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DMB란?
2. DMB의 기원
3. DMB의 장점
4. DMB의 종류
5. 지상파 DMB와 위성DMB의 비교
6. 지상파 DMB와 위성DMB의 전송방식
7. 지상파 DMB의 우리나라 경제와 IT산업에 기여하는 효과
2. DMB의 기원
3. DMB의 장점
4. DMB의 종류
5. 지상파 DMB와 위성DMB의 비교
6. 지상파 DMB와 위성DMB의 전송방식
7. 지상파 DMB의 우리나라 경제와 IT산업에 기여하는 효과
본문내용
DMB란?
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는 음성·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 고정 또는 휴대용· 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서비스로, '손 안의 TV'라 불린다. 디지털 라디오용 기술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바탕을 두고있으며, 여기에 멀티미디어 방송 개념이 추가되어 동영상과 날씨·뉴스·위치 등 데이터 정보를 추가로 보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동 중에도 개인휴대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CD·DVD급의 고음질·고화질 방송을 즐길 수 있어 차세대 방송으로 주목 받고 있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는 지난 80년대 후반 유럽에서 시작된 디지털라디오방송 즉,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1920년대부터 시작된 라디오 방송의 가장 발전된 개념이 DAB라고 볼 수 있다. 80년대 초반에 시작된 디지털 기술이 라디오의 디지털화를 초래하면서 등장한 것이다.개선된 음질을 기반으로 시작된 DAB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지면서 도약을 하게 되고 인공위성을 통한 전송 기술이 결합되면서 드디어 기존 라디오와는 비교하기 어려운 뉴미디어로 바뀌게 된 것이다. 라디오가 디지털라디오로 변하고 디지털라디오가 인공위성을 통해 전송되었으며, 디지털 라디오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 영상까지 전송할 수 있는 DMB라는 매체가 만들어 지게 되었다. 영국 BBC가 지난95년 9월 처음으로 지상DMB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일본도 지난 98년부터 실험방송을 하고 있다.
지상파 DMB
현재 비어 있는 VHF12번 채널을 이용해 이동수신용 멀티미디어 방송을 하는 개념이다. 1개 채널을 쪼개면 3개의 블럭이 생기는데 1개 블럭당 비디오 2채널 혹은 비디오 1채널에 오디오 3∼4개 채널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주로 차량에서의 이용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무료 방송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방송, 문화방송, SBS를 비롯해 CBS, YTN, SKYlife에 오디오 채널을 공급하고 있는 디지털스카이넷 등 모두 8개 업체가 사업을 준비중이다.
위성 DMB
지상파 DMB와는 달리 위성체를 이용해 방송을 하며 수신률이 낮은 도심지역은 Gap-filler 라는 일종의 중계기를 활용해 수신을 하는 방식이다. 지난해말 SKTelcom이 30%의 지분을 투자해, 일본의 MBCO 등과 함께 합작법인 Tu-미디어콥을 설립했다. 비디오 11개, 오디오 25개, 데이터 3개 등 모두 39개의 채널을 운용할 계획을 갖고 있다. 휴대전화 단말기 중심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월 1만2000∼1만4000원 정도의 수신료를 받을 예정이다.
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는 음성·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 고정 또는 휴대용· 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서비스로, '손 안의 TV'라 불린다. 디지털 라디오용 기술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바탕을 두고있으며, 여기에 멀티미디어 방송 개념이 추가되어 동영상과 날씨·뉴스·위치 등 데이터 정보를 추가로 보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동 중에도 개인휴대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CD·DVD급의 고음질·고화질 방송을 즐길 수 있어 차세대 방송으로 주목 받고 있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는 지난 80년대 후반 유럽에서 시작된 디지털라디오방송 즉,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1920년대부터 시작된 라디오 방송의 가장 발전된 개념이 DAB라고 볼 수 있다. 80년대 초반에 시작된 디지털 기술이 라디오의 디지털화를 초래하면서 등장한 것이다.개선된 음질을 기반으로 시작된 DAB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지면서 도약을 하게 되고 인공위성을 통한 전송 기술이 결합되면서 드디어 기존 라디오와는 비교하기 어려운 뉴미디어로 바뀌게 된 것이다. 라디오가 디지털라디오로 변하고 디지털라디오가 인공위성을 통해 전송되었으며, 디지털 라디오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 영상까지 전송할 수 있는 DMB라는 매체가 만들어 지게 되었다. 영국 BBC가 지난95년 9월 처음으로 지상DMB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일본도 지난 98년부터 실험방송을 하고 있다.
지상파 DMB
현재 비어 있는 VHF12번 채널을 이용해 이동수신용 멀티미디어 방송을 하는 개념이다. 1개 채널을 쪼개면 3개의 블럭이 생기는데 1개 블럭당 비디오 2채널 혹은 비디오 1채널에 오디오 3∼4개 채널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주로 차량에서의 이용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무료 방송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방송, 문화방송, SBS를 비롯해 CBS, YTN, SKYlife에 오디오 채널을 공급하고 있는 디지털스카이넷 등 모두 8개 업체가 사업을 준비중이다.
위성 DMB
지상파 DMB와는 달리 위성체를 이용해 방송을 하며 수신률이 낮은 도심지역은 Gap-filler 라는 일종의 중계기를 활용해 수신을 하는 방식이다. 지난해말 SKTelcom이 30%의 지분을 투자해, 일본의 MBCO 등과 함께 합작법인 Tu-미디어콥을 설립했다. 비디오 11개, 오디오 25개, 데이터 3개 등 모두 39개의 채널을 운용할 계획을 갖고 있다. 휴대전화 단말기 중심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월 1만2000∼1만4000원 정도의 수신료를 받을 예정이다.
추천자료
지상파 방송 산업의 문제와 대안
[마케팅] Sky life(한국디지털위성방송)의 마케팅 전략
지상파 방송의 경쟁력 저하사례와 대처방안
RFID_USN, Wibro, DMB, Zigbee 소개
[위성방송][위성방송시대][위성방송환경][지상방송][유선방송][방송]위성방송시대 도래에 따...
[수도권정책][수도권]수도의 정의와 수도권의 국제화 개발, 수도권의 광역교통계획, 수도권의...
[지상파재송신]지상파재송신의 개념, 지상파재송신의 효과와 지상파재송신의 실태, 지상파재...
지상파방송 운용시간과 방송환경의 변화, 지상파방송 운용시간의 규제 배경, 지상파방송 운용...
지상파재송신의 목표와 지상파재송신의 진행경과, 지상파재송신의 현실 및 지상파재송신의 문...
지상파방송운용시간의 규제 근거, 지상파방송운용시간의 연장 요구, 지상파방송운용시간의 규...
지상파 텔레비전의 편성전략
[방송소유구조, 방송사]방송소유구조와 방송사, 지상파방송, 방송소유구조와 지역방송, 공익...
지상파방송 구조적, 재정적 위기 및 대응방안
[통신과 매체]위성 TV,디지털 TV,문자 메시지(SMS),그림 메시지(MMS,지상파 TV,브랜드마케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