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처치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급처치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딱지를 부드럽게 하면 쉽게 뗄 수 있다.
“절단”
※해야 할 일
1. 직접 압박으로 지혈을 하고 사지를 높게 올린다.
-마른 드레싱이나 큼직한 몇 겹의 천을 댄다.
-처치자는 스스로 감염에 보호되도록 한다.
-지혈대가 필요한 경우는 거의 없으면 만약 사용한다면 조직, 혈관, 신경이 파괴되기 때문에 재 접합에 사용될 수 없게 된다.
2. 쇼크에 대비한다.
3. 절단 부위를 찾아 되도록 부상자와 함께 가지고 가야 한다. 그러나 부상자가 많고 주변이 어두워서 절단 부위를 찾을 수 없고 부상자가 많거나 일반인이 부상자를 이송하는 경우에는 누군가에게 부탁을 해서 부상자가 떠난 다음 절단 부위를 찾아 병원으로 가지고 오도록 한다.
4. 절단 부위를 처치할 경우
-가능하면 깨끗한 물로 씻어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문지르지 않는다. 절단된 신체 부위는 씻을 필요가 없다.
-절단 부위를 살균한 마른 거즈나 기타 깨끗한 천으로 싼다.
-그리고 비닐봉지나 방수 용기(컵이나 유리잔)에 담는다.
-절단 부위를 담은 비닐봉지나 용기는 얼음위에 놓는다.
5. 즉시 의사에게 보인다.
절단 부위를 차게 보관하지 못하고 6시간이 경과되면 살릴 가능성이 희박해진다. 제대로 차게 보관한 경우 최장 18시간까지 생존이 가능하다. 근육은 피가 안통하면 4~6시간 안에 기능을 상실한다.
※주의: 하지 말아야 할 일
-잘려나간 부분이 소생 여부나 너무 작아서 접합이 불가능할 거라는 등의 판단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판단은 의사에게 맡긴다.
-잘려나간 부분은 젖은 드레싱이나 천에 싸지 않는다. 젖은 물질에 싸 놓으면 조직이 물에 젖어 부드러워지므로 접합이 어려워진다.
-잘려나간 부분을 얼음 속에 묻지 않고 얼음 위에 놓는다. 동상이 생긴 피부는 접합을 할 수 없다.
-드라이아이스를 사용하지 않는다.
-피부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 즉 힘줄이나 몸에 간신히 붙어 있는 부분을 자르지 않는다. 그 부분을 제자리에 다시 맞춰 놓고 소독한 마른 드레싱이나 깨끗한 천으로 싸고 그 위에 얼음을 댄다.
◎드레싱
드레싱은 개방성 상처 위에 덮기 때문에 상처에 직접 닿게 된다, 따라서 드레싱은 가능하면 다음과 같은 종류로 사용한다.
-소독된 것, 소독 드레싱이 없다면 깨끗한 천을 사용한다(예를 들면 손수건, 세탁한 천, 수건)
-상처보다 큰 것
-두껍고 부드러우며 누를 수 있어서 상처 위로 고루 압력이 퍼지는 것
-흡착성이 있는 드레싱을 사용한다.
드레싱을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지혈
-감염과 오염 방지
-혈액과 상처 부위의 분비물 흡수
-상처가 악화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
※해야 할 일
1. 될 수 있는 한 처치자는 손을 씻는다.
2. 상처 부위를 모두 덮을 수 있을 만큼 큰 드레싱을 사용한다. 드래싱의 한쪽 끝을 잡고 직접 상처에 대며 미끄러지지 않도록 조심하여야 한다.
3. 드레싱 위에 붕대를 맨다.
※주의: 하지 말아야 할 일
-상처를 만지거나 상처에 닿는 부분의 드레싱은 손에 닿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상처나 드레싱 위에서 기침하거나 숨쉬거나 말하지 않는다.
※붕대 감는 방법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6.01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26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