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8장 운동과 호흡계
1.호흡기의 구조와 기능
1)기도와 폐포
2)흉강과 흉막강
2.호흡역학
1)흡기작용
2)호기작용
3.안정시 및 운동시 환기작용
1)분당환기량
2)운동성 과호흡의 조절기전
(1)운동전의 환기변화
(2)운동중의 환기변화
(3)회복기 중의 환기변화
3)환기량과 무산소성 역치
4)폐용적과 폐용량
5)기능적 환기용량
4.가스교환
1)가스교환과 분압
2)가스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
5.가스의 운반
1)산소의 운반
2)이산화탄소의 운반
(1)용해된 상태로의 CO₂운반
(2)중탕산이온 형태로 운반
(3)카바민화합물 형태로 운반
6.환기능력과 기타 고려사항
1)세컨드 윈드
2)수의적 과환기
3)흡연과 호흡기능
1.호흡기의 구조와 기능
1)기도와 폐포
2)흉강과 흉막강
2.호흡역학
1)흡기작용
2)호기작용
3.안정시 및 운동시 환기작용
1)분당환기량
2)운동성 과호흡의 조절기전
(1)운동전의 환기변화
(2)운동중의 환기변화
(3)회복기 중의 환기변화
3)환기량과 무산소성 역치
4)폐용적과 폐용량
5)기능적 환기용량
4.가스교환
1)가스교환과 분압
2)가스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
5.가스의 운반
1)산소의 운반
2)이산화탄소의 운반
(1)용해된 상태로의 CO₂운반
(2)중탕산이온 형태로 운반
(3)카바민화합물 형태로 운반
6.환기능력과 기타 고려사항
1)세컨드 윈드
2)수의적 과환기
3)흡연과 호흡기능
본문내용
압차 이외에 가스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①확산경로의 길이 ②폐포 주위 모세혈관의 혈류량 ③혈액 내 적혈구수 또는 헤모글로빈 ④폐포환기량에 영향을 받는다.
5.가스의 운반
1)산소의 운반
산소는 혈장에 의해 용해된 상태로 운반되거나 적혈구내 헤모글로빈(hemoglobin : HB)에 의해서 운반된다. 용해된 상태로 운반되는 산소량은 매우 적어서 안정시 분당 산소소비량(250~300㎖)의 단지 3~4%에 불과하다. 그 외 대부분의 산소(약97%)는 적혈구 내로 확산되어 헤모글로빈(hemoglobin)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산화헤모글로빈(HbO) 형태로 운반된다. 헤모글로빈이 산소를 조직에 유리하고 나면 환원헤모글로빈이라고 부른다.
2)이산화탄소의 운반
대사활동의 결과 생성된 이산화탄소는 모세혈관내로 확산되어 정맥혈이 된다. 혈액은 세가지 형태로 CO를 운반하는데, 그것은 용해된 상태, 중탄산이온(HCO) 및 카바민화합물(carbamino compound)의 형태이다.
(1)용해된 상태로의 CO운반
이산화탄소는 산소에 비해 물에 대한 용해도가 약 20배가량 높다. 혈장 내에 용해된 이산화탄소는 농도차에 따라 적혈구 내로 이동하여 적혈구와 평형상태를 이루게 된다. 물리적으로 용해된 형대로 운반되는 CO양은 전체의 약 9%이다.
(2)중탄산이온 형태로 운반
대부분(78%)의 CO는 중탄산이온(HCO)의 형태로 운반된다. CO가 조직에서 모세혈관으로 확산됨에 따라 즉시 혈장과 적혈구내 수분과 반응하여 탄산(HCO)을 형성한다. 이 반응에는 탄산탈수효소(carbonic anhydrase)의 작용이 필요하다.
- 6 -
한편 혈장내에서 탄산탈수효소의 작용 없이 서서히 이루어진 반응의 결과로 생성된 소량의 수소이온(H+)은 혈장단백에 의해 완충되어 신장을 통해 배출된다.
(3)카바민화합물 형태로 운반
혈액내 총 CO₂중 약 13%는 헤모글로빈이나 혈장단백질의 아미노기(NH₂)와 결합하여 카바민화합물(carbamino compound) 형태로 운반되는데, 그 중 대부분은(90%)은 헤모글로빈과 결합하고, 나머지 10%는 혈장단백질과 결합한다.
6.환기능력과 기타 고려사항
1)세컨드 윈드
환기완 관련된 현상중의 하나로 세컨드 윈드(second wind)가 있다. 세컨드 윈드는 운동 초기에 나타나는 불편감과 통증 또는 피로가 사라지면서 보다 편안하고 고통이 경감되는 상태로 돌입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운동 초기에 나타나는 통증이나 불편감은 강한 호흡곤란, 빠르고 얕은 호흡, 가슴통증, 두통이나 현기증, 여러 부위의 근통증을 들 수 있다.
2)수의적 과환기
의식적으로 과환기를 할 경우 폐포 및 동맥혈의 이산화탄소 분압은 40mmHg에서 15mmHg까지 감소되며, 혈중 pH 역시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통맥혈의 산소는 이미 100% 가까이 포화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과환기에 의해서 동맥혈의 산소분압은 증가하지 않는다. 과호흡에 이어 혈중이산화탄소 분압이 낮아지면 호흡중추에 대한 자극에 억제되므로, 숨 멈춤시간이 연장된다. 즉 과환기 후 숨멈춤시간이 연장되는 것은 혈액의 산소함량이 증가되기보다는 혈중이산화탄소 분압이 낮아져서 다시 호흡중추를 자극하기까지의 시간이 지연되기 때문이다.
3)흡연과 호흡기능
흡연이 호흡에 영향을 미칠 수 잇는 두가지 주요 기전은 첫째, 기도저항의 증가로 인해 환기 자체를 위한 산소소비량이 증가하고, 둘째 헤모글로빈에 의해 운반할 수 있는 O₂양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 7 -
목차
제 8장 운동과 호흡계
1.호흡기의 구조와 기능
1)기도와 폐포
2)흉강과 흉막강
2.호흡역학
1)흡기작용
2)호기작용
3.안정시 및 운동시 환기작용
1)분당환기량
2)운동성 과호흡의 조절기전
(1)운동전의 환기변화
(2)운동중의 환기변화
(3)회복기 중의 환기변화
3)환기량과 무산소성 역치
4)폐용적과 폐용량
5)기능적 환기용량
4.가스교환
1)가스교환과 분압
2)가스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
5.가스의 운반
1)산소의 운반
2)이산화탄소의 운반
(1)용해된 상태로의 CO₂운반
(2)중탕산이온 형태로 운반
(3)카바민화합물 형태로 운반
6.환기능력과 기타 고려사항
1)세컨드 윈드
2)수의적 과환기
3)흡연과 호흡기능
- 1 -
Report
학과명 : 경호비서학과
과목명 : 운동생리학
담당교수 : 이기세 교수님
학번 : 20061823
성명 : 이재윤
제출일 : 2006 . 03 .
*참고문헌
휴먼 퍼포먼스와 운동생리학 정일규/윤진환 著
대경북스
- 8 -
5.가스의 운반
1)산소의 운반
산소는 혈장에 의해 용해된 상태로 운반되거나 적혈구내 헤모글로빈(hemoglobin : HB)에 의해서 운반된다. 용해된 상태로 운반되는 산소량은 매우 적어서 안정시 분당 산소소비량(250~300㎖)의 단지 3~4%에 불과하다. 그 외 대부분의 산소(약97%)는 적혈구 내로 확산되어 헤모글로빈(hemoglobin)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산화헤모글로빈(HbO) 형태로 운반된다. 헤모글로빈이 산소를 조직에 유리하고 나면 환원헤모글로빈이라고 부른다.
2)이산화탄소의 운반
대사활동의 결과 생성된 이산화탄소는 모세혈관내로 확산되어 정맥혈이 된다. 혈액은 세가지 형태로 CO를 운반하는데, 그것은 용해된 상태, 중탄산이온(HCO) 및 카바민화합물(carbamino compound)의 형태이다.
(1)용해된 상태로의 CO운반
이산화탄소는 산소에 비해 물에 대한 용해도가 약 20배가량 높다. 혈장 내에 용해된 이산화탄소는 농도차에 따라 적혈구 내로 이동하여 적혈구와 평형상태를 이루게 된다. 물리적으로 용해된 형대로 운반되는 CO양은 전체의 약 9%이다.
(2)중탄산이온 형태로 운반
대부분(78%)의 CO는 중탄산이온(HCO)의 형태로 운반된다. CO가 조직에서 모세혈관으로 확산됨에 따라 즉시 혈장과 적혈구내 수분과 반응하여 탄산(HCO)을 형성한다. 이 반응에는 탄산탈수효소(carbonic anhydrase)의 작용이 필요하다.
- 6 -
한편 혈장내에서 탄산탈수효소의 작용 없이 서서히 이루어진 반응의 결과로 생성된 소량의 수소이온(H+)은 혈장단백에 의해 완충되어 신장을 통해 배출된다.
(3)카바민화합물 형태로 운반
혈액내 총 CO₂중 약 13%는 헤모글로빈이나 혈장단백질의 아미노기(NH₂)와 결합하여 카바민화합물(carbamino compound) 형태로 운반되는데, 그 중 대부분은(90%)은 헤모글로빈과 결합하고, 나머지 10%는 혈장단백질과 결합한다.
6.환기능력과 기타 고려사항
1)세컨드 윈드
환기완 관련된 현상중의 하나로 세컨드 윈드(second wind)가 있다. 세컨드 윈드는 운동 초기에 나타나는 불편감과 통증 또는 피로가 사라지면서 보다 편안하고 고통이 경감되는 상태로 돌입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운동 초기에 나타나는 통증이나 불편감은 강한 호흡곤란, 빠르고 얕은 호흡, 가슴통증, 두통이나 현기증, 여러 부위의 근통증을 들 수 있다.
2)수의적 과환기
의식적으로 과환기를 할 경우 폐포 및 동맥혈의 이산화탄소 분압은 40mmHg에서 15mmHg까지 감소되며, 혈중 pH 역시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통맥혈의 산소는 이미 100% 가까이 포화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과환기에 의해서 동맥혈의 산소분압은 증가하지 않는다. 과호흡에 이어 혈중이산화탄소 분압이 낮아지면 호흡중추에 대한 자극에 억제되므로, 숨 멈춤시간이 연장된다. 즉 과환기 후 숨멈춤시간이 연장되는 것은 혈액의 산소함량이 증가되기보다는 혈중이산화탄소 분압이 낮아져서 다시 호흡중추를 자극하기까지의 시간이 지연되기 때문이다.
3)흡연과 호흡기능
흡연이 호흡에 영향을 미칠 수 잇는 두가지 주요 기전은 첫째, 기도저항의 증가로 인해 환기 자체를 위한 산소소비량이 증가하고, 둘째 헤모글로빈에 의해 운반할 수 있는 O₂양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 7 -
목차
제 8장 운동과 호흡계
1.호흡기의 구조와 기능
1)기도와 폐포
2)흉강과 흉막강
2.호흡역학
1)흡기작용
2)호기작용
3.안정시 및 운동시 환기작용
1)분당환기량
2)운동성 과호흡의 조절기전
(1)운동전의 환기변화
(2)운동중의 환기변화
(3)회복기 중의 환기변화
3)환기량과 무산소성 역치
4)폐용적과 폐용량
5)기능적 환기용량
4.가스교환
1)가스교환과 분압
2)가스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
5.가스의 운반
1)산소의 운반
2)이산화탄소의 운반
(1)용해된 상태로의 CO₂운반
(2)중탕산이온 형태로 운반
(3)카바민화합물 형태로 운반
6.환기능력과 기타 고려사항
1)세컨드 윈드
2)수의적 과환기
3)흡연과 호흡기능
- 1 -
Report
학과명 : 경호비서학과
과목명 : 운동생리학
담당교수 : 이기세 교수님
학번 : 20061823
성명 : 이재윤
제출일 : 2006 . 03 .
*참고문헌
휴먼 퍼포먼스와 운동생리학 정일규/윤진환 著
대경북스
- 8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