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L(국제특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HL(국제특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DHL이란

2.DHL변화

3.DHL네트워크

4.DHL정보시스템

5.DHL물류처리

6.DHL성공노하우

본문내용

DHL 물류창고로 모은 후 이곳에서 국가별 행선지를 분류하여 각국으로 배송하는 식이다. 물류창고에서는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움직이므로 분류 작업이 1시간도 채 되지 않을 정도로 효율적이다. 이와 같이 DHL은 전 세계의 모든 네트워크를 허브&스포크 방식으로 배분하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한 배송’이 가능한 것이다.
▷ 서비스 네트워크는 단일 체제로 운영하되 일상 업무와 조직 구성은 현지 국가 및 지역 환경에 따라 독자적으로 관리, 집행. DHL은 얼마 전 독일의 국영 우편 및 화물 배송 서비스사인 도이치포스트와 합병하면서 도이치포스트 월드넷 그룹 계열사인 단자스·유로익스프레스와 함께 DHL이라는 통합 브랜드로 재탄생했다.
DHL은 앞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DHL 익스프레스·DHL 단자스 항공해운·DHL 솔루션 등 3개 사업 부문으로 나누고 DHL 익스프레스는 기존의 DHL이 맡고 있던 화물 특송 사업을, DHL 단자스 항공해운은 기존 단자스 인터컨티넨털이 담당했던 사업 부문을, DHL 솔루션은 물류창고와 유통 등을 맡아 명실공히 세계 최대의 종합 물류 회사로 탈바꿈하고 있다.
또한 DHL은 모든 일상 업무와 조직 관리를 지사에 일임하고 있다. 예를 들어 DHL코리아의 경우 직원의 인사 문제는 물론 마케팅 기획 등을 독자적으로 운용하는데, 지난 2002년 월드컵 기간 동안 독자적으로 ‘특별 운송 서비스팀’을 가동해 서울과 지방 9개 도시를 대상으로 ‘24시간 특별 운송 서비스’를 실시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 나날이 복잡, 다양해지는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서비스를 개선하며 서비스 지역 및 사업 영역 확장. DHL이 아무리 빠르고 정확한 서비스를 추구한다고 해도 고객들의 요구는 날로 복잡, 다양해지게 마련이다. DHL은 이러한 까다로운 고객의 요구에 맞춰 ‘정시배달 특급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다음날 오전 9시까지 배달하는 ‘익일 오전 9시 배달’(Startday Express)과 다음날 오전 12시까지 배달하는 ‘익일 오전 12시 배달’(Midday Express) 등 2가지 종류가 있으며(서비스 대상 국가 한정), 물건을 제시간 내에 배달하지 못할 경우 운송비 전액을 환불하는 배달 보장 서비스(Money-Back Guarantee Service)까지 실시하고 있다. 또한 얼마 전, 미국의 항공 특송사인 에어본(Airborne)의 육상 운송 부문을 인수해 그 동안 상대적으로 열세를 면치 못했던 미국 전역을 감당하고 있다.
(주)일양익스프레스가 지난 23년 간의 DHL 총대리점 역할을 접고 본격적으로 DHL과 공동 투자해 DHL코리아를 설립한 이유는 바로 그 동안 쌓아 왔던 한국내 DHL의 위상 때문이었다. DHL은 지난 1977년 국내 최초로 국제 특급 운송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매년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해 현재 한국 시장 50%를 독차지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일양익스프레스는 지난 2001년 1월, 자본금 90%와 DHL 본사에서의 투자 10%를 합쳐 사명을 DHL코리아(대표 배광우)로 변경했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6.01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27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