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러므로 『춘향전』의 주인공 춘향 또한 허구적 인물이다. 그러나 『춘향전』은 억눌려 있던 애정에 대한 문제를 과감하게 표현하여 민중들의 갈증을 해소해 주고, 하나의 극을 보듯이 글을 읽는 내내 즐거움을 주는 드문 소설이었을 것으로 평가된다. 새로움을 누리는 것은 신기하다가도 곧 익숙해지지만 변화를 주도하는 것은 힘든 결단력을 필요로 한다. 『춘향전』이 그 시대 소설의 변화를 주도한 도전적 작품이었으며 동시에 서민들이 꿈꾸는 바를 소설 속에서 나마 춘향을 정렬부인으로 설정함으로 해서 간접적으로 이루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변화의 첫머리에 위치한 것은 후에는 빛이 바래서 촌스러워 지지만 ‘처음’이 갖는 의미는 영원히 퇴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있어 『춘향전』은 영원하며 연구될 가치가 충분하다.
추천자료
이해조의 <자유종>
사씨남정기를 통해 본 김만중의 의식 이해
조웅전(작품분석, 특징, 성격)
판소리계 소설(특징, 성격, 문체, 수사법, 서사원리)
홍계월전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한계와 여성영웅소설의 문학사적 위치
판 소 리
판소리계 소설의 배경과 특징
외국어를 사용한 한국어 언어유희
아산 이기영의 생애 및 문학세계
[판소리][판소리의 장단][판소리의 기보법][판소리의 웃음][가면극]판소리의 의미, 판소리의 ...
춘향가
[소설][소설 정의][소설 구조][소설 구성][소설 시점][소설 인물][소설 학습요소][소설 읽기]...
[1950년대, 1950년대 여성국극, 1950년대 문학, 1950년대 시문학, 시의식, 소설, 모더니즘]1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