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북유럽 르네상스에 대한 개요
- 북유럽의 정의
- 북유럽 르네상스의 의미
- 북유럽 르네상스의 시작
- 북유럽 르네상스의 배경 및 성격
II. 본론
II-i) 북유럽 르네상스의 특성
- 지리적 특성
- 정치, 사회, 경제적 특성
- 예술 문화적 특성
=> 미술가와 후원자
=> 패널화와 판화 수요의 증대 -개인주의와 자의식
=> 길드의 세력
II-ii) 북유럽 르네상스 미술의 특징
-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작품과 비교 분석
II-iii) 북유럽 르네상스의 건축
- 북유럽 르네상스 건축의 특징
- 프랑스, 스페인, 독일, 네덜란드, 영국 등의 건축실례
II-iv) 북유럽 르네상스의 조각
- 독일의 피셔, 지젤 슈라이버, 로이 헤링
III. 결론
이탈리아 르네상스와 북유럽 르네상스의 차이점과 영향
I-i) 북유럽 르네상스에 대한 개요
- 북유럽의 정의
- 북유럽 르네상스의 의미
- 북유럽 르네상스의 시작
- 북유럽 르네상스의 배경 및 성격
II. 본론
II-i) 북유럽 르네상스의 특성
- 지리적 특성
- 정치, 사회, 경제적 특성
- 예술 문화적 특성
=> 미술가와 후원자
=> 패널화와 판화 수요의 증대 -개인주의와 자의식
=> 길드의 세력
II-ii) 북유럽 르네상스 미술의 특징
-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작품과 비교 분석
II-iii) 북유럽 르네상스의 건축
- 북유럽 르네상스 건축의 특징
- 프랑스, 스페인, 독일, 네덜란드, 영국 등의 건축실례
II-iv) 북유럽 르네상스의 조각
- 독일의 피셔, 지젤 슈라이버, 로이 헤링
III. 결론
이탈리아 르네상스와 북유럽 르네상스의 차이점과 영향
본문내용
0년경) 성 세례요한 ,건장한 필립과 미친 후안나의 묘 ,카필라 레알, 그라나다 성당-오르도네스는 부르고스에서 태어나서 그 도시 유파와 동일시 된다. 그의 경력은 유럽에 알려지게 된다.
* 바르톨로메 오르도네스와 디에고 도 실로에(스페인 1495-1563년 주 제단, 1523-26년 두 구에스클린 예배당, 부르고스성당-부르고스 제단의 건축적인 요소는 수태고지 군상처럼 비가르니의 작품인 듯 하다. 이제단은 비가르니가 르네상스 양식 에 동화되었음을 보여준 것이고 장식적인 요소와 인물의 모델링에서도 이탈리아의 영향이 크다.
* 실라망카 대학교 정면-스페인 16세기초 -금세공 작품과 유사성 때문에 그렇게 부 른 플라데라크 양식은 중세구조물을 뎡고 르네상스 양식의 영감을 가진 화려한 장식 을 보여주고 있다. 몇몇 부조는 롬바르디아의 베네치아의 영향을 암시한다, 다른 부 조는 루아르의 프랑스 유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네덜란드
이 시기의 (15세기)의 리얼리즘 감각의 유형이 중요하다.
■ 14세기말 15세기 초 네델란드의 조각가 클라우스 슬루터는 구약의 여섯 예언자들 을 일년의 기념비적인 조각을 제작 하였다.이 조각상은 우물의 한 가운데에 놓였다. 여섯 예언자는 단순한 6각형 기단을 등지고 서 있고 그들의 머리 위에서 울고 있는 천사 조각들과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어 있다.
*모세의 우물(클라우스 슬루터)1395-1406년 채색과 금칠을 한 조각 인물의 높이는 1.8미터.
- 북유럽 조각은 회화와 마찬가지로 크기가 작고 묘사가 정교하며 과장 되어 있다. 이탈리아와는 다른 양상을 띄는 그들의 문화는 미켈란젤로 의거장의 영향을 받았거나 네덜란드처럼 작은 조각의 유행을 주도하기도 한다. 시대의 변화는 양식의 변화를 가져오듯이 자유롭고 역동적이며. 중간계층의 확산으로 점차 조각은 개인적인 부의 축척과 소품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길드의 성장으로 하나의 상품화 되고 독일의 르네상스는 이탈리아의 영향으로 기념비적이며 건축과 조화로운 내부 장식으로 조각의 위상이 높아진다.
III. 결론
III-i) 이탈리아 르네상스와 북유럽 르네상스의 차이점
이탈리아 르네상스
북유럽 르네상스
1
특징
이성적 아름다움
정교한 사실주의
2
스타일
단순한 형태, 일정한 비례
실제와 똑같은 모습, 형태, 정직한 묘사법
3
주제
종교적, 신화적 장면
종교적, 가정적 장면
4
매체
프레스코화, 템페라, 유화
나무판 위의 유화, 패널화
5
강조점
해부학적 구도
시각적 외양
6
방법
이론적 근거
관찰
7
구도
정직, 균형적
복잡하고 불규칙
III-ii) 북유럽 르네상스의 영향
- 북유럽 르네상스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를 수용하는 반면 북유럽의 특유의 성격 과 다양한 문화를 재건하여 북유럽에 있어서 과학 분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 독일, 프랑스, 영국 각각의 특색 있는 건축적 양식과 조각품은 오늘날까지 많은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토대로 북유럽 르네상스 전통에 대한 주의 깊은 연구는 우리의 세월의 간극 속에서 얻은 것과 잃은 것을 간파할 수 있게 해 준다.
* 바르톨로메 오르도네스와 디에고 도 실로에(스페인 1495-1563년 주 제단, 1523-26년 두 구에스클린 예배당, 부르고스성당-부르고스 제단의 건축적인 요소는 수태고지 군상처럼 비가르니의 작품인 듯 하다. 이제단은 비가르니가 르네상스 양식 에 동화되었음을 보여준 것이고 장식적인 요소와 인물의 모델링에서도 이탈리아의 영향이 크다.
* 실라망카 대학교 정면-스페인 16세기초 -금세공 작품과 유사성 때문에 그렇게 부 른 플라데라크 양식은 중세구조물을 뎡고 르네상스 양식의 영감을 가진 화려한 장식 을 보여주고 있다. 몇몇 부조는 롬바르디아의 베네치아의 영향을 암시한다, 다른 부 조는 루아르의 프랑스 유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네덜란드
이 시기의 (15세기)의 리얼리즘 감각의 유형이 중요하다.
■ 14세기말 15세기 초 네델란드의 조각가 클라우스 슬루터는 구약의 여섯 예언자들 을 일년의 기념비적인 조각을 제작 하였다.이 조각상은 우물의 한 가운데에 놓였다. 여섯 예언자는 단순한 6각형 기단을 등지고 서 있고 그들의 머리 위에서 울고 있는 천사 조각들과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어 있다.
*모세의 우물(클라우스 슬루터)1395-1406년 채색과 금칠을 한 조각 인물의 높이는 1.8미터.
- 북유럽 조각은 회화와 마찬가지로 크기가 작고 묘사가 정교하며 과장 되어 있다. 이탈리아와는 다른 양상을 띄는 그들의 문화는 미켈란젤로 의거장의 영향을 받았거나 네덜란드처럼 작은 조각의 유행을 주도하기도 한다. 시대의 변화는 양식의 변화를 가져오듯이 자유롭고 역동적이며. 중간계층의 확산으로 점차 조각은 개인적인 부의 축척과 소품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길드의 성장으로 하나의 상품화 되고 독일의 르네상스는 이탈리아의 영향으로 기념비적이며 건축과 조화로운 내부 장식으로 조각의 위상이 높아진다.
III. 결론
III-i) 이탈리아 르네상스와 북유럽 르네상스의 차이점
이탈리아 르네상스
북유럽 르네상스
1
특징
이성적 아름다움
정교한 사실주의
2
스타일
단순한 형태, 일정한 비례
실제와 똑같은 모습, 형태, 정직한 묘사법
3
주제
종교적, 신화적 장면
종교적, 가정적 장면
4
매체
프레스코화, 템페라, 유화
나무판 위의 유화, 패널화
5
강조점
해부학적 구도
시각적 외양
6
방법
이론적 근거
관찰
7
구도
정직, 균형적
복잡하고 불규칙
III-ii) 북유럽 르네상스의 영향
- 북유럽 르네상스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를 수용하는 반면 북유럽의 특유의 성격 과 다양한 문화를 재건하여 북유럽에 있어서 과학 분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 독일, 프랑스, 영국 각각의 특색 있는 건축적 양식과 조각품은 오늘날까지 많은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토대로 북유럽 르네상스 전통에 대한 주의 깊은 연구는 우리의 세월의 간극 속에서 얻은 것과 잃은 것을 간파할 수 있게 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