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식기계 (reproductive system)
2. 남성의 성호르몬 (sex hormone)
(1)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1) 테스토스테론의 분비
2) 테스토스테론의 효과
(2) LH와 FSH에 의한 테스토스테론의 분비와 정자 생성 조절
1) 정소 기능의 feedback 조절
2) 정자 생성에서 테스토스테론과 FSH의 역할
3) 남성에서 에스트로겐 생성
(3) 사춘기의 GnRH 활성 증가
3. 여성의 성호르몬 (sex hormone)
(1) 에스트로겐(estrogen)과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1)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분비
2)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효과
(2) 여성의 난소주기와 호르몬과의 관계
1) 난소주기는 호르몬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
2) 난소주기와 호르몬의 관계
3) 난소호르몬이 자궁에 미치는 영향
4) 난소호르몬에 의한 자궁경부 점액의 주기적인 변화
(3) 여성에서의 사춘기 변화
(4) 여성의 폐경
2. 남성의 성호르몬 (sex hormone)
(1)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1) 테스토스테론의 분비
2) 테스토스테론의 효과
(2) LH와 FSH에 의한 테스토스테론의 분비와 정자 생성 조절
1) 정소 기능의 feedback 조절
2) 정자 생성에서 테스토스테론과 FSH의 역할
3) 남성에서 에스트로겐 생성
(3) 사춘기의 GnRH 활성 증가
3. 여성의 성호르몬 (sex hormone)
(1) 에스트로겐(estrogen)과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1)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분비
2)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효과
(2) 여성의 난소주기와 호르몬과의 관계
1) 난소주기는 호르몬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
2) 난소주기와 호르몬의 관계
3) 난소호르몬이 자궁에 미치는 영향
4) 난소호르몬에 의한 자궁경부 점액의 주기적인 변화
(3) 여성에서의 사춘기 변화
(4) 여성의 폐경
본문내용
때 현저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자궁경부관을 통과하는 정자의 운동성을 돕는다. 배란 후 황체로부터 분비되는 프로게스테론은 점액 성질을 끈끈하게 만들어 자궁경부 부분을 막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세균의 침입을 막는 중요한 방어기전의 하나이다. 한편 정자는 끈끈한 점막을 통과하지 못한다.
(3) 여성에서의 사춘기 변화
젊은 여성과 나이든 여성에서 규칙적인 월경주기가 없는데 이유는 다르다. 여성 생식기계는 사춘기 전까지 활성화되지 않는다. 태아의 정소와 달리 난소는 기능이 필요 없는데, 여성 생식기계는 테스토스테론이 없으면 여성 호르몬의 존재 유무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여성화되기 때문이다. 여성 생식기계는 사춘기 전까지 조용히 지내다가 시상하부에서 GnRH 활성이 증가하면 활동을 시작한다. 남성에서와 같이 사춘기 발현기전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나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GnRH는 뇌하수체 전엽을 자극하고 다시 차례로 난소의 활동을 자극한다. 활성화된 난소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은 여성 생식관의 발달과 성숙을 유도하며 여성의 이차적 성징을 유도한다. 에스트로겐의 주된 작용은 가슴이나 엉덩이, 대퇴 부위에 지방을 축적시켜 굴곡진 몸매를 갖게 만든다. 사춘기 시절에 가슴의 발달은 지방의 축적에 의해 일어난다. 사춘기 시절에 에스트로겐의 증가는 골단판을 닫아 성장을 멈추게 한다. 이러한 작용은 남성에서 테스토스테론의 작용과 유사하다. 사춘기 시절 여성의 겨드랑이와 음부의 털 성장, 성장 촉진, 성욕 발달 같은 3대 변화는 에스트로겐에 의한 것이 아니라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남성 호르몬에 의한 것이다.
(4) 여성의 폐경
여성에서 월경주기는 45~55세에서 멈춘다. 이는 태어날 때 가지고 있던 난소 여포가 고갈되어 에스트로겐이 거의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식능력 상실은 태어나기 전부터 이미 프로그램화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난소의 노화보다는 시상하부의 변화가 폐경을 발현시킨다는 주장도 있다.
Reference
Lauralee Sherwood, 2005, 생리한 제5판, 라이프사이언스, P.679-705
하재청 외 4인, 2001, 성의과학, 아카데미 서적, P. 243-252
강성구 외 7인, 2002, 인체생물학, 아카데미 서적, P. 173-187
http://blog.naver.com/gusdud1119?Redirect=Log&logNo=23125743
(3) 여성에서의 사춘기 변화
젊은 여성과 나이든 여성에서 규칙적인 월경주기가 없는데 이유는 다르다. 여성 생식기계는 사춘기 전까지 활성화되지 않는다. 태아의 정소와 달리 난소는 기능이 필요 없는데, 여성 생식기계는 테스토스테론이 없으면 여성 호르몬의 존재 유무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여성화되기 때문이다. 여성 생식기계는 사춘기 전까지 조용히 지내다가 시상하부에서 GnRH 활성이 증가하면 활동을 시작한다. 남성에서와 같이 사춘기 발현기전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나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GnRH는 뇌하수체 전엽을 자극하고 다시 차례로 난소의 활동을 자극한다. 활성화된 난소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은 여성 생식관의 발달과 성숙을 유도하며 여성의 이차적 성징을 유도한다. 에스트로겐의 주된 작용은 가슴이나 엉덩이, 대퇴 부위에 지방을 축적시켜 굴곡진 몸매를 갖게 만든다. 사춘기 시절에 가슴의 발달은 지방의 축적에 의해 일어난다. 사춘기 시절에 에스트로겐의 증가는 골단판을 닫아 성장을 멈추게 한다. 이러한 작용은 남성에서 테스토스테론의 작용과 유사하다. 사춘기 시절 여성의 겨드랑이와 음부의 털 성장, 성장 촉진, 성욕 발달 같은 3대 변화는 에스트로겐에 의한 것이 아니라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남성 호르몬에 의한 것이다.
(4) 여성의 폐경
여성에서 월경주기는 45~55세에서 멈춘다. 이는 태어날 때 가지고 있던 난소 여포가 고갈되어 에스트로겐이 거의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식능력 상실은 태어나기 전부터 이미 프로그램화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난소의 노화보다는 시상하부의 변화가 폐경을 발현시킨다는 주장도 있다.
Reference
Lauralee Sherwood, 2005, 생리한 제5판, 라이프사이언스, P.679-705
하재청 외 4인, 2001, 성의과학, 아카데미 서적, P. 243-252
강성구 외 7인, 2002, 인체생물학, 아카데미 서적, P. 173-187
http://blog.naver.com/gusdud1119?Redirect=Log&logNo=2312574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