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 Smith의 『도덕 감정론』에 의하면 사회질서의 유지는 어떻게 가능한가?
2. J. Locke나 T. Hobbes 등 사회계약론자들은 사회질서가 어떻게 만들어진다고 보고 있는가? 그들이 생각하는 인간의 본성은 무엇인가?
3, J. Benthem이 주장하는 사회질서 및 사회정책 수립과 집행의 원리는 무엇인가? 공리주의는 사회계약론과 어떻게 다른가?
2. J. Locke나 T. Hobbes 등 사회계약론자들은 사회질서가 어떻게 만들어진다고 보고 있는가? 그들이 생각하는 인간의 본성은 무엇인가?
3, J. Benthem이 주장하는 사회질서 및 사회정책 수립과 집행의 원리는 무엇인가? 공리주의는 사회계약론과 어떻게 다른가?
본문내용
립과 집행의 원리는 무엇인가? 공리주의는 사회계약론과 어떻게 다른가?
공리성의 원리는 단순히 개인의 행복만이 아니라 고려되는 당사자 전체의 행복의 증진에 관련되어 있다.
“어떤 행위가 사회의 행복을 증대시키는 경향이 그것을 감소시키는 경향보다도 큰 경우에는 그 행위는 (사회전체에 대하여) 공리성의 원리에, 간단히 말하면, 공리성에 합당하다고 말할 수가 있다”
벤담이 사회의 행복을 극대화시키는 행위를 옳은 행위로 간주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즉 사람들의 최대 행복을 위한 인간 행위의 유일한 바람직한 목표로 하여 사회를 운영하게 된다는 것이다.
공리주의는 자연권이나 사회계약론을 거부한다.
공리주의는 국가를 신비로운 사회적 유기체로 보지 않으며, 그것을 자연권 수호의 인위적 단체로도 보지 않는다.
공리성의 원리는 단순히 개인의 행복만이 아니라 고려되는 당사자 전체의 행복의 증진에 관련되어 있다.
“어떤 행위가 사회의 행복을 증대시키는 경향이 그것을 감소시키는 경향보다도 큰 경우에는 그 행위는 (사회전체에 대하여) 공리성의 원리에, 간단히 말하면, 공리성에 합당하다고 말할 수가 있다”
벤담이 사회의 행복을 극대화시키는 행위를 옳은 행위로 간주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즉 사람들의 최대 행복을 위한 인간 행위의 유일한 바람직한 목표로 하여 사회를 운영하게 된다는 것이다.
공리주의는 자연권이나 사회계약론을 거부한다.
공리주의는 국가를 신비로운 사회적 유기체로 보지 않으며, 그것을 자연권 수호의 인위적 단체로도 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