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제1권
(2)제2권
3. 결론 - 독후감
2. 본론
(1)제1권
(2)제2권
3. 결론 - 독후감
본문내용
고. 그가 이렇게 말한 것은 시간 낭비라고 생각해서 그런게 아닌가 싶다. 그리고, 이 책에 의하면 개념의 보편적 정의를 내리고자 하는 노력은 플라톤의 모든 대화 편에 나타난다고 한다. 즉 제 1권에서는 정의를 뚜렷하게 밝히지 않았다.
2권은 Glaucon이 질문하고 소크라테스가 대답해 주는 방식으로 쓰여져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2권에서부터 플라톤 자신의 사상이 등장하는 모습이 보인다. 여기서 소크라테스는 비판적이 아닌 부드러운 자세로 대화에 응하고 있는데, 개념의 내용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고, 마치 자기는 답을 알고 있는 듯이 대화에 임하고 있다. 그리고, Glaucon이 제시한 3가지 선의 종류 중에, 정의가 어디에 속하느냐고 하니까 소크라테스는 2번 째 정의인 '건강과 같이 그 자체를 위해서도 좋고 결과를 위해서도 좋은 것들이 속한다고 했다.
결국은 1,2 권만 읽는다는 것이 책 전체를 읽게 되었다. 어렵게 느껴지고 많은 분량이 부담스러웠지만 마지막 장을 넘길 때의 성취감이 너무 좋았다.
현재 플라톤의 <국가>는 오늘날의 우리에게도 여전히 실효성 있는 많은 질문들을 던져주고 있다. 절대적인 정의란 있는 것인가? 아니면 상대적으로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인가? 한 국가의 행복을 위해 노력하는 국가적인 공동체,(현대에서는 정권이라고 봐도 무방할 듯 하다.)는 어떤 도덕적 목표의 실현을 위한 것인가? 아니면 단지 국가 구성원들의 욕구와 이익 실현을 위한 도구에 불과한가? 다수결 원칙을 기본으로 삼는 민주주의는 과연 최선의 정치 체제인가? 등의 생각해 볼 만한 질문들을 던져주고 있다.
2권은 Glaucon이 질문하고 소크라테스가 대답해 주는 방식으로 쓰여져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2권에서부터 플라톤 자신의 사상이 등장하는 모습이 보인다. 여기서 소크라테스는 비판적이 아닌 부드러운 자세로 대화에 응하고 있는데, 개념의 내용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고, 마치 자기는 답을 알고 있는 듯이 대화에 임하고 있다. 그리고, Glaucon이 제시한 3가지 선의 종류 중에, 정의가 어디에 속하느냐고 하니까 소크라테스는 2번 째 정의인 '건강과 같이 그 자체를 위해서도 좋고 결과를 위해서도 좋은 것들이 속한다고 했다.
결국은 1,2 권만 읽는다는 것이 책 전체를 읽게 되었다. 어렵게 느껴지고 많은 분량이 부담스러웠지만 마지막 장을 넘길 때의 성취감이 너무 좋았다.
현재 플라톤의 <국가>는 오늘날의 우리에게도 여전히 실효성 있는 많은 질문들을 던져주고 있다. 절대적인 정의란 있는 것인가? 아니면 상대적으로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인가? 한 국가의 행복을 위해 노력하는 국가적인 공동체,(현대에서는 정권이라고 봐도 무방할 듯 하다.)는 어떤 도덕적 목표의 실현을 위한 것인가? 아니면 단지 국가 구성원들의 욕구와 이익 실현을 위한 도구에 불과한가? 다수결 원칙을 기본으로 삼는 민주주의는 과연 최선의 정치 체제인가? 등의 생각해 볼 만한 질문들을 던져주고 있다.
추천자료
플라톤의 [국가], 베르크손의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 감상
플라톤 <국가> 요약
플라톤의 이데아론과 교육철학-현대적함의
폴리테이아의 교육철학: 플라톤
서양철학이 현대에 미친 영향 -플라톤-
[사회학] 사회형성 이론의 연원- 극단적인 자유주의와 플라톤 정의의 맹점
칼포퍼의 플라톤 비판
플라톤 국가 요약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그리스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소피스트, 그리스 교육철학자(교육...
그리스(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소피스트, 그리스(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
유아교육철학자(교육사상) 플라톤과 키케로, 유아교육철학자(교육사상) 에라스무스와 루터, ...
플라톤의 정치교육) 인간 본성과 정치교육 및 본성에 따른 정치교육 방법
플라톤 정치교육의 사회과학적 함의) 본성과 교육의 동일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