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병 환아의 간호과정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혈병 환아의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환자소개

2. 질병기술

3. 환자사정

4. 간호진단

5. 간호중재

6. 평가

본문내용

휠체어 타고 가는 게 좋을까 걸어가는 게 좋을까?
걸어가면 병원학교 선생님께서 칭찬해 주실꺼야.” 라고 하면서 아이에게 걸어가도록 한다. 미리 병원학교 선생님이 나와서 걸어오는 것을 확인하게 하고 칭찬하도록 부탁한다.
-평행감각을 키워주는 데에는 한발로 서있기가 효과적이다. Peggy A. hougum, 치료적운동의 원리와 실제, 대한미디어 2003
-5세 미취학아이들에게 놀이를 통해 흥미를 유발시키면 참여율이 높다. 대한간호학회아동간호학회외, 아동간호학, 대한간호협회출판부 2002
-평소에 하는 일과 접목시키면 행동변화가 쉽다. 대한간호학회아동간호학회외, 아동간호학, 대한간호협회출판부 2002
-깽깽이라는 단어를 좋아하면서 따라했으며 다른 친구들과도 함께 하였다. 전에 환아는 일직선을 비틀거리면서 걸어갔으나 3일 후 비틀거리지 않고 잘 걸어다녔다.
-전에는 보호자에게 안기거나 휠체어를 타고 학교에 갔으나 격려 이후 학교에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걸어갔으며
보조기구 없이 걸어다녔다.
3. 장비나 시설로 인해 환아의 신체가 다치지 않는다.
-병원내의 시설물의 위험요소로부터 보호한다.
-환자의 거동을 주시한다.
-환아 주변의 높은 침대를 낮추거나 침대를 낮추는 것이 불가능 할 시에는 환자의 발이 닫는 받침대를 만들어 침상에서 내려갈 때 위험요소를 제거한다. 주변 모서리 부분에 캡을 씌우거나 스펀지나 패드로 침대의 딱딱한 부위를 감쌌다.
-환아가 거동할 때 항상 적어도 한사람 이상이 옆에 있도록 한다. 거동 시 주변의 장애물을 치워주고 위험한 길로는 다니지 않는다. 사고 시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보조자의 손에 물건을 들지 않는다.
-병원의 시설물의 위험요소를 제거함으로서 신체손상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김금순, 기본간호학실습, 서울대학출판부. 2002
-환아를 살펴보는 것은 신체손상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김금순 외, 통합적 기본간호학, 한우리. 2003
-모서리 부분을 캡핑하고 침대난간을 낮춰주므로 환아가 안전하게 있을 수 있었다.또한 환아가 다치지 않았다.
-환아가 일어서려고 하거나 움직일 때 보호자나 간호사가 항상 지켜보았다. 환아는 위험상황에서 안전하였으며 다치지 않았다.
간호진단 4. 구강함수 불이행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1. 감염위험성(Risk for infection)의 정의
인체에 병원체가 침범할 위험이 있는 상태
2. 근거
1) 객관적 근거
- 음식을 잘못 씹어 구내염이 생겼다.
- 외부인이 마스크를 끼지 않고 손도 닦지 않고 환아를 만난다.
-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해 면역 수치가 떨어지고 있다.
- 병실 내에서 소독이 안 된 물건을 만진다.
Order
실제 시행 모습
Nystatin gargle
1. 가능한 오래 입안에 머금고 있다가 삼킨다.
2. 기상 후, 매 식후 두 시간 뒤, 잠자기 전.
오랜 시간 입안에 머금지 못하고 10초가 채 안되어 삼킨다.
Betadine gargle
매 식후 및 음식물 섭취 후 바로.
음식물 섭취 후 1시간 정도 지난 후에 가글을 실시한다.
- 구강함수를 정확한 시간이나 정확한 방법으로 시행하지 못한다.
2) 주관적 근거
Nystatin gargle과 Betadine gargle 시행 할 때 동통을 더욱더 심하게 호소하여 어떻게든 이 상황을 지연시키려는 행동을 보인다.
“○○야~ 밥 먹었으니까 가글 해야지.”
“아이, 배가 아파.”
“그래두 가글을 해야 해!"
(울먹이고 소리를 지르면서) “아이야, 나 배 아프다. 배 아프다.
기대효과
중재계획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1.보호자와 함께 구강함수를 정확한 시간과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다.
구강함수
-환아에게 구강함수가 왜 필요한지 설명하고, 구강 함수 시 잘 하도록 옆에서 격려한다. 잘 했을 때 는 스티커를 판에 붙여줌으로써 계속하여 잘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가글할때 입안의 한쪽으로 소독 액을 오랜 시간 머금고 있다가 삼키는지 확인한다.
-엄마가 (애기 앞에서 웃으면서) 가글액을 마시고 입안에서 “오물오물” 소리 내며 아기에게 따라 해보라는 시늉을 한다.
-Nystatin gargle액은 fungus로 인한 infection을 예방하는 데에 사용한다. 그리고 Betadine gargle액은 bacteria , virus로 인한 infection을 예방해 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것의 이행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균에 노출되기 쉽다. 김금순 외, 통합적 기본간호학, 한우리. 2003
-환아에게 “왜 가글(구강함수)할까?”하였을 때 “세균이 내 몸에 못 들어오게 해요”라고 대답하며 구강함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환아가 스티커에 대해 흥미를 가져 처음에는 적절한 시간으로 잘 이행하였으나 시간이 갈수록 구강함수를 잘 이행하지 않았다.
-엄마가 하는 걸 따라 하는 것을 좋아해서 엄마와 함께 구강함수를 하였다.
2. 환아의 구강점막에 있는 손상이 없다.
구강 내 조직의 통합성 유지
-식욕을 자극하기 위하여 식사 전후 매4시간마다 구강 위생을 실시하는지 확인하고, 음식물 섭취 후 바로 소독액으로 가글 하는지 확인한다.
-구강점막에 상처가 생기게 되면 그 부위는 유해한 세균의 통로가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일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윤복 외, 간호진단, 현문사, 2000
-환아의 입안 점막에 있던 상처가 회복되어 약간의 자국만이 남아있다.
3. 환아의 보호자가 감염 위험성 요인과 감염 예방 방법을 설명 할 수 있다.
보호자의 간호 능력 증진
-구강함수에 대한 보호자의 지식을 사정 한다. 화학요법으로 인하여 일어날 수 있는 구강 점막에 변화에 대하여 말하고 구강 위생요법을 제안한다. 하루에 적어도 3번, 식사 후 구강함수 시행시켜야 한다는 것이 인식 시킨다,
-항암치료에 의한 구강 점막의 손상과 감염의 방지를 위해 소독 액으로 구강함수를 시행해야 한다. 식사 후 꼭 시행 하는 것이 중요한다. 잘 시행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갈수록 균이 노출되고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이은옥 외,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1992.
Nystatin gargle과 Betadine gargle이 하루에 4번 이상 시행하고 있었다.
3. 간호중재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6.06.05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28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