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마케팅에 대한 이해와 문화 마케팅 성공 사례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1

Ⅱ. 문화 마케팅으로서의 메트로 섹슈얼∙∙∙∙∙∙∙∙∙∙∙∙∙∙∙∙∙∙∙∙∙∙∙2

Ⅲ. Case Analysis ∙∙∙∙∙∙∙∙∙∙∙∙∙∙∙∙∙∙∙∙∙∙∙4
1. 미래파 (기능적 접근) ∙∙∙∙∙∙∙∙∙∙∙∙∙∙∙∙∙∙∙∙∙∙∙4
2. 오딧세이(감성적 접근)∙∙∙∙∙∙∙∙∙∙∙∙∙∙∙∙∙∙∙∙∙∙∙6

Ⅳ. 결론 및 제안∙∙∙∙∙∙∙∙∙∙∙∙∙∙∙∙∙∙∙∙∙∙∙9

본문내용

즈의 제품은 리프레쉬 스킨과 내추럴 에멀젼의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능성 스킨케어가 아닌 향수 계열의 남자 화장품이다.
오딧세이 선라이즈는 전략과 프로모션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앞서 언급했던 미래파나, 오딧세이에서 이루어진 마케팅의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한 브랜드라고 할 수 있다. 오딧세이 선라이즈의 광고는 제품명 이외에는 카피를 전혀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사람들의 관심을 유행어같은 광고문구에서 자신들의 브랜드 자체로 집중시켰으며,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인 ‘향취’에 대해 직접 언급하는 대신 모노톤의 화면에 오렌지색 물감을 풀어놓은 듯한 기법으로 향의 이미지를 시각화하여,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를 확실하게 구축시켰다.
또한 오딧세이 선라이즈는 여타 브랜드와 달리 개인 소비자나 제품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문화가치적 환경을 조정하는 문화마케팅을 시도하고 있다. 출시할 때부터 국내 유명 패션 디자이너인 정욱준과 패션쇼를 함께 진행해 브랜드에 패션코드를 불러일으키는 등 트렌디한 감각을 계속 쌓아가고 있으며, 지난 3월 5일부터 3월 14일까지에는 ‘남자 신데렐라를 찾아라’라는 독특한 이벤트를 마련하였다. 오딧세이 선라이즈의 이번 이벤트는 미래파 등에서 직접 남성 스킨케어를 시도하여 고객에게 어필했던 것과는 달리, ‘화이트 데이’와 ‘메트로섹슈얼’이라는 언뜻 보기에는 동떨어진 문화적 코드를 접목하여 오딧세이 선라이즈가 문화적 상품임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자신들의 브랜드만의 상징을 창조함으로써 오딧세이 선라이즈는 단순히 메트로섹슈얼 시장을 개척하는 수준에서 그치지 않고 MSX 마켓리더로서, 코카콜라의 병이나 맥도날드의 스마일과 같은 선도자의 이득을 취할 수 있는 지위에 올랐다고 할 수 있겠다.
IV. 결론 및 제안
- 소비자의 문화적 가치를 존중하라
품질과 기능은 비즈니스의 출발이지 목적 자체는 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전제하에서 메트로섹슈얼 마케팅의 접근이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앞서 주지하였듯이 품질이나 기능을 강조하는 것은 시장의 잠정적 확장은 될 수 있지만,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기업에서는 인식하고 마케팅에 임해야 한다. 또한 시장을 확대하는 것이 단순한 기존의 시장에서 세분화하는 것이 아닌 메트로섹슈얼 시장 내에서 다시 시장을 세분화하는 - IT, 정유, 보석, 금융 등 - 방법으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노력이 요구되는 바이다. 가치적인 측면에서는 롤 모델이나 이미지와 상징을 끊임없이 창조해 냄으로써, 다양한 사람들의 욕구와 니즈를 반영하는 마케팅이 이루어져야 한다.
- 문화조정자활동을 잊지 마라
메트로섹슈얼 마케팅을 하는데 있어서 단순히 제품 차원의 메시지 전달수준에 머무른다면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기업이 문화 조정 역할을 함으로써 사회적 분위기 조성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후원회 행사나 문화 행사 등을 통하여 문화 가치를 창조하고 조정하는 것이 장기적이고 체화되기 쉬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 내에서 별도의 자원을 creative subsystem에 할당하여 여러 가지 문화 조정 수단을 개발하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 소비자의 감성을 노려라
이미 마케팅에 있어서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것은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메트로섹슈얼 마케팅도 소비자의 감성을 적극적으로 공략하여 굳이 패션이 아니더라도 메트로섹슈얼리티에 호소하는 감성적인 공략이 필요하다. 메트로섹슈얼 자체를 감성적인 소비자로 인식하게 만드는 것 이것이 진정한 메트로섹슈얼 마케팅이 지향하는 바가 되어야 한다.

김영찬, <고객가치와 시장세분화 : 새로운 마케팅전략 분석기법>,《경영학 연구》, 제33권 제6호, 2004.
박정현, 메트로 섹슈얼의 시장 잠재력, LG주간경제, 2005년 4월 27일.
박혜정 김혜정, <패션산업의 문화가치와 소비가치>,《한국 의류학회지》, Vol.28, No.1(2004).
이예현, 시장 선도자의 방어 전략, CEO Report, 2005년.
정지혜, 감성 마케팅에 대한 몇 가지 오해, LG 주간경제, 2004년 7월 14일.
최훈환, 2004년 트렌드 전략을 위한 로드맵, 유통저널, 2004년 1월.
제일기획, 우리시대 남녀의 조용한 혁명, 파란통신, 2005년 1월 21일
Gray, Robert, The changing racies of a man, Marketing(U.K) 2004.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6.18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5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