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 3
Ⅱ. 안전관리의 개념 ------------------------- 3
Ⅲ. 식재료부문의 안전관리 -------------------- 4
Ⅳ. 안전수칙 ------------------------------- 7
Ⅴ. 결 론 ------------------------------- 10
Ⅵ. 참고문헌 ------------------------------- 10
Ⅱ. 안전관리의 개념 ------------------------- 3
Ⅲ. 식재료부문의 안전관리 -------------------- 4
Ⅳ. 안전수칙 ------------------------------- 7
Ⅴ. 결 론 ------------------------------- 10
Ⅵ. 참고문헌 ------------------------------- 10
본문내용
, 밸브는 확실하게 닫아 둔다.
⑤ GAS가 새어 냄새가 날 때는 즉시 부근의 화기를 꺼버림과 동시에 콕, 주 밸브, 용기 밸브를 모두 닫고 창이나 출입구를 열어 통풍을 시키며 비상관제실에 통보한다.
⑥ GAS 사용시 자리를 비우지 말고, 끓어 넘쳐 불이 꺼지는가를 감시하여야 한다.
⑦ GAS가 나오면서 호스, 배관 등에 화재가 났을 경우 먼저 가스 중간 밸브를 차단하고 소화기로 불을 소화한다.
* GAS가 나오는 상태에서 불을 끄면 폭발 화재 위험이 있음.
3. 화재 예방과 초기진압
1) 화재 예방
① 첫 출근자는 가스누설 여부(콕, 중간 밸브, 메인 밸브가 잠겨져 있고, 시건장치는 되어 있는가)를 확인한 후 출입문을 개방하고 소화기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정화한다.
② LPG와 LNG가스의 기본 성질을 알아둔다.
- LNG 가스는 공기보다 0.65배 가볍다.
- LPG 가스는 공기보다 1.2-1.3배 무겁다.
③ 가스 기기를 사용할 때는 자리를 이탈하지 않는다.
④ 가스 기기의 콕, 중간 밸브, 배관 등에 충격을 가하지 않는다.
⑤ 작업 종료시에는 콕→중간밸브→메인 밸브의 순으로 잠그고 마지막으로 메인 벨브에 시건장치를 한다.
⑥ 전기 또는 가스 오븐 주위에는 인화물질을 두지 않는다.
2) 화재진압 요령(화재 발생 초기)
① 침착하게 행동한다.
② 주위 근무자에게 통보한다.
③ 소화기구(방화사, 소화탄, 소화기)를 사용하여 초기에 소화한다.
④ 통보시설을 이용 비상관제실에 통보한다.
( 구내전화 : 74-119, 74-111, 74-573
기 타 : 비상전화, 발신기)
Ⅴ. 결 론
현대화된 각종 조리장비들은 조리 업무의 능률 향상에 많은 도움을 주고있지만 한편으로는 산업 재해의 발생요인이 되고 있다. 즉 이러한 산업재해를 막기 위해서는 각종 기기의 작동방법과 기능을 철저히 익히고 여기에 필요한 개인작업수칙을 철저히 이행하는 마음가짐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조리 업무와 화기(오븐, 가스렌지 등)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므로 화기로부터의 안전(화상, 화재) 역시 중요한 과제중의 하나이다. 가스와 전기는 조리에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가스 기기나 전기 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연료나 기기의 성질을 정확하게 알고 사용해야 하며, 화기를 다룰 때는 자리를 이탈하지 않고 지킨다든지 하는 철저한 주의가 필요한 것이다.
Ⅵ. 참고문헌
신호텔인사관리론, 김봉규, 1995, 백산출판사
호텔주방관리론, 김기영, 1997, 백산출판사
롯데호텔, 조리직무 교재, 1990,
< 목 차 >
Ⅰ. 서 론 -------------------------------- 3
Ⅱ. 안전관리의 개념 ------------------------- 3
Ⅲ. 식재료부문의 안전관리 -------------------- 4
Ⅳ. 안전수칙 ------------------------------- 7
Ⅴ. 결 론 ------------------------------- 10
Ⅵ. 참고문헌 ------------------------------- 10
⑤ GAS가 새어 냄새가 날 때는 즉시 부근의 화기를 꺼버림과 동시에 콕, 주 밸브, 용기 밸브를 모두 닫고 창이나 출입구를 열어 통풍을 시키며 비상관제실에 통보한다.
⑥ GAS 사용시 자리를 비우지 말고, 끓어 넘쳐 불이 꺼지는가를 감시하여야 한다.
⑦ GAS가 나오면서 호스, 배관 등에 화재가 났을 경우 먼저 가스 중간 밸브를 차단하고 소화기로 불을 소화한다.
* GAS가 나오는 상태에서 불을 끄면 폭발 화재 위험이 있음.
3. 화재 예방과 초기진압
1) 화재 예방
① 첫 출근자는 가스누설 여부(콕, 중간 밸브, 메인 밸브가 잠겨져 있고, 시건장치는 되어 있는가)를 확인한 후 출입문을 개방하고 소화기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정화한다.
② LPG와 LNG가스의 기본 성질을 알아둔다.
- LNG 가스는 공기보다 0.65배 가볍다.
- LPG 가스는 공기보다 1.2-1.3배 무겁다.
③ 가스 기기를 사용할 때는 자리를 이탈하지 않는다.
④ 가스 기기의 콕, 중간 밸브, 배관 등에 충격을 가하지 않는다.
⑤ 작업 종료시에는 콕→중간밸브→메인 밸브의 순으로 잠그고 마지막으로 메인 벨브에 시건장치를 한다.
⑥ 전기 또는 가스 오븐 주위에는 인화물질을 두지 않는다.
2) 화재진압 요령(화재 발생 초기)
① 침착하게 행동한다.
② 주위 근무자에게 통보한다.
③ 소화기구(방화사, 소화탄, 소화기)를 사용하여 초기에 소화한다.
④ 통보시설을 이용 비상관제실에 통보한다.
( 구내전화 : 74-119, 74-111, 74-573
기 타 : 비상전화, 발신기)
Ⅴ. 결 론
현대화된 각종 조리장비들은 조리 업무의 능률 향상에 많은 도움을 주고있지만 한편으로는 산업 재해의 발생요인이 되고 있다. 즉 이러한 산업재해를 막기 위해서는 각종 기기의 작동방법과 기능을 철저히 익히고 여기에 필요한 개인작업수칙을 철저히 이행하는 마음가짐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조리 업무와 화기(오븐, 가스렌지 등)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므로 화기로부터의 안전(화상, 화재) 역시 중요한 과제중의 하나이다. 가스와 전기는 조리에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가스 기기나 전기 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연료나 기기의 성질을 정확하게 알고 사용해야 하며, 화기를 다룰 때는 자리를 이탈하지 않고 지킨다든지 하는 철저한 주의가 필요한 것이다.
Ⅵ. 참고문헌
신호텔인사관리론, 김봉규, 1995, 백산출판사
호텔주방관리론, 김기영, 1997, 백산출판사
롯데호텔, 조리직무 교재, 1990,
< 목 차 >
Ⅰ. 서 론 -------------------------------- 3
Ⅱ. 안전관리의 개념 ------------------------- 3
Ⅲ. 식재료부문의 안전관리 -------------------- 4
Ⅳ. 안전수칙 ------------------------------- 7
Ⅴ. 결 론 ------------------------------- 10
Ⅵ. 참고문헌 ------------------------------- 10
추천자료
안전관리개요(교육용파워포인트)
안전관리 계획서(건축실무)
계절별 안전관리 및 안전대책 (해빙기, 하절기, 동절기)
보육시설의 안전한 환경구성 및 영유아의 안전관리지도와 사고예방
창신-아동안전관리-전조작기 사고의 특성
아동안전관리-피아제_인지발달_단계에서_따른_전조작기_사
안전 - 안전보건관리 계획서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실외 안전관리,안전한 환경
2015년 1학기 아동안전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3-5세 유아의 안전교육, 응급상황)
영유아 안전관리지도의 필요성, 실외놀이 환경에서의 놀이사고의 원인, 실외놀이 안전수칙, ...
(A+ 레포트,시험대비) [아동안전관리] 어린이집 안전영역 평가지표 1
(A+ 레포트,시험대비) [아동안전관리] 화재 안전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영유아 안전관리 정리 영유아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10가지 (아이들의 언어로)를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