭을 기억시키고 발음시켜 보는 단계이다. 즉 "이것은 무엇이니?" 로 물어보는 것이다.
교수시 기본규칙
1) 유아가 교구를 교구로써 사용할 때는 어떤 교구든지 선택할 자유가 있다. 유아는 교구를 파괴하거나 자신과 타인에게 해를 끼치거나 방해되는 식으로 교구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2) 유아가 작업이나 교구 사용을 끝마친 후에는 그것을 정리한다.
3) 유아가 다른 유아의 사용물을 만지거나, 활동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4) 유아가 다른 작업에 열중하여 그룹에 참여하기를 원치 않을 경우에는 그룹활동을 하도록 강요해서는 안 된다.
5) 유아가 자기 혼자하겠다고 결정하여 선택한 교구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다른 유아와 같이 하라고 강요해서는 안 된다.
6) 유아가 아무것도 하지 않겠다고 결정을 하는 경우 그 유아가 다른 유아들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 이상 그 자유를 허락해야 한다. 그 유아는 다른 유아를 관찰함으로써 배우고 있는지도 모르고, 또 그냥 생각하고 싶은 것인지도 모르며, 혹은 단순히 휴식하고 싶은 것인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7) 유아가 배우려고 할 경우에는 반드시 보호해 준다. 유아가 작업을 하거나 교구를 사용하고 싶어할 때는 다른 방해를 받지 않고 할 수 있도록 배려해 주어야 한다. 8) 교사는 유아에게 상과 벌을 주지 않는다. 유아가 스스로를 선택하여 작업을 끝마쳤을 때 교사는 외면상의 상은 주지 않으나 눈짓이나 몸짓 등으로 칭찬해 주며 유아 자신도 만족과 성취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상이다. 만약 유아가 다른 친구에게 방해가 될 때는 일단 격리시켜 생각해 보게 할 수 있다.
정비된 환경
1) 유아의 교실은 밝고 매력적이며 단순하게 만든다. 표면이 쉽게 닦여지는 것을 사용한다. 방에서 물건들을 한 번에 선택할 수 있도록 단순하게, 또한 교구를 제자리에 정리할 수 있도록 질서정연하게 해 준다.
2) 유아에게 알맞은 크기의 가구를 주어 사용하도록 한다. 낮은 책상과 거울을 주고, 쉽게 열 수 있는 서랍장, 쉽게 뒤집어지지 않는 튼튼한 가구, 옮길 수 있는 가벼운 의자, 낮은 옷걸이를 해 주어 옷을 걸 수 있게 해 준다.
3) 귀중하거나 망가질까 걱정이 되는 물건들은 치운다. 유아는 모든 것을 만져봄으로써 배우기 때문에 교실에는 그들이 만져서 안 되는 것이 있어서는 안 된다.
4) 유아에게 자기의 소지품을 놓을 수 있게 해 준다. 각 자리에 자신의 물건을 기억할 수 있도록 색 테이프 조각이나 예쁜 모양을 오려서 붙여 놓아둔다.
5) 유아에게 알맞은 크기의 청소 도구를 준비해 준다. 작은 스폰지, 먼지 닦는 헝겊, 빗자루, 쓰레받기, 먼지털개 등과 방을 깨끗이 하기 위해 광내는 약을 준비한다.
6) 유아에게 혼자 일할 수 있는 공간과 크레용, 종이, 색연필, 싸인펜, 풀, 가위 등을 넣을 수 있는 장을 준비해 준다. 아동은 자유로이 옮겨다니며 자신이 하고 싶은 활동과 작업, 장소를 선택하며 작업이 끝난 후에는 작업 도구를 제자리에 갖다 놓는다. 아울러 그의 작품을 걸 수 있는 게시판이 있어야 한다.
다.
7) 유아교실에는 친근감을 주는 동물이나 식물을 기르며, 주변은 항상 밝고 명랑한 색깔로 환경과 분위기를 마련한다. 유아의 미적 감각을 충족시키기 위해 아름다운 물건들을 배치해 놓는다.
8) 질서와 계획을 갖고 있는 교구를 준비해 준다. 유아에게 신축성이 있는 고무줄목이 달린 양말이나 큰 단추와 넓은 목으로 되어, 끌어 당겨 입을 수 있는 셔츠를 놓아 두어 유아로 하여금 혼자 입고 벗을 수 있도록 한다.
교사관
교사의 역할
유아의 교육으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아 자신의 내적인 힘을 활용하여 활동에 대한 의욕을 원조하는 것과 유아자신이 자연적인 발달의 법칙에 따라서 성장하게끔 도와주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와 어린이가 서로 구속하거나 지배되지 않고 자유롭게 행동하여야 한다고 한다. 어린이들은 언제나 자유로우며, 교사는 다만 안내자요 보호자일 뿐이다. 필요할 때에는 교사가 도와 주나, 그렇지 않으면 저희들끼리 놓아두어서 자기들 스스로가 자신의 결함을 발견하고 고치도록 하여, 점차로 교사로부터 독립하도록 하여야 한다. 교육의 본질이란 어린이의 자발적인 자기 발견의 과정이며, '자동교육(auto education)' 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교사나 어른의 교육적인 역할은 어린이의 자기발전을 조성하는 것이며, 어린이들을 위한 이성적인 환경의 정비 교구나 유구의 준비, 어린이의 관찰과 그 특성의 이해 등이다.
교사의 자질
1) 유아의 인격을 존중하며 깊은 이해심을 갖고 사랑한다.
2) 준비된 환경을 조성한다.
3) 계획을 세운다.
4) 교구를 준비하고 그 사용법을 제시한다.
5) 유아와 의사가 서로 통한다.
6) 유아가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나 항상 관찰하여 성의 있게 도와 준다.
7) 인간의 성장 발달을 연구한다.
8) 정서적으로 안정되어야 한다.
9) 용모가 단정해야 한다.
10) 유아의 행동을 조절해 준다.
몬테소리 교육에 대한 비판
1) 교육활동이 고정적, 통제적이며 아동의 창의력이 결핍된다는 점
2) 유아의 역할놀이, 극놀이의 중요성이 강조되지 못 한 점
3)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및 활동의 기회가 결핍되어 있음
추천자료
유아교육과정이 구성요소 철학적, 심리적, 사회적 기초
유아 및 유치원 교육과정
[유아교육개론] 유아교육의 모든 것
외국의 영유아 프로그램평가 PPT발표자료
[종교][종교의 본질][종교의 배타성][종교의 문화][종교의 현황][세속적 종교][민족주의]종교...
[종교][종교교육][종교 본질][종교교육 실제][도덕교육][종교교육 문제점][종교교육 제고 방...
보육현장에서 영유아에게 이루어지고 있는 보육프로그램을 조사하고, 어떤 보육프로그램이 영...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
철학적기초
자신의 보육관을 사상가들의 교육사상과 방법을 참고하여 자신의 보육관을 기술
영유아 프로그램의 특성
현대 아동중심 보육에 영향을 미친 학자와 사상을 근거로 우리나라 보육 현장에서 더욱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