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도예절과 다완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도예절과 다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차(茶)의 역사

2. 우리나라 차(茶)의 기원

3. 다완의 감상요소

본문내용

발의 요건은 첫째가 흙의 선택이다.
- 그릇을 만든 작가의 인명은 어느 시대, 어떤 가마의, 누가 만들었다는 역사적 증거가 될 뿐만 아니라 자긍심과도 연계되어 있어 매우 중요하다. 낙인 또한 그릇의 얼굴이자 작가의 징표이므로 그릇 어느 위치에 낙인하는지도 감상기준의 한 요소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굽 안쪽에 악인하는 것이 통상이나 부득이한 경우 굽 언저리가 좋고 유약 말림 현상이나 축면(치리멘)등의 경우는 허리 부분이 불가피하다. 굽자리 부분(접지면)이나 몸통 윗쪽은 피하는 것이 미관상에도 좋다.
6) 유약 및 장식
- 그릇의 태토와 그릇 위의 장식기법이나 그림에 따라 유약이 어우러진 발색도 달라질 뿐 아니라 가마의 불길에 따른 변화(요변)또한 각양 각색이라 유약의 선택과 시유방법은 매우 중요하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6.06.18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4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