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Ⅰ. 서 론
Ⅱ. 교육훈련 이론
1. 교육훈련의 의의
2. 교육훈련의 정의
3. 훈련의 목적 및 필요
4. 훈련 업무의 편성
5. 훈련의 담당기관
6. 훈련관의 확보
7. 훈련방법
Ⅲ. 현 공무원 교육훈련 세부내용
1. 한국의 공무원 교육내용
2. 미국의 공무원 교육내용
3. 한국과 미국의 교육훈련제도 비교
Ⅳ. 공무원 교육훈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문제점
1)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부족
2) 교육훈련의 제도적 측면
3) 교육훈련 운영적 측면
4) 피교육자의 교육훈련 동기결여
5) 사후평가의 문제점
6) 기타 교육훈련 문제점
2. 개선방안
1)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부족
2) 교육훈련의 제도적 측면
3) 교육훈련 운영적 측면
4) 피교육자의 교육훈련 동기결여
5) 사후평가의 문제점
6) 기타 교육훈련 문제점
Ⅴ. 결 론
※ 참고 자료
Ⅱ. 교육훈련 이론
1. 교육훈련의 의의
2. 교육훈련의 정의
3. 훈련의 목적 및 필요
4. 훈련 업무의 편성
5. 훈련의 담당기관
6. 훈련관의 확보
7. 훈련방법
Ⅲ. 현 공무원 교육훈련 세부내용
1. 한국의 공무원 교육내용
2. 미국의 공무원 교육내용
3. 한국과 미국의 교육훈련제도 비교
Ⅳ. 공무원 교육훈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문제점
1)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부족
2) 교육훈련의 제도적 측면
3) 교육훈련 운영적 측면
4) 피교육자의 교육훈련 동기결여
5) 사후평가의 문제점
6) 기타 교육훈련 문제점
2. 개선방안
1)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부족
2) 교육훈련의 제도적 측면
3) 교육훈련 운영적 측면
4) 피교육자의 교육훈련 동기결여
5) 사후평가의 문제점
6) 기타 교육훈련 문제점
Ⅴ. 결 론
※ 참고 자료
본문내용
요구되며, 이러한 폐단을 극복하기 위하여는 상위자의 훈련이나 이해가 선행해야 함은 물론이고, 훈련의 목적내용을 피훈련자와 그 상관과 같이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상급자의 이해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Ⅴ. 결 론
지금까지 공무원 교육훈련 이론과, 실 교육현황, 외국의 사례와의 비교, 공무원 교육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개선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신규 임용자 및 재직자들에 대해 교육훈련을 제공하고 있으며, 점점 그 방법이나 개념정립에 대해서 발전해 가고 있다.
우선 교육훈련이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훈련을 통해 공무원들의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한 조사에 의하면 훈련을 받지 못한 48%의 공무원들과 비교 해 볼 때, 교육훈련의 이득을 받은 지방 공무원 중 60%가 그들의 직업을 “매우 좋아한다(like their job very much)"고 하였다. Nicholas Henry p. 260
이렇듯 교육훈련을 통해서 업무에 관한 능력을 높이고, 그것을 통해 이득을 보았을 때, 조금 더 그들의 일에 만족하게 되고, 일을 사랑하게 되어 의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는 것이다.
또,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공무원들에 대한 교육훈련이 더욱 더 중요성을 부여받아 철저한 계획 아래 행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맹자(孟子)는 다음과 같은 말로 교육이란 말을 직접 언급한 바가 있다.
“ 得 天 下 英 才 而 敎 育 之 ”
(“천하의 영재를 얻어 이를 교육한다”)
또한 흔히 쓰는 말로 敎育은 “百年大計” 라 한다. 그만큼 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고 할 수 있다. 한 집안의 살림은 그 살림살이를 누가 하느냐에 따라서 흥할 수도 있고, 망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의 살림은 전국의 90만 공무원들이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작은 땅덩어리에 비해 전 세계 10위라는 아주 놀라운 경제규모를 자랑하고 있으며, 선박반도체생명공학 등 여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강국이라 할 수 있다. ‘공무원은 철밥통’ 이라는 현재까지의 공무에 대한 무사안일함을 버리고, 앞으로 더욱 더 세계로 뻗어가는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 살림살이를 맡고 있는 공무원들의 능력 발전이 더욱 중요시 된다. 실 예로 생명공학에 대한 많은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그 분야는 세계를 이끌어 가고 있지만, 거기에 대한 법 제정과 인식, 및 행정은 따라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도 철저한 생명공학에 대한 공무원들의 이해 증진 및 교육으로 중요성을 깨닫고 전 세계적인 추세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일 년이 머다 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정말로 백 년을 바라다 볼 수 있는 계획으로서의 교육은 중요한 것이 아닐 수 없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행해진 교육에 대한 철저한 평가 및 반성으로 무의미한 공무원 교육 예산 및 시간의 낭비를 줄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계속 언급한 말은 바로 ‘효율성’이다. 기본적인 교육훈련의 목표는 바로 그것이 ‘효율적’이어야한다는 것이다. 교육 개혁 및 발전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으로 옛 제도의 불합리성을 고치려 노력해야 하며, E-Learning방법과 같이 변화하는 시대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교육 제도의 개발에도 신경을 써서 효율성에 중점을 두고 교육훈련을 행해야 할 것이다. 교육 예산은 물론 많으면 좋지만 어떻게 그 예산을 쓰느냐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정해진 예산 범위 안에서 그것을 잘 이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예산에 대한 낭비를 줄이고, 교육훈련으로 인한 업무의 마비상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교육도 중요하지만 최대한 업무에 방해가 가지 않는 방향으로, 최대한 업무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행해져야 하는 것이다.
※ 참고도서 및 인터넷 사이트
○ 교재
- 박동서, 「인사행정론」, 서울:법문사, 2005
○ 도서
- 김일재, 「미국 인사행정론」서울:집문당, 2003
- Nicholas Henry,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affairs」9th edition, 2004
○ 논문자료
- 박환기 “21世紀 公務員 敎育訓練制度 發展方案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2003
○ 법령 및 기타
- 공무원교육훈련법
- 공무원임용령
- 중앙공무원교육원훈령예규집
- 중앙공무원교육원학칙
- 중앙공무원교육원프로그램 현황(국회의원 요구자료)
○ 인터넷 사이트
- 행정자치부 홈페이지
- 중앙인사위원회 홈페이지
- 중앙공무원 교육원 홈페이지
- 지커뮤니케이션 (http://www.gcomin.co.kr/)
- 네이버 백과사전
○ 기사자료
- 국정브리핑 “공무원 교육과정 30% ‘혁신’ 할애” (2005-05-17 09:27)
- 서울신문 “공무원 교육이 변하면 나라가 바뀐다” (2005-07-22 10:21)
- 국민일보 “한국 공무원 교육은 年 32시간... 싱가폴의 3분의 1에 불과”
(2005-09-21 22:35)
- 매일신문 “교육 공무원 해외연수 문제점” (2005-01-14 14:09)
- 서울신문 “공무원 의무교육 年 100시간 이상으로” (2005-09-26 20:03)
*목 차
Ⅰ. 서 론
Ⅱ. 교육훈련 이론
1. 교육훈련의 의의
2. 교육훈련의 정의
3. 훈련의 목적 및 필요
4. 훈련 업무의 편성
5. 훈련의 담당기관
6. 훈련관의 확보
7. 훈련방법
Ⅲ. 현 공무원 교육훈련 세부내용
1. 한국의 공무원 교육내용
2. 미국의 공무원 교육내용
3. 한국과 미국의 교육훈련제도 비교
Ⅳ. 공무원 교육훈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문제점
1)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부족
2) 교육훈련의 제도적 측면
3) 교육훈련 운영적 측면
4) 피교육자의 교육훈련 동기결여
5) 사후평가의 문제점
6) 기타 교육훈련 문제점
2. 개선방안
1)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부족
2) 교육훈련의 제도적 측면
3) 교육훈련 운영적 측면
4) 피교육자의 교육훈련 동기결여
5) 사후평가의 문제점
6) 기타 교육훈련 문제점
Ⅴ. 결 론
※ 참고 자료
Ⅴ. 결 론
지금까지 공무원 교육훈련 이론과, 실 교육현황, 외국의 사례와의 비교, 공무원 교육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개선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신규 임용자 및 재직자들에 대해 교육훈련을 제공하고 있으며, 점점 그 방법이나 개념정립에 대해서 발전해 가고 있다.
우선 교육훈련이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훈련을 통해 공무원들의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한 조사에 의하면 훈련을 받지 못한 48%의 공무원들과 비교 해 볼 때, 교육훈련의 이득을 받은 지방 공무원 중 60%가 그들의 직업을 “매우 좋아한다(like their job very much)"고 하였다. Nicholas Henry p. 260
이렇듯 교육훈련을 통해서 업무에 관한 능력을 높이고, 그것을 통해 이득을 보았을 때, 조금 더 그들의 일에 만족하게 되고, 일을 사랑하게 되어 의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는 것이다.
또,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공무원들에 대한 교육훈련이 더욱 더 중요성을 부여받아 철저한 계획 아래 행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맹자(孟子)는 다음과 같은 말로 교육이란 말을 직접 언급한 바가 있다.
“ 得 天 下 英 才 而 敎 育 之 ”
(“천하의 영재를 얻어 이를 교육한다”)
또한 흔히 쓰는 말로 敎育은 “百年大計” 라 한다. 그만큼 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고 할 수 있다. 한 집안의 살림은 그 살림살이를 누가 하느냐에 따라서 흥할 수도 있고, 망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의 살림은 전국의 90만 공무원들이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작은 땅덩어리에 비해 전 세계 10위라는 아주 놀라운 경제규모를 자랑하고 있으며, 선박반도체생명공학 등 여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강국이라 할 수 있다. ‘공무원은 철밥통’ 이라는 현재까지의 공무에 대한 무사안일함을 버리고, 앞으로 더욱 더 세계로 뻗어가는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 살림살이를 맡고 있는 공무원들의 능력 발전이 더욱 중요시 된다. 실 예로 생명공학에 대한 많은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그 분야는 세계를 이끌어 가고 있지만, 거기에 대한 법 제정과 인식, 및 행정은 따라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도 철저한 생명공학에 대한 공무원들의 이해 증진 및 교육으로 중요성을 깨닫고 전 세계적인 추세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일 년이 머다 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정말로 백 년을 바라다 볼 수 있는 계획으로서의 교육은 중요한 것이 아닐 수 없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행해진 교육에 대한 철저한 평가 및 반성으로 무의미한 공무원 교육 예산 및 시간의 낭비를 줄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계속 언급한 말은 바로 ‘효율성’이다. 기본적인 교육훈련의 목표는 바로 그것이 ‘효율적’이어야한다는 것이다. 교육 개혁 및 발전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으로 옛 제도의 불합리성을 고치려 노력해야 하며, E-Learning방법과 같이 변화하는 시대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교육 제도의 개발에도 신경을 써서 효율성에 중점을 두고 교육훈련을 행해야 할 것이다. 교육 예산은 물론 많으면 좋지만 어떻게 그 예산을 쓰느냐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정해진 예산 범위 안에서 그것을 잘 이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예산에 대한 낭비를 줄이고, 교육훈련으로 인한 업무의 마비상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교육도 중요하지만 최대한 업무에 방해가 가지 않는 방향으로, 최대한 업무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행해져야 하는 것이다.
※ 참고도서 및 인터넷 사이트
○ 교재
- 박동서, 「인사행정론」, 서울:법문사, 2005
○ 도서
- 김일재, 「미국 인사행정론」서울:집문당, 2003
- Nicholas Henry,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affairs」9th edition, 2004
○ 논문자료
- 박환기 “21世紀 公務員 敎育訓練制度 發展方案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2003
○ 법령 및 기타
- 공무원교육훈련법
- 공무원임용령
- 중앙공무원교육원훈령예규집
- 중앙공무원교육원학칙
- 중앙공무원교육원프로그램 현황(국회의원 요구자료)
○ 인터넷 사이트
- 행정자치부 홈페이지
- 중앙인사위원회 홈페이지
- 중앙공무원 교육원 홈페이지
- 지커뮤니케이션 (http://www.gcomin.co.kr/)
- 네이버 백과사전
○ 기사자료
- 국정브리핑 “공무원 교육과정 30% ‘혁신’ 할애” (2005-05-17 09:27)
- 서울신문 “공무원 교육이 변하면 나라가 바뀐다” (2005-07-22 10:21)
- 국민일보 “한국 공무원 교육은 年 32시간... 싱가폴의 3분의 1에 불과”
(2005-09-21 22:35)
- 매일신문 “교육 공무원 해외연수 문제점” (2005-01-14 14:09)
- 서울신문 “공무원 의무교육 年 100시간 이상으로” (2005-09-26 20:03)
*목 차
Ⅰ. 서 론
Ⅱ. 교육훈련 이론
1. 교육훈련의 의의
2. 교육훈련의 정의
3. 훈련의 목적 및 필요
4. 훈련 업무의 편성
5. 훈련의 담당기관
6. 훈련관의 확보
7. 훈련방법
Ⅲ. 현 공무원 교육훈련 세부내용
1. 한국의 공무원 교육내용
2. 미국의 공무원 교육내용
3. 한국과 미국의 교육훈련제도 비교
Ⅳ. 공무원 교육훈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문제점
1)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부족
2) 교육훈련의 제도적 측면
3) 교육훈련 운영적 측면
4) 피교육자의 교육훈련 동기결여
5) 사후평가의 문제점
6) 기타 교육훈련 문제점
2. 개선방안
1)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부족
2) 교육훈련의 제도적 측면
3) 교육훈련 운영적 측면
4) 피교육자의 교육훈련 동기결여
5) 사후평가의 문제점
6) 기타 교육훈련 문제점
Ⅴ. 결 론
※ 참고 자료
키워드
추천자료
공무원교육훈련제도
공무원의 행정능력 발전 방안
경비지도사제도의 개선방안
직업교육훈련
기업의 교육훈련과 문제점
지방행정론 - 지방정부의 인사행정 레포트
공무원 교육제도
[교육훈련] 중소기업 교육훈련의 개선방안
장애인복지정책의 향후과제
기업교육훈련의 목적, 기업교육훈련의 현황, 기업교육훈련의 동기유발, 기업교육훈련의 경영...
공무원(공직자)의 개념, 공무원(공직자)의 전문성, 공무원(공직자)의 조직관리, 공무원(공직...
영국 경찰과 형사사법 제도
회사정리법, 내부고발자보호법의 국제비교, 기업지배구조, 기업거래시스템의 국제비교, 소비...
장애우생활시설 이용권(Voucher)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