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집에 나타난 기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Ger

Ⅱ. 초가집

Ⅲ. 전통 뒷간

Ⅳ. 온돌

Ⅴ.댓돌의 역할

Ⅵ. 굴 뚝

본문내용

심각하지만 옛날에는 그런 문제가 없었다는 것이다. 물론 나무를 재료로 하기 때문에 삼림문제가 있을 수도 있었지만 나무를 함부로 베게 하지 않았기 때문에 삼림황폐화의 문제는 없었다.
Ⅴ.댓돌의 역할
옛날 한옥을 보면 비가 갠 뒤 처마에서 떨어진 낙숫물이 패인 자리는 꼭 기단 주위의 댓돌 앞인 데서도 알 수 있듯이, 집안으로 빗물 따위가 튀지 않게 하는 것은 물론이려니와 벌레나 습기를 막는데에도 이 기단이 훌륭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흙으로 된 기단의 유실을 막고 오래도록 형태를 보존하는 데에는 댓돌이 중요한 몫을 차지하는 것이다.
Ⅵ. 굴 뚝
굴뚝의 크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처마를 넘지 않는다. 겨우 자신의 구실을 하는데 충실할 정도로 사치도 꾸밈도 없이 처마밑에 서 있 다. 그러나 있는 듯 없는 듯, 보일 듯 말 듯한 우리의 굴뚝 은 그저 연기만 뱉어 내도록 고안된 것은 아닌 듯 싶다.
대개의 굴뚝이 처마 밑에 있어 굴뚝에서 나온 연기는 집안을 한바퀴 감싸 돌아가게 되는데 이는 집 안팎을 소독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렇듯 우리 조상들의 지혜는 굴뚝하나에도 숨어 있다. 오늘날과 같이 화학약품을 써서 일부러 소독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키워드

구조,   기술,   옛집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6.08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9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