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TM의 개념과 원리
2. ATM의 구조 및 특성
2.1. 물리 계층
2.2. ATM 계층
2.3. AAL 계층
3. ATM 프로토콜와 교환방식
4. 셀 헤더 기능
2. ATM의 구조 및 특성
2.1. 물리 계층
2.2. ATM 계층
2.3. AAL 계층
3. ATM 프로토콜와 교환방식
4. 셀 헤더 기능
본문내용
[데이터통신] ATM 원리와 특성, 프로토콜 구조
목차
1. ATM의 개념과 원리
2. ATM의 구조 및 특성
2.1. 물리 계층
2.2. ATM 계층
2.3. AAL 계층
3. ATM 프로토콜와 교환방식
4. 셀 헤더 기능
1. ATM의 개념과 원리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은 데이터 통신의 한 방식으로,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ATM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음성, 비디오, 데이터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형식이 포함된다. ATM은 작은 고정 크기의 셀을 사용해 정보를 전송하며, 이 셀은 53 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48 바이트는 페이로드 데이터를 담고 있으며, 나머지 5 바이트는 헤더로, 흐름 제어와 오류 검출 기능을 담당한다. ATM의 거래 구조는 비동기식으로 되어 있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시간 간격이 일정하지 않다. 이는
목차
1. ATM의 개념과 원리
2. ATM의 구조 및 특성
2.1. 물리 계층
2.2. ATM 계층
2.3. AAL 계층
3. ATM 프로토콜와 교환방식
4. 셀 헤더 기능
1. ATM의 개념과 원리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은 데이터 통신의 한 방식으로,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ATM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음성, 비디오, 데이터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형식이 포함된다. ATM은 작은 고정 크기의 셀을 사용해 정보를 전송하며, 이 셀은 53 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48 바이트는 페이로드 데이터를 담고 있으며, 나머지 5 바이트는 헤더로, 흐름 제어와 오류 검출 기능을 담당한다. ATM의 거래 구조는 비동기식으로 되어 있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시간 간격이 일정하지 않다. 이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